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연극 프로젝트 기반 한국어 수업 사례 연구 - 영상 캐릭터와 앙상블 캐스트를 활용하여 - = A Case Study on a Drama Project-Based Korean Language Class – Using Media Characters and an Ensemble Cast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341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to enhance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which is highly valued in current foreign language education. Audiovisual materials, such as Korean movies and dramas, are fun and natural media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to acquire language skills for real-life situations. However, in foreign language classes, students need to move beyond merely comprehending the target language while watching videos and instead develop their language autonomy to employ the language appropriately in diverse contexts. A project-based Korean language course was designed for Korean language classes at American universities. The course combined video watching and drama activities to create a teaching method that could effectively fulfill learners' demands and enable them to take a more active role in their learning. The project's primary activities comprised producing concise written reports on Korean film or TV drama, engaging in collaborative scriptwriting of a short play, and delivering a play presentation during class. Throughout the semester, students watched a Korean movie or drama weekly, analyzed the characters, and submitted brief reports. Toward the end of the semester, the students, in a small group, selected characters they had collected and worked together to create drama scripts about the possible interactions between their characters. An ensemble cast was used to maintain an equal balance of students' roles and lines in a play. As a result of the project, it was discovered that incorporating characters from Korean films or dramas into the play project helped enrich the basic storyline and plot of student-created scripts. Using an ensemble cast was beneficial for the learners to improve their language proficiency.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using a drama project adapting characters from Korean media is a practical pedagogical approach to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to enhance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which is highly valued in current foreign language education. Audiovisual materials, such as Korean movies and dramas, are fun an...

      This study examines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to enhance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which is highly valued in current foreign language education. Audiovisual materials, such as Korean movies and dramas, are fun and natural media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to acquire language skills for real-life situations. However, in foreign language classes, students need to move beyond merely comprehending the target language while watching videos and instead develop their language autonomy to employ the language appropriately in diverse contexts. A project-based Korean language course was designed for Korean language classes at American universities. The course combined video watching and drama activities to create a teaching method that could effectively fulfill learners' demands and enable them to take a more active role in their learning. The project's primary activities comprised producing concise written reports on Korean film or TV drama, engaging in collaborative scriptwriting of a short play, and delivering a play presentation during class. Throughout the semester, students watched a Korean movie or drama weekly, analyzed the characters, and submitted brief reports. Toward the end of the semester, the students, in a small group, selected characters they had collected and worked together to create drama scripts about the possible interactions between their characters. An ensemble cast was used to maintain an equal balance of students' roles and lines in a play. As a result of the project, it was discovered that incorporating characters from Korean films or dramas into the play project helped enrich the basic storyline and plot of student-created scripts. Using an ensemble cast was beneficial for the learners to improve their language proficiency.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using a drama project adapting characters from Korean media is a practical pedagogical approach to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외국어 학습에서 강조하는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과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학습법을탐구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한국 영화나 드라마와 같은 영상 자료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실제 생활에서사용되는 한국어를 재미있고 자연스럽게 익히기 좋은 매체이다. 그러나 외국어 수업에서는 영상을 보며목표 언어를 단순히 이해하는 것을 뛰어넘어 학생들이 학습한 언어를 상황에 맞게 구사하는 언어 주도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미국 대학에서 한국어 수업을 듣는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영상 보기와 연극 만들기 활동을 연계하는 프로젝트 수업을 운영하여 학습자의 요구도 충족하고 학습자가 주도적인 학습을 할 수 있는 한국어 교수 방법을 만들어 보고자 하였다. 프로젝트의 큰 갈래는 영상 시청 후 한국어로 간단한 보고서 작성하기, 연극 창작, 공연하기였다. 학습자들은 한 학기 동안 매주 한국 영화나 드라마를 보고 캐릭터를 분석하여 간단한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학기 말 프로젝트로는 한 학기 동안 모은 캐릭터를 각 조에서 고른 후 그 캐릭터들이 만났을 때 일어날 만한 상황을 연극 대본으로 공동 창작하게하였다. 이때, 학생들의 역할 비중이나 대사량을 비슷하게 만들 장치로 앙상블 캐스트(ensemble cast)를이용하였다. 프로젝트 결과, 한국 영화나 드라마에서 캐릭터를 차용한 방법은 학생들이 만든 연극의 기본 줄거리를 더 풍성하게 만들었고, 앙상블 캐스트의 활용은 모든 참여자들이 연극에서 한국어를 고르게 구사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영상의 입체적 캐릭터를 활용한 연극 프로젝트 기반 한국어 수업이 효과적인 교수 방법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외국어 학습에서 강조하는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과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학습법을탐구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한국 영화나 드라마와 같은 영상 자료는 한국어 학습자들...

      이 연구는 외국어 학습에서 강조하는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과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학습법을탐구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한국 영화나 드라마와 같은 영상 자료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실제 생활에서사용되는 한국어를 재미있고 자연스럽게 익히기 좋은 매체이다. 그러나 외국어 수업에서는 영상을 보며목표 언어를 단순히 이해하는 것을 뛰어넘어 학생들이 학습한 언어를 상황에 맞게 구사하는 언어 주도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미국 대학에서 한국어 수업을 듣는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영상 보기와 연극 만들기 활동을 연계하는 프로젝트 수업을 운영하여 학습자의 요구도 충족하고 학습자가 주도적인 학습을 할 수 있는 한국어 교수 방법을 만들어 보고자 하였다. 프로젝트의 큰 갈래는 영상 시청 후 한국어로 간단한 보고서 작성하기, 연극 창작, 공연하기였다. 학습자들은 한 학기 동안 매주 한국 영화나 드라마를 보고 캐릭터를 분석하여 간단한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학기 말 프로젝트로는 한 학기 동안 모은 캐릭터를 각 조에서 고른 후 그 캐릭터들이 만났을 때 일어날 만한 상황을 연극 대본으로 공동 창작하게하였다. 이때, 학생들의 역할 비중이나 대사량을 비슷하게 만들 장치로 앙상블 캐스트(ensemble cast)를이용하였다. 프로젝트 결과, 한국 영화나 드라마에서 캐릭터를 차용한 방법은 학생들이 만든 연극의 기본 줄거리를 더 풍성하게 만들었고, 앙상블 캐스트의 활용은 모든 참여자들이 연극에서 한국어를 고르게 구사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영상의 입체적 캐릭터를 활용한 연극 프로젝트 기반 한국어 수업이 효과적인 교수 방법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진, "효과적인 말하기 활동 및 과제에 대하여 -역할극을 중심으로-" 17-24, 2022

      2 노채환, "연극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연구 - 수업 운용 방안을 중심으로 -" 외국어교육연구소 32 (32): 349-372, 2018

      3 김병주, "연극과 교육의 접목 - 초등국어교과의 연극단원 구성에 관한 소고" 한국교육연극학회 10 (10): 95-112, 2018

      4 나은주 ; 나은영, "교육연극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 방안 - 다문화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 인문사회 21 6 (6): 1121-1138, 2015

      5 ACTFL, "World-readiness standards for learning languages–ACTFL"

      6 Kao, S., "Words Into Worlds: Learning a Second Language Through Process Drama"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1998

      7 Albiladi, W., "Learning English through Movies : Adult English Language Learners’ Perceptions" 8 (8): 1567-1574, 2018

      8 Na, E., "Learning Engagement with the Korean-Speaking Community [Presentation]" 2021

      9 Taylor, S., "Integrating Performance Studies into the Foreign Language Curriculum via Digital Media:New Adventures in Multiliteracies" 87 (87): 113-124, 2013

      10 Cho, Y., "Integrated Korean: Beginning 2"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20

      1 김현진, "효과적인 말하기 활동 및 과제에 대하여 -역할극을 중심으로-" 17-24, 2022

      2 노채환, "연극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연구 - 수업 운용 방안을 중심으로 -" 외국어교육연구소 32 (32): 349-372, 2018

      3 김병주, "연극과 교육의 접목 - 초등국어교과의 연극단원 구성에 관한 소고" 한국교육연극학회 10 (10): 95-112, 2018

      4 나은주 ; 나은영, "교육연극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 방안 - 다문화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 인문사회 21 6 (6): 1121-1138, 2015

      5 ACTFL, "World-readiness standards for learning languages–ACTFL"

      6 Kao, S., "Words Into Worlds: Learning a Second Language Through Process Drama"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1998

      7 Albiladi, W., "Learning English through Movies : Adult English Language Learners’ Perceptions" 8 (8): 1567-1574, 2018

      8 Na, E., "Learning Engagement with the Korean-Speaking Community [Presentation]" 2021

      9 Taylor, S., "Integrating Performance Studies into the Foreign Language Curriculum via Digital Media:New Adventures in Multiliteracies" 87 (87): 113-124, 2013

      10 Cho, Y., "Integrated Korean: Beginning 2"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20

      11 Looney, D., "Enrollments in Languages Other Than English in United States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Summer 2016 and Fall 2016: Preliminary Report"

      12 Na, E., "An Ensemble Cast Play Drawn from Characters in TV Dramas and Films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Presentation]" 2019

      13 Kroon, R. W, "A/V a to z: An encyclopedic dictionary of media, entertainment and other Audiovisual terms" McFarland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