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명화를 활용한 교육연극 프로그램 개발 - LCE 심미적 체험 원리에 기반한 발문 활용 - = Developing an Educational Drama Program Using Masterpeice Paintings – Based on Questioning Principles of LCE’s Aesthetic Experience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341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educational drama program with masterpeice paintings for fif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to examine its positive effects on and implications for students. For these purposes, the researcher selected a group of masterpeice paintings by analyzing elementary Art textbooks and developed an educational drama program by applying the D.I.E inquiry process and using questions based on the LCE aesthetic experience principles. This research program was conducted for 5th grade students of B Elementary School in Siheung, Gyeonggi Province, and progressed to the 12th stage of the 6th time.
      First, the learners acquired values of masterpiece paintings for D.I.E lessons by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secondly, the learners were further immersed in the D.I.E program based on masterpeice paintings according to questions based on the LCE aesthetic experience principles, experiencing an emotional agreement with objects and characters and promoting their imagination. Third, the learner showed the attitude of an active appreciator who independently explores and expresses masterpieces and acquired a method of independent art appreciation.
      These findings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This program influenced learners to experience immersion and imagination through emotional matching with characters in masterpiece painting and to form an enhanced aesthetic perspectiv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sonality and emotions of 5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such as cooperative spirit in peer relationships and improved empathy for others. Finally, it was discovered that the learner became an independent and active appreciator of masterpiece paintings and explored famous paintings.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convergence program between masterpieces paintings and educational drama.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come an example of learners enhanced artistic eye formation and cognitive and emotional development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educational drama program with masterpeice paintings for fif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to examine its positive effects on and implications for students. For these purposes, the researcher selected a group of mas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educational drama program with masterpeice paintings for fif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to examine its positive effects on and implications for students. For these purposes, the researcher selected a group of masterpeice paintings by analyzing elementary Art textbooks and developed an educational drama program by applying the D.I.E inquiry process and using questions based on the LCE aesthetic experience principles. This research program was conducted for 5th grade students of B Elementary School in Siheung, Gyeonggi Province, and progressed to the 12th stage of the 6th time.
      First, the learners acquired values of masterpiece paintings for D.I.E lessons by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secondly, the learners were further immersed in the D.I.E program based on masterpeice paintings according to questions based on the LCE aesthetic experience principles, experiencing an emotional agreement with objects and characters and promoting their imagination. Third, the learner showed the attitude of an active appreciator who independently explores and expresses masterpieces and acquired a method of independent art appreciation.
      These findings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This program influenced learners to experience immersion and imagination through emotional matching with characters in masterpiece painting and to form an enhanced aesthetic perspectiv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sonality and emotions of 5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such as cooperative spirit in peer relationships and improved empathy for others. Finally, it was discovered that the learner became an independent and active appreciator of masterpiece paintings and explored famous paintings.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convergence program between masterpieces paintings and educational drama.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come an example of learners enhanced artistic eye formation and cognitive and emotional develop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교과서 속 명화를 활용한 교육연극 프로그램이 참여자에게 미치는 영향 및그 시사점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 분석을 통해 명화를 선정하고, D.I.E 탐구과정을 적용 및 LCE 심미적 체험원리에 기반한 발문을 활용하여 교육연극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경기도 시흥의 B 초등학교 5학년 학생 대상으로 총 6회기 12차시로 진행하였고 프로그램실행 후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본 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학습자는 우선 명화가지닌 ‘D.I.E 수업’의 가치를 체득하였다. 둘째, 학습자가 LCE 심미적 체험원리에 기반한 발문으로 인해명화 D.I.E 프로그램에 더욱 몰입하여 사물, 인물과의 감정적 일치를 체험하며 상상력이 증진되었다. 셋째, 학습자가 명화를 주체적으로 탐구하고 표현하는 능동적 감상자의 자세를 보였으며 자주적인 미술감상 방법을 획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지닌다. 본 프로그램은 학습자에게 명화 속 인물과의 감정적일치를 통한 몰입과 상상의 경험, 고양된 미적 안목의 형성에 영향을 끼쳤다. 그리고 또래 관계의 협동심,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 향상 등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인성과 정서에 긍정적 영향을 끼쳤음을 알수 있었다. 끝으로 학습자가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명화 감상자가 되어 명화를 탐구하는 모습을 발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명화와 교육연극이 접목된 융합 프로그램으로 개발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가 학습자의 고양된 미술적 안목 형성 및 인지적, 정서적 발달의 사례가 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교과서 속 명화를 활용한 교육연극 프로그램이 참여자에게 미치는 영향 및그 시사점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 분석을 통해 명화...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교과서 속 명화를 활용한 교육연극 프로그램이 참여자에게 미치는 영향 및그 시사점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 분석을 통해 명화를 선정하고, D.I.E 탐구과정을 적용 및 LCE 심미적 체험원리에 기반한 발문을 활용하여 교육연극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경기도 시흥의 B 초등학교 5학년 학생 대상으로 총 6회기 12차시로 진행하였고 프로그램실행 후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본 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학습자는 우선 명화가지닌 ‘D.I.E 수업’의 가치를 체득하였다. 둘째, 학습자가 LCE 심미적 체험원리에 기반한 발문으로 인해명화 D.I.E 프로그램에 더욱 몰입하여 사물, 인물과의 감정적 일치를 체험하며 상상력이 증진되었다. 셋째, 학습자가 명화를 주체적으로 탐구하고 표현하는 능동적 감상자의 자세를 보였으며 자주적인 미술감상 방법을 획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지닌다. 본 프로그램은 학습자에게 명화 속 인물과의 감정적일치를 통한 몰입과 상상의 경험, 고양된 미적 안목의 형성에 영향을 끼쳤다. 그리고 또래 관계의 협동심,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 향상 등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인성과 정서에 긍정적 영향을 끼쳤음을 알수 있었다. 끝으로 학습자가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명화 감상자가 되어 명화를 탐구하는 모습을 발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명화와 교육연극이 접목된 융합 프로그램으로 개발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가 학습자의 고양된 미술적 안목 형성 및 인지적, 정서적 발달의 사례가 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명주, "추체험을 통한 초등미술감상 지도방안: 과정드라마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연극학회 7 : 63-82, 2015

      2 황명자 ; 송혜순, "초등학교 표현활동 영역에서 미적체험교육(Aesthetic Education)의 가능성 탐색" 교과교육연구소 19 (19): 323-339, 2015

      3 오판진, "초등학교 교육연극의 유형과 특징 연구" 4 : 54-74, 2012

      4 홍경아, "초등학교 고학년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내 감각 중심 연극 놀이의 교육적 가치" 한국예술종합학교대학원 2018

      5 황정현, "중심 교육을 위한 교육연극 (Drama in Education)의 이해" 1 : 41-54, 2001

      6 곽덕주, "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 서울 문화재 2015

      7 남상오, "우리반 연극 수업 어떻게 할까" 북멘토 2019

      8 김병주, "연극을 통한 교육, 문화, 그리고 사회적 변화 - 참여와 소통의 교육연극 방법론 T.I.E.(Theatre in Education)를 중심으로" 한국영미문화학회 8 (8): 65-92, 2008

      9 김병주, "연극과 교육의 접목 - 초등국어교과의 연극단원 구성에 관한 소고" 한국교육연극학회 10 (10): 95-112, 2018

      10 구민정, "수업 중에 연극 하자" 다른 2014

      1 이명주, "추체험을 통한 초등미술감상 지도방안: 과정드라마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연극학회 7 : 63-82, 2015

      2 황명자 ; 송혜순, "초등학교 표현활동 영역에서 미적체험교육(Aesthetic Education)의 가능성 탐색" 교과교육연구소 19 (19): 323-339, 2015

      3 오판진, "초등학교 교육연극의 유형과 특징 연구" 4 : 54-74, 2012

      4 홍경아, "초등학교 고학년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내 감각 중심 연극 놀이의 교육적 가치" 한국예술종합학교대학원 2018

      5 황정현, "중심 교육을 위한 교육연극 (Drama in Education)의 이해" 1 : 41-54, 2001

      6 곽덕주, "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 서울 문화재 2015

      7 남상오, "우리반 연극 수업 어떻게 할까" 북멘토 2019

      8 김병주, "연극을 통한 교육, 문화, 그리고 사회적 변화 - 참여와 소통의 교육연극 방법론 T.I.E.(Theatre in Education)를 중심으로" 한국영미문화학회 8 (8): 65-92, 2008

      9 김병주, "연극과 교육의 접목 - 초등국어교과의 연극단원 구성에 관한 소고" 한국교육연극학회 10 (10): 95-112, 2018

      10 구민정, "수업 중에 연극 하자" 다른 2014

      11 김주연, "생각이 터지는 교실 드라마" 연극과 인간 2016

      12 Greene, M, "블루 기타 변주곡"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13 고혜진, "미적체험 기반 융합교육 프로그램 수행과정에서 발현되는 사회적 공감능력과 확산적 사고능력 특성: 중등 수⋅과학 영재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653-677, 2021

      14 홍기원, "미적경험을 위한 예술교육: 경기학교예술창작소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연극학회 11 (11): 27-48, 2019

      15 서울문화재단, "미적 체험과 예술교육" 커뮤니케이션북스 2019

      16 유현희, "미술관에 간 심리학" 믹스커피 2019

      17 안혜영, "미술감상교육" 트리몬드 2002

      18 권용준, "명화로 읽는 서양 미술사" 북하우스 2005

      19 윤수진 ; 김영순, "명화감상 미술치료 프로그램 동향에 관한 내용분석" 한국문화교육학회 16 (16): 167-202, 2021

      20 정여주, "명화 감상 미술치료" 학지사 2021

      21 노현정, "맥신 그린의 이론과 학교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 LCI를 중심으로한 맥신 그린의 철학적 인식에 대한 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4

      22 임은미, "맥신 그린의 심미적 교육철학과 링컨센터 예술교육원 음악교육 프로그램"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7

      23 서정은, "맥신 그린 (Maxine Greene)의 심미적교육(Aesthetic Education)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24 김주연, "드라마의 교육 방법적 활용 방안 모색 -과정 드라마를 통한 개념 탐구-" 한국드라마학회 (38) : 81-109, 2012

      25 O’Neill, C, "드라마 세계-과정 드라마를 위한 체계" 교육과 인간 2019

      26 Fleming, M, "드라마 가르치기" 박영스토리 2020

      27 정성희, "교육연극의 이해" 연극과 인간 2006

      28 김병주, "교육연극의 복합성과 교육의 지향점" 2 : 1-17, 2007

      29 최지영, "교육연극에서 드라마전문가(drama specialist)의 역할형성 및 핵심요건 - 과정중심연극의 특성을 중심으로 -" 한국연극교육학회 26 (26): 231-260, 2015

      30 황정현, "교육연극(Drama in Education)의 철학적 이해-교과교육학의 이론적 배경을 위하여" 1 : 1-16, 2005

      31 Courtney, R, "교육연극 입문" 연극과 인간 2014

      32 장연주, "교사를 위한 교육연극의 이론과 실천" 박영스토리 2018

      33 구민정, "교과서로 연극 하자" 권재원 2014

      34 최지영, "과정 중심 연극으로서의 교육연극" 연극과 인간 2016

      35 Dewey, J., "경험으로서의 예술 2" 나남 2016

      36 최지영, "‘학습으로서의 드라마’에서 ‘예술로서의 드라마’로 나아가기 - 티칭아티스트(Teaching Artist)의 개념형성 및 토착화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연구소 (21) : 173-196, 2018

      37 김란주, "‘심미적 감성 역량’의 개념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7 (37): 1-28, 2019

      38 강수연, "LCI 심미적 교육을 활용한 교과통합수업 지도방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9 류재만 ; 박미진, "LCI 교육 기반 온라인 미술 감상 수업 개발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34 (34): 55-84, 2020

      40 진승화 ; 문영, "LCE 미적체험 기반 무용교육 프로그램의 청소년 인성 및 역량 증진 효과" 대한무용학회 76 (76): 199-214, 2018

      41 임다혜, "D.I.E.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3학년생의 공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