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명주, "추체험을 통한 초등미술감상 지도방안: 과정드라마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연극학회 7 : 63-82, 2015
2 황명자 ; 송혜순, "초등학교 표현활동 영역에서 미적체험교육(Aesthetic Education)의 가능성 탐색" 교과교육연구소 19 (19): 323-339, 2015
3 오판진, "초등학교 교육연극의 유형과 특징 연구" 4 : 54-74, 2012
4 홍경아, "초등학교 고학년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내 감각 중심 연극 놀이의 교육적 가치" 한국예술종합학교대학원 2018
5 황정현, "중심 교육을 위한 교육연극 (Drama in Education)의 이해" 1 : 41-54, 2001
6 곽덕주, "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 서울 문화재 2015
7 남상오, "우리반 연극 수업 어떻게 할까" 북멘토 2019
8 김병주, "연극을 통한 교육, 문화, 그리고 사회적 변화 - 참여와 소통의 교육연극 방법론 T.I.E.(Theatre in Education)를 중심으로" 한국영미문화학회 8 (8): 65-92, 2008
9 김병주, "연극과 교육의 접목 - 초등국어교과의 연극단원 구성에 관한 소고" 한국교육연극학회 10 (10): 95-112, 2018
10 구민정, "수업 중에 연극 하자" 다른 2014
1 이명주, "추체험을 통한 초등미술감상 지도방안: 과정드라마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연극학회 7 : 63-82, 2015
2 황명자 ; 송혜순, "초등학교 표현활동 영역에서 미적체험교육(Aesthetic Education)의 가능성 탐색" 교과교육연구소 19 (19): 323-339, 2015
3 오판진, "초등학교 교육연극의 유형과 특징 연구" 4 : 54-74, 2012
4 홍경아, "초등학교 고학년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내 감각 중심 연극 놀이의 교육적 가치" 한국예술종합학교대학원 2018
5 황정현, "중심 교육을 위한 교육연극 (Drama in Education)의 이해" 1 : 41-54, 2001
6 곽덕주, "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 서울 문화재 2015
7 남상오, "우리반 연극 수업 어떻게 할까" 북멘토 2019
8 김병주, "연극을 통한 교육, 문화, 그리고 사회적 변화 - 참여와 소통의 교육연극 방법론 T.I.E.(Theatre in Education)를 중심으로" 한국영미문화학회 8 (8): 65-92, 2008
9 김병주, "연극과 교육의 접목 - 초등국어교과의 연극단원 구성에 관한 소고" 한국교육연극학회 10 (10): 95-112, 2018
10 구민정, "수업 중에 연극 하자" 다른 2014
11 김주연, "생각이 터지는 교실 드라마" 연극과 인간 2016
12 Greene, M, "블루 기타 변주곡"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13 고혜진, "미적체험 기반 융합교육 프로그램 수행과정에서 발현되는 사회적 공감능력과 확산적 사고능력 특성: 중등 수⋅과학 영재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653-677, 2021
14 홍기원, "미적경험을 위한 예술교육: 경기학교예술창작소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연극학회 11 (11): 27-48, 2019
15 서울문화재단, "미적 체험과 예술교육" 커뮤니케이션북스 2019
16 유현희, "미술관에 간 심리학" 믹스커피 2019
17 안혜영, "미술감상교육" 트리몬드 2002
18 권용준, "명화로 읽는 서양 미술사" 북하우스 2005
19 윤수진 ; 김영순, "명화감상 미술치료 프로그램 동향에 관한 내용분석" 한국문화교육학회 16 (16): 167-202, 2021
20 정여주, "명화 감상 미술치료" 학지사 2021
21 노현정, "맥신 그린의 이론과 학교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 LCI를 중심으로한 맥신 그린의 철학적 인식에 대한 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4
22 임은미, "맥신 그린의 심미적 교육철학과 링컨센터 예술교육원 음악교육 프로그램"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7
23 서정은, "맥신 그린 (Maxine Greene)의 심미적교육(Aesthetic Education)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24 김주연, "드라마의 교육 방법적 활용 방안 모색 -과정 드라마를 통한 개념 탐구-" 한국드라마학회 (38) : 81-109, 2012
25 O’Neill, C, "드라마 세계-과정 드라마를 위한 체계" 교육과 인간 2019
26 Fleming, M, "드라마 가르치기" 박영스토리 2020
27 정성희, "교육연극의 이해" 연극과 인간 2006
28 김병주, "교육연극의 복합성과 교육의 지향점" 2 : 1-17, 2007
29 최지영, "교육연극에서 드라마전문가(drama specialist)의 역할형성 및 핵심요건 - 과정중심연극의 특성을 중심으로 -" 한국연극교육학회 26 (26): 231-260, 2015
30 황정현, "교육연극(Drama in Education)의 철학적 이해-교과교육학의 이론적 배경을 위하여" 1 : 1-16, 2005
31 Courtney, R, "교육연극 입문" 연극과 인간 2014
32 장연주, "교사를 위한 교육연극의 이론과 실천" 박영스토리 2018
33 구민정, "교과서로 연극 하자" 권재원 2014
34 최지영, "과정 중심 연극으로서의 교육연극" 연극과 인간 2016
35 Dewey, J., "경험으로서의 예술 2" 나남 2016
36 최지영, "‘학습으로서의 드라마’에서 ‘예술로서의 드라마’로 나아가기 - 티칭아티스트(Teaching Artist)의 개념형성 및 토착화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연구소 (21) : 173-196, 2018
37 김란주, "‘심미적 감성 역량’의 개념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7 (37): 1-28, 2019
38 강수연, "LCI 심미적 교육을 활용한 교과통합수업 지도방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9 류재만 ; 박미진, "LCI 교육 기반 온라인 미술 감상 수업 개발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34 (34): 55-84, 2020
40 진승화 ; 문영, "LCE 미적체험 기반 무용교육 프로그램의 청소년 인성 및 역량 증진 효과" 대한무용학회 76 (76): 199-214, 2018
41 임다혜, "D.I.E.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3학년생의 공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