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식민지시기 페스탈로찌 수용과정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0051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식민지시기에 조선인들이 페스탈로찌를 수용해 온 전 과정과 그 사회적 맥락은 아직 파악되지 못하고 있다는 인식 아래, 첫째로 식민지시기에 페스탈로찌를 수용해 온 과정을 확...

      본 연구는 식민지시기에 조선인들이 페스탈로찌를 수용해 온 전 과정과 그 사회적 맥락은 아직 파악되지 못하고 있다는 인식 아래, 첫째로 식민지시기에 페스탈로찌를 수용해 온 과정을 확인하고, 둘째로 수용한 페스탈로찌관과 교육사상을 분석해 내며, 셋째로 당시의 사회경제적 상황과 페스탈로찌 수용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1920년대부터 1930년대 초반 사이에 이루어진 페스탈로찌 수용의 주요 계기는 1920년대의 문화운동과 1927년의 페스탈로찌 서거 백주년 기념제였다. 주요 매개기관은 동아일보사와 연희전문학교였다. 수용자들은 대부분 교육학을 배운 인사들이었다. 수용자들은 페스탈로찌를 빈민아동 교육가, 혹은 사회개량가라고 거듭 강조하고 있었다. 그의 교육사상의 소개는 Natorp가 정리해 놓은 교육원리를 일본을 통해 간접 수용하는 수준이었다. 그리고 농민층의 급속한 하강 분해, 그에 따른 대다수 농민의 빈농화, 교육기회를 박탈당한 농촌 아동의 퇴적 등 당시의 사회경제적 상황은 페스탈로찌 수용을 촉진시킨 '구조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 수용을 실현시킨 것은 문제해결 지향성이 강했던 조선인들의 의도적 수용 노력 때문이었다.
      이와 같은 노력의 효과는 미지수이지만, 이 때부터 페스탈로찌는 교사들에게 이상적인 스승상으로 자리 잡아가기 시작했던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cess of introduction of Pestalozzi into Korea in the colonial period and the relation of it with the socio-economic condition in that times. Koreans continued to introduce Pestalozzi from 1920's to ear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cess of introduction of Pestalozzi into Korea in the colonial period and the relation of it with the socio-economic condition in that times.
      Koreans continued to introduce Pestalozzi from 1920's to early 1930's in the colonial period. In that effort. many writings on Pestalozzi appeared in the part of the cultural movement of 1920's and with the centenary of his death in 1927. The major institutions of introduction were The Dong-A Ilbo and Yonsei college. The most of writers had learned the subject of education. They emphasized repeatedly Pestalozzi as the educator for poor children or social reformer. But they didn't advance over the level of the introduction of Pestalozzi's educational thoughts after his educational principles which were analyzed by Natorp who had been discussed in Japan.
      The socio-economic conditions from 1920's to early 1930's such as the rapid degradation of farming population to lower class, their poor life, and the deprivation of educational opportunity of them, were structural factor which promoted the introduction of Pestalozzi into Korea. In addition, Koreans' intentional efforts to solve the problems made it actually introduced into Korea.
      However, it was doubtful whether such efforts were successful. Although this was a fact, it seemed gradually that Pestalozzi began to be regarded as a ideal model for educational practice by Korean teach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들어가는 말 = 51
      • Ⅱ. 페스탈로찌 수용과정과 그 특징 = 52
      • 1. 수용과정 = 53
      • 2. 페스탈로찌觀 = 64
      • 목차
      • Ⅰ. 들어가는 말 = 51
      • Ⅱ. 페스탈로찌 수용과정과 그 특징 = 52
      • 1. 수용과정 = 53
      • 2. 페스탈로찌觀 = 64
      • 3. 교육사상의 수용 = 67
      • Ⅲ. 페스탈로찌 수용시기의 사회경제적 상황 = 69
      • Ⅳ. 맺음말 = 74
      • 참고문헌 = 76
      • 국문초록 = 78
      • ABSTRACT = 7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