○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재정 여건과 현황의 분석을 통한 단기적 재정전망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향후 재정운영의 기본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음 ○ 첫째, 국세 및 지방세의 세수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E1760464
2024년
Korean
PRIS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재정 여건과 현황의 분석을 통한 단기적 재정전망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향후 재정운영의 기본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음 ○ 첫째, 국세 및 지방세의 세수감...
○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재정 여건과 현황의 분석을 통한 단기적 재정전망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향후 재정운영의 기본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음
○ 첫째, 국세 및 지방세의 세수감소 추세에 따른 2024~2026회계연도 세입전망에 근거한 긴축재정 운영방안을 모색함. 즉, 재정과부족액 추계에 따라 발생한 2025~ 2026년 가용재원 부족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여 기수립된 중기교육재정계획에 반영하도록 함
○ 둘째, 향후 예견되고 있거나 시작 초기 단계의 현안 정책과제인 유보통합, 늘봄학교, 교육발전특구 등과 관련한 재정수요의 정확한 진단과 대응방안의 모색이 이루어져야 함. 특히, 이러한 재정수요의 팽창요인을 감안할 때, 중앙정부 및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간 재원배분 규모와 분담체계를 재정립할 필요가 있으며, 추후에 다음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요구됨
? 제주교육재정의 안정적 확대를 위한 「제주특별법」상 교부금 특례의 적정성 검토 및 개선 방안 제시
○ 셋째, 향후 국가 및 지역경제의 불확실성 심화에 따른 재정안정을 강화하기 위해 자체수입에 대한 자구노력 강화 및 재정지출 효율화 실천을 통해 초과지출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함. 이를 위해 학교 및 교육시설 사업에 대한 투자 효율성 제고 방안, 대표적 경직성 경비이거나 선심성 경비에 대한 지출 기준의 엄격한 설정 및 재정준칙 준수가 요구되는 경비에 대한 절감방안을 모색함
○ 넷째, 현재 진행 중인 세수감소에 대한 단기적 전망과 달리 향후 지속가능성에 대비하고 세입 감소에 따른 재정압박 및 재정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재정 수지의 안정적 관리방안을 모색함. 이를 위하여 수지관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투자사업을 위한 지방채 발행이나 기금재원을 활용하는 내부거래의 건전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함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