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증거기반 중재 구축을 위한 초등수학 중재연구의 질 분석 = Analysis on the quality of elementary mathematics intervention studies for the establishment of evidence-based mathematics interven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277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총 55편의 초등수학 중재연구들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에 따라 수행되었는지를 질적지표를 기준으로 분석하고, 질적지표 충족도 분석결과를 통해 각 중재별 증거기반 중재의 충족수준은 어떤지를 밝히고자 했다. 본 연구의 질적지표와 증거기반 중재 충족도 분석결과, 총 38편의 일반교육 연구의 경우 총 8개의 질적지표 중 3개를 제외한 5개의 질적지표를 충족하는 연구의 수가 매우 적었고, 이에 높은 수준의 증거기반 중재를 찾기는 어려웠지만, 인지·메타인지전략 중재가 보통 수준의 증거기반 중재인 것으로 나타났다. 총 17편의 특수교육 연구 중 6편의 (준)집단설계연구의 경우 총 10개의 질적지표 중 3개를 제외한 나머지 7개의 질적지표를 충족하는 연구의 수가 매우 적었고, 11편의 단일대상연구의 경우도 총 20개의 질적지표 중 13개를 제외한 나머지 7개의 질적지표를 충족하는 연구의 수가 매우 적었다. 따라서 특수교육 연구 중 증거기반 중재를 찾기는 어려웠다. 질적지표와 증거기반 중재 기준에 대한 논의점과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총 55편의 초등수학 중재연구들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에 따라 수행되었는지를 질적지표를 기준으로 분석하고, 질적지표 충족도 분석결과를 통해 각 중재별 증거기반 ...

      본 연구는 총 55편의 초등수학 중재연구들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에 따라 수행되었는지를 질적지표를 기준으로 분석하고, 질적지표 충족도 분석결과를 통해 각 중재별 증거기반 중재의 충족수준은 어떤지를 밝히고자 했다. 본 연구의 질적지표와 증거기반 중재 충족도 분석결과, 총 38편의 일반교육 연구의 경우 총 8개의 질적지표 중 3개를 제외한 5개의 질적지표를 충족하는 연구의 수가 매우 적었고, 이에 높은 수준의 증거기반 중재를 찾기는 어려웠지만, 인지·메타인지전략 중재가 보통 수준의 증거기반 중재인 것으로 나타났다. 총 17편의 특수교육 연구 중 6편의 (준)집단설계연구의 경우 총 10개의 질적지표 중 3개를 제외한 나머지 7개의 질적지표를 충족하는 연구의 수가 매우 적었고, 11편의 단일대상연구의 경우도 총 20개의 질적지표 중 13개를 제외한 나머지 7개의 질적지표를 충족하는 연구의 수가 매우 적었다. 따라서 특수교육 연구 중 증거기반 중재를 찾기는 어려웠다. 질적지표와 증거기반 중재 기준에 대한 논의점과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55 elementary mathematics intervention studies based on the quality indicators in order to identify the evidence-based intervention which is effective for improving the mathematics performance of elementary-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ost of the 38 studies in general education failed to meet 5 of 8 quality indicators. Therefore, it was difficult to find a high-level evidence-based intervention. However, cognitive and meta-cognitive intervention was identified as a medium-level evidence-based intervention. Also, most of the 6 experimental and quasi-experimental studies in special education failed to meet 7 of 10 quality indicators and most of the 11 single-subject design studies in special education failed to meet 7 of 20 quality indicators. Therefore, it was hard to identify an evidence-based intervention. Several issues regarding the quality indicators and criteria for evidence-based intervention are presented.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55 elementary mathematics intervention studies based on the quality indicators in order to identify the evidence-based intervention which is effective for improving the mathematics performance of elementary-school studen...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55 elementary mathematics intervention studies based on the quality indicators in order to identify the evidence-based intervention which is effective for improving the mathematics performance of elementary-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ost of the 38 studies in general education failed to meet 5 of 8 quality indicators. Therefore, it was difficult to find a high-level evidence-based intervention. However, cognitive and meta-cognitive intervention was identified as a medium-level evidence-based intervention. Also, most of the 6 experimental and quasi-experimental studies in special education failed to meet 7 of 10 quality indicators and most of the 11 single-subject design studies in special education failed to meet 7 of 20 quality indicators. Therefore, it was hard to identify an evidence-based intervention. Several issues regarding the quality indicators and criteria for evidence-based intervention are presented.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동일, "학습장애아동의 이해와 교육" 학지사 2003

      2 황리리, "학습장애 학생들을 위한 효과적인 곱셈 구구 중재전략에 관한 문헌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69-89, 2008

      3 손승현, "특수아동 대상 수학문장제 문제 연구 동향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157-171, 2007

      4 나경은, "질적지표에 의거한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수학중재연구 분석" 한국학습장애학회 7 (7): 145-173, 2010

      5 허유성, "질적 지표에 의거한 최근 10년간 학습장애 집단 실험 연구 동향 분석 및 학습장애 연구에 주는 시사점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469-498, 2010

      6 서유진, "중재반응 모델 실행을 위한 초등수학 중재연구의 실제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207-246, 2010

      7 김영표, "장애학생의 수학적 문장제 문제해결에 관한 교수방법의 중재 효과: 메타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9 (9): 413-437, 2008

      8 김영표, "수학 학습 문제를 가진 학생들의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력에 관한 집단 설계 연구의 질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95-111, 2009

      9 성태제, "교육연구방법의 이해" 학지사 2009

      10 김성화, "‘가르기-모으기’ 놀이가 수학 학습장애 아동의 가감산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2 (22): 349-369, 2006

      1 김동일, "학습장애아동의 이해와 교육" 학지사 2003

      2 황리리, "학습장애 학생들을 위한 효과적인 곱셈 구구 중재전략에 관한 문헌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69-89, 2008

      3 손승현, "특수아동 대상 수학문장제 문제 연구 동향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157-171, 2007

      4 나경은, "질적지표에 의거한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수학중재연구 분석" 한국학습장애학회 7 (7): 145-173, 2010

      5 허유성, "질적 지표에 의거한 최근 10년간 학습장애 집단 실험 연구 동향 분석 및 학습장애 연구에 주는 시사점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469-498, 2010

      6 서유진, "중재반응 모델 실행을 위한 초등수학 중재연구의 실제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207-246, 2010

      7 김영표, "장애학생의 수학적 문장제 문제해결에 관한 교수방법의 중재 효과: 메타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9 (9): 413-437, 2008

      8 김영표, "수학 학습 문제를 가진 학생들의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력에 관한 집단 설계 연구의 질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95-111, 2009

      9 성태제, "교육연구방법의 이해" 학지사 2009

      10 김성화, "‘가르기-모으기’ 놀이가 수학 학습장애 아동의 가감산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2 (22): 349-369, 2006

      11 Horner, R. H., "The use of single-subject research to identify evidence-based practice in special education" 71 (71): 165-179, 2005

      12 Gersten, R., "Quality indicators for group experimental and quasi-experimental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71 (71): 149-164, 2005

      13 Owen, R., L., "Mathematical problem-solving strategy instruction for third-grade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23 (23): 268-278, 2002

      14 Coalition for Evidence-based Policy, "Identifying and implementing educational practices supported by rigorous evidence: A user friendly guide"

      15 Fuchs, L. S., "Extending responsiveness to intervention to mathematics at first and third grades" 22 (22): 13-24, 2007

      16 Fletcher, J.M., "Evidence-based assessment of learning disabiliti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34 : 506-522, 2005

      17 Montague, M., "Evaluating the evidence base for cognitive strategy instruction an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75 (75): 285-302, 2009

      18 Fuchs, L. S., "Enhancing the mathematical problems solving of students with mathematics disabilities, In Handbook of Learning Disabilities" Guilford Press 2003

      19 What Works Clearinghouse, "Developing effective fractions instruction for kindergarten through 8th grad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 With Special Need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아동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15 1.374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