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형성적 피드백 실행 척도를 개발하고,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반구조화된 설문 조사와 면담 및 토의를 통해 예비문항(50...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585228
2020
Korean
374
KCI등재
학술저널
83-108(26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형성적 피드백 실행 척도를 개발하고,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반구조화된 설문 조사와 면담 및 토의를 통해 예비문항(50...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형성적 피드백 실행 척도를 개발하고,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반구조화된 설문 조사와 면담 및 토의를 통해 예비문항(50문항)을 개발하였고, 초등학교 교사 470명의 응답 자료를 수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409명의 자료에 대해 Rasch 평정척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형성적 피드백 실행의 6개 하위요인(계획, 과정, 질문, 향상, 격려, 자기규제)에 대해 Rasch 모형을 적용한 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1차 5요인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교사의 형성적 피드백 실행 척도는 5개의 하위요인(총 22개 문항), 즉 비계의 계획요인(4개 문항), 비계의 과정요인(6개 문항), 모니터링의 향상요인(4개 문항), 모니터링의 격려요인(4개 문항), 그리고 모니터링의 자기규제요인(4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하위요인별 신뢰도가 높았으며, 하위요인 간 상관도 유의하였다. 초등학교 교사의 형성적 피드백 실행 척도의 하위요인은 기존의 학습을 위한 평가척도(단축형) 및 평가인식 척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교 교사의 형성적 피드백 실행 척도가 초등학교 교사들의 형성적 피드백 실제를 평가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의 성공적 안착을 위한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성취평가제와 핀란드의
교육 정책과 관련된 주요 문헌들을 분석한 결과, 평가 목적의 측면에서 우리나라는 외부자의
시선에서 학습에 대한 평가를 이루고자 하는 반면 핀란드는 학생 스스로의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
는 학습을 위한 평가를 이루는 데 목적을 두고 있었고, 평가 거버넌스의 측면에서 교과목별 담당
교사가 평가에 대한 책임과 권한을 모두 가지는 우리나라와는 달리 핀란드는 담당교사가 출제 및
평가한 내용을 외부 사정관이 검토하는 방식의 이차원적 체제를 유지하고 있었다. 평가 과정의
측면에서 우리나라는 고정 분할점수 또는 단위학교 산출 분할점수 중 하나를 선택하지만, 핀란드
는 국가 차원에서 제공되는 명확한 평가기준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평가 결과의
측면에서 양국은 모두 총괄평가와 형성평가의 합산으로 학생의 등급을 결정하나 대학 입시에서
한국은 상대평가 등급을, 핀란드는 절대평가 등급을 반영하고 있었다. 평가 역량 측면에서 성취평
가제는 교육과정과 평가의 일체화를 도모하는 데 긍정적 기여를 하고 있었고, 핀란드는 전문성과
자율성을 보장받는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교사 스스로가 평가역량을 구축해나가고 있었다. 마
지막으로 평가 문화의 측면에서 내신 성적이 대학입시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우리나라
와는 달리 핀란드는 대학입학시험과 대학별 본고사가 더욱 중요한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상
의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다음의 제언을 이루고자 한다. 첫째, 평가의 신뢰도 회복을
위하여 단위학교 산출 분할점수의 방식을 변형할 필요가 있고, 둘째, 교사 별 평가 결과에 대한
객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외부장치의 마련이 필요하며, 셋째, 교사의 평가 전문성 제고
를 위하여 교사의 자율성과 전문성을 보장해줄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될 필요가 있고,
넷째, 성취평가제의 지속성 유지를 위하여 정부 차원에서 제도에 대한 확고하고 구체적인 입장을
표명할 필요가 있으며, 다섯째, 대학에서는 고교 내신 반영 방식의 제고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형성평가를 실시함에 있어서 학생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데 더욱 초점을 둘 필요가 있음을 제언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formative feedback practice scal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test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s, interviews and discussions yielded 50 pilot items. These i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formative feedback practice scal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test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s, interviews and discussions yielded 50 pilot items. These items were administer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data from 409 teachers were analyzed through Rasch rating scale analyses,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correlation analyses. The Rasch model was applied to each of the 6 formative feedback practice factors(i.e., planning, process, questioning, improvement, encouragement, and self-regulation).
The results from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indicated that the first-order five-factor model showed reasonable fit. Thus, the formative feedback practice scal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sisted of planning scaffolding(4 items), process scaffolding(6 items), improvement monitoring(4 items), encouragement monitoring(4 items), and self-regulation monitoring(4 items).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ies of the sub-scales were high, and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sub-sca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5 sub-scales of the formative feedback practice scal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ub-scales of the assessment for learning questionnaire(short-form) and the conceptions of assessment scale. The formative feedback practice scal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y be useful for measuring and assess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feedback practice in the classroom.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민애, "학습을 위한 평가 척도(AFL-Q)의 타당화" 한국교육평가학회 29 (29): 101-121, 2016
2 신종호, "학습동기" 학지사 [서울] 2013
3 박민애, "학생용 피드백 리터리시 척도(FLSS) 개발 및 타당화" 경북대학교 2019
4 강대중, "초등학교 교사들의 형성평가에 대한 인식 및 실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27-43, 2014
5 이빛나, "초등교사의 형성적 피드백이 학생의 기본심리욕구와 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교사-학생 관계의 조절효과" 경북대학교 2017
6 안희상, "초·중등학교의 학교풍토와 교사의 피드백 인식이 피드백 실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평가학회 30 (30): 445-465, 2017
7 신현숙, "중학생용 학교생활참여척도(K-SES-M) 단축형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4 (14): 149-180, 2017
8 손원숙, "중등 예비교사의 평가인식 잠재프로파일 분석 : 피드백 경험과 성취목표와의 관계" 한국교육평가학회 32 (32): 375-395, 2019
9 김성숙, "교수․학습과 하나되는 형성평가" 학지사 2015
10 지은림, "교사의 형성평가 피드백 수행 척도 개발 및 타당화-Rasch 모형의 적용-" 한국교육평가학회 23 (23): 79-100, 2010
1 박민애, "학습을 위한 평가 척도(AFL-Q)의 타당화" 한국교육평가학회 29 (29): 101-121, 2016
2 신종호, "학습동기" 학지사 [서울] 2013
3 박민애, "학생용 피드백 리터리시 척도(FLSS) 개발 및 타당화" 경북대학교 2019
4 강대중, "초등학교 교사들의 형성평가에 대한 인식 및 실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27-43, 2014
5 이빛나, "초등교사의 형성적 피드백이 학생의 기본심리욕구와 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교사-학생 관계의 조절효과" 경북대학교 2017
6 안희상, "초·중등학교의 학교풍토와 교사의 피드백 인식이 피드백 실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평가학회 30 (30): 445-465, 2017
7 신현숙, "중학생용 학교생활참여척도(K-SES-M) 단축형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4 (14): 149-180, 2017
8 손원숙, "중등 예비교사의 평가인식 잠재프로파일 분석 : 피드백 경험과 성취목표와의 관계" 한국교육평가학회 32 (32): 375-395, 2019
9 김성숙, "교수․학습과 하나되는 형성평가" 학지사 2015
10 지은림, "교사의 형성평가 피드백 수행 척도 개발 및 타당화-Rasch 모형의 적용-" 한국교육평가학회 23 (23): 79-100, 2010
11 지은림, "교사의 피드백 수행을 위한 구성요인 및 특성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소 10 (10): 77-102, 2009
12 노현종, "교사의 숙제 피드백이 학생의 자기조절학습, 과제가치, 학습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평가학회 28 (28): 879-902, 2015
13 Meyer, J. P., "jMETRIK 4.1.1 computer program"
14 Black, P., "Working inside the bl ack box: Assessment for learning in the classroom" 86 : 8-21, 2004
15 Wiliam, D., "What is assessment for learning?" 37 : 3-14, 2011
16 Pat-El, R. J., "Validation of assessment for learning questionnaires for teachers and students" 83 (83): 98-113, 2013
17 Browne, M. W.,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Sage 136-162, 1993
18 Brown, G. T., "Teacher beliefs about feedback within an assessment for learning environment : Endorsement of improved learning over s tudent well-being" 28 : 968-978, 2012
19 Brown, G. T., "Self-reguration of assessment beliefs and attitudes : A review of th e Students’ Conceptions of Assessment inventory" 31 (31): 731-748, 2011
20 Wright, B. D., "Reasonable mean-square fit values" 8 : 370-371, 1994
21 박민애, "Rasch 평정척도모형을 통한 학습을 위한 평가 척도(AFL-Q)의 단축형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평가학회 31 (31): 411-434, 2018
22 Wolfe, E. W., "Rasch measurement: Advanced and specialized ap plications" Jam Press 202-242, 2007
23 Yan, Z., "Primary teachers’ attitudes, intetions and practices re garding formative assessment" 45 : 128-136, 2015
24 Scriven, M., "Perspectives of curriculum evaluation" Rand McNally 39-83, 1967
25 Hair, J. F., "Multiva riate data analysis" Pearson 2006
26 D. H. Schunk, "Motivation in education: Theory, resea rch, and applications" Merrill 2008
27 설현수, "Messick의 타당도 관점에서 Rasch 측정모형 적용을 통한 대학 강의평가 도구개발의 타당화" 한국교육평가학회 20 (20): 31-51, 2007
28 Martin, A. J.,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otivation, engagement, and achievement : Yields for theory, current issues, and educational practice" 79 : 327-365, 2009
29 Bransford, J. D., "How people learn: Brain, mind, experience, and school" National Academies Press 2000
30 Bloom, B. S., "Handbook on formative and summative evaluation of student learning" McGraw-Hill 1971
31 Stiggins, R., "Handbook of formative assessment" Routledge 233-250, 2010
32 Bennett, R. E., "Formative assessment: A critical review" 18 : 5-25, 2011
33 Nicol, D. J., "Formative assessment and self-regulated learning : A model and seven principles of good feedback practice" 31 : 199-218, 2006
34 Shute, V. J., "Focus on formative feedback" 78 (78): 153-189, 2008
35 Bloom, B. S., "Favorable learning conditions for all" 95 : 22-28, 1977
36 Hu, L.,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 s :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6 (6): 1-55, 1999
37 Florez, M. T., "Assessment for learning: Effect and impact. CfBT Education Trust" University of Oxford 2013
38 Bond, T. G., "Applying the Rasch model: Fundamental measuremen t in the human sciences" Routledge 2015
39 Meyer, J. P., "Applied measurement with jMETRIK" Routledge 2014
40 Arbuckle, J. L., "Amos(Version 22.0) computer program" IBM-SPSS 2013
41 Linacre, J. M., "A user’s guide to WINSTEPS: Rasch-Model computer program"
해외 사회과 교육과정 비교를 통한 역량기반 사회과 교육과정 구성의 시사점 탐색
과학 관련 정의적 특성과 교수방법이 학생들의 과학 성취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12-2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5-1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교육과정평가연구외국어명 : The Journal of Curriculum & Evaluation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7 | 0.87 | 1.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2 | 0.77 | 1.353 | 0.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