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a representative democratic system, the ‘electoral apportionment’ is of crucial importance in the sense that it should reflect the democratic principle of “one-man, one vote.” The equal treatment of individuals or voters is achieved by appo...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538549
201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69-92(24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a representative democratic system, the ‘electoral apportionment’ is of crucial importance in the sense that it should reflect the democratic principle of “one-man, one vote.” The equal treatment of individuals or voters is achieved by appo...
In a representative democratic system, the ‘electoral apportionment’ is of crucial importance in the sense that it should reflect the democratic principle of “one-man, one vote.” The equal treatment of individuals or voters is achieved by apportioning the electoral constituents in a fair or equal mann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result of apportionment in the 20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of Korea by employing three main indexes: (i)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apportionment index, (ii) political Gini coefficient, (iii) (1-cosine square index). We show that the electoral apportionment of the 20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was improved compared to the 19th general election. This result can be attributed, in part, to the verdict of Constitutional Court in 2014. The empirical indexes will provide an objective criterion in determining the electoral apportionment in a way that guarantees the equal treatment of every vote.
국문 초록 (Abstract)
대의민주주의에서 시민(유권자)은 선거를 통해 자신의 1표를 행사하며, 그가 어디에 거주하든지 1표의 가치는 같아야 한다. 이러한 ‘표의 등가성’은 민주주의의 중요한 원칙이며, ‘선거...
대의민주주의에서 시민(유권자)은 선거를 통해 자신의 1표를 행사하며, 그가 어디에 거주하든지 1표의 가치는 같아야 한다. 이러한 ‘표의 등가성’은 민주주의의 중요한 원칙이며, ‘선거구획정’을 통해 실현된다. 표의 등가성은 선거구 획정지수의 분산계수, 정치적 지니계수, 코사인제곱지수 등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논문은 20대 국회의원 선거구획정의 상태를 획정지수의 분산계수, 정치적 지니계수, 그리고 코사인제곱지수를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하고자 한다. 20대 국회의원 선거구획정을 측정한 결과, 정치적 지니계수와 획정지수의 분산계수, 그리고 ‘1-코사인제곱지수’의 값 모두 19대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대 국회의원 선거구획정에서 표의 등가성이 개선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광역시·도 간 획정지수의 격차도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0대 국회의원 선거구에서도 최대 선거구의 인구수가 최소 선거구의 2배에 달하는 등 선거구 간의 인구 격차가 아직 상당한 수준이므로 이를 지속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향후 선거구획정 시 정치적 지니계수, 획정지수의 분산계수, ‘1-코사인제곱지수’ 등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즉, 선거구획정 상태를 객관적 지표로 측정하여 선거구의 분포가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하며, 이들 지표들의 장기적인 달성 목표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림, "한국 선거제도가 내포하고 있는 왜곡효과는 어느 정도인가: 경쟁을 기초로 한 민주정치의 시각에서의 평가" (겨울호) : 1991
2 김정도, "표의 등가성을 통해 본 선거구획정의 공정성: 측정과 함의" 한국정치학회 49 (49): 267-300, 2015
3 김도종, "제16대 국회의원 선거결과에 대한 집합자료 분석" 34 (34): 2000
4 강휘원, "영국과 한국의 선거구획정위원회: 정치적 환경, 운영, 개혁방향" 한국정치학회 36 (36): 343-364, 2002
5 심지연, "역대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에 대한 평가: 표의 등가성과 정당 간 공정성을 중심으로" 35 (35): 125-148, 2001
6 최경옥, "선거구획정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한국비교공법학회 13 (13): 135-169, 2012
7 강우진, "선거구 획정의 정치학:쟁점과 과제"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1 (21): 5-32, 2015
8 서복경, "선거구 획정" 2015
9 이상학, "민주주의에서 표의 불평등성: 국회의원 선거구획정의 왜곡도 분석" 한국의정연구회 10 (10): 5-24, 2015
10 김도협, "국회의원선거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5 (15): 67-86, 2009
1 김종림, "한국 선거제도가 내포하고 있는 왜곡효과는 어느 정도인가: 경쟁을 기초로 한 민주정치의 시각에서의 평가" (겨울호) : 1991
2 김정도, "표의 등가성을 통해 본 선거구획정의 공정성: 측정과 함의" 한국정치학회 49 (49): 267-300, 2015
3 김도종, "제16대 국회의원 선거결과에 대한 집합자료 분석" 34 (34): 2000
4 강휘원, "영국과 한국의 선거구획정위원회: 정치적 환경, 운영, 개혁방향" 한국정치학회 36 (36): 343-364, 2002
5 심지연, "역대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에 대한 평가: 표의 등가성과 정당 간 공정성을 중심으로" 35 (35): 125-148, 2001
6 최경옥, "선거구획정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한국비교공법학회 13 (13): 135-169, 2012
7 강우진, "선거구 획정의 정치학:쟁점과 과제"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1 (21): 5-32, 2015
8 서복경, "선거구 획정" 2015
9 이상학, "민주주의에서 표의 불평등성: 국회의원 선거구획정의 왜곡도 분석" 한국의정연구회 10 (10): 5-24, 2015
10 김도협, "국회의원선거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5 (15): 67-86, 2009
11 음선필, "국회의원 지역선거구 획정에 관한 헌법적 고찰: 기준·주체·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의정연구회 9 (9): 211-245, 2014
12 이갑윤, "국회의원 선거제도의 개혁과제: 지역구 선거구획정의 시정과 전국구 의원 제도의 폐지" 2 (2): 1996
13 김종갑, "국회의원 선거제도 개혁논의와 현실적 개선방안" 한국의정연구회 10 (10): 65-92, 2015
14 김형준, "국회의원 선거구획정의 제도개혁에 관한 연구 - 인구대표성과 지역대표성의 조화를 중심으로 -" 대한정치학회 11 (11): 45-64, 2003
15 박찬욱, "국회의원 선거구제와 선거구획정 방식의 개혁방향" 3 (3): 1997
16 이상학,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과 정치적 지니계수" 한국제도∙경제학회 5 (5): 103-118, 2011
17 Maskin, E., "The Arrow Impossibility Theorem" Columbia University Press 43-55, 2014
18 Gallagher, M., "Proportionality, disproportionality and electoral systems" 10 : 33-51, 1991
19 Koppel, M., "Measuring disproportionality, volatility and malapportionment: axiomatizations and solutions" 33 : 281-286, 2009
20 Taagepera, R., "Mapping the indices of seats-votes disproportionality and inter-election volatility" 9 (9): 659-677, 2003
21 Ordeshook, P. C., "Ethnic Heterogeneity, District Magnitude, and the Number of Parties" 38 : 100-123, 1994
22 Kim, Jong Lim., "Electoral system and the dominance of government party in Korean democracy"
23 이상학, "Electoral Mal-Apportionment and Policy Distortion in Korea" 한국제도∙경제학회 7 (7): 157-183, 2013
24 "Election Boundaries : No more packing or cracking"
25 Monroe, B. L, "Disproportionality and malapportionments: measuring electoral inequality" 13 : 132-149, 1994
26 이상학, "A Note on the Relationship among Measures for Mal-apportionment" 한국제도∙경제학회 10 (10): 25-35, 2016
대통령 선거제도와 복지지출 : 민주화 이후 신생민주주의국가의 복지지출의 정치제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6 | 0.96 | 0.8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2 | 0.77 | 1.246 | 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