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국의 재난관리체계에 대한 비교고찰 : 모든 위험 접근법 및 지역사회 재난대응팀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947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민안전처는 국민의 안전과 국가적 재난관리를 위한 재난안전 총괄기관으로 국가 재난관리 체계 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다. 2015년 3월 30일에는 우리나라의 안전관리체계를 전면적으로 혁신하는 것 을 주된 내용으로 하는 ‘안전혁신 마스터플랜’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가재난관리체계가 완 성되었다고 보는 전문가는 많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재난관리 선진국이라고 할 수 있는 미국의 국가재난관리체계, 그 중에서도 특히 미국의 모든 위험 접근법 및 지역사회 재난대응팀 프로그램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에 적합한 국가 재난관리체계가 수립되어져야 할 것이 며, ‘안전혁신 마스터플랜’또한 수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번역하기

      국민안전처는 국민의 안전과 국가적 재난관리를 위한 재난안전 총괄기관으로 국가 재난관리 체계 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다. 2015년 3월 30일에는 우리나라의 안전관리체계를 전면적으로 혁...

      국민안전처는 국민의 안전과 국가적 재난관리를 위한 재난안전 총괄기관으로 국가 재난관리 체계 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다. 2015년 3월 30일에는 우리나라의 안전관리체계를 전면적으로 혁신하는 것 을 주된 내용으로 하는 ‘안전혁신 마스터플랜’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가재난관리체계가 완 성되었다고 보는 전문가는 많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재난관리 선진국이라고 할 수 있는 미국의 국가재난관리체계, 그 중에서도 특히 미국의 모든 위험 접근법 및 지역사회 재난대응팀 프로그램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에 적합한 국가 재난관리체계가 수립되어져야 할 것이 며, ‘안전혁신 마스터플랜’또한 수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is a backbone of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Korea, coordinating all of the safety and disaster-related preparation and response activities. In particular, on 30 March 2015, the Ministry publicized the Master Plan for Safety Innovation which is mainly geared towards revamping the then emergency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in Korea. Despite these efforts, few experts still acknowledges that Korea’s Disaster Management System has been stabilized since then. In this context, this paper looks into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System in the USA, and particularly, explores its All-Hazard Approach, Risk Assessment, and Community Emergency Response Team(CERT) program respectively. Based on this investigation, the paper tries to provide context-based policy implications, and noticeably argues that the Mater Plan for Safety Innovation should be comprehensively amended.
      번역하기

      The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is a backbone of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Korea, coordinating all of the safety and disaster-related preparation and response activities. In particular, on 30 March 2015, the Ministry publicize...

      The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is a backbone of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Korea, coordinating all of the safety and disaster-related preparation and response activities. In particular, on 30 March 2015, the Ministry publicized the Master Plan for Safety Innovation which is mainly geared towards revamping the then emergency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in Korea. Despite these efforts, few experts still acknowledges that Korea’s Disaster Management System has been stabilized since then. In this context, this paper looks into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System in the USA, and particularly, explores its All-Hazard Approach, Risk Assessment, and Community Emergency Response Team(CERT) program respectively. Based on this investigation, the paper tries to provide context-based policy implications, and noticeably argues that the Mater Plan for Safety Innovation should be comprehensively amend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미국의 재난관리체계 개괄
      • 3. 미국의 모든 위험 접근법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미국의 재난관리체계 개괄
      • 3. 미국의 모든 위험 접근법
      • 3.1 개념
      • 3.2 위험평가(Risk Assessment)
      • 4. 미국의 지역사회 재난대응팀(CERT) 프로그램
      • 4.1 개요
      • 4.2 주요내용
      • 5. 바람직한 국가재난관리체계의 정립
      • 5.1 ‘안전혁신 마스터플랜’에 대한 재검토
      • 5.2 모든 위험 접근법의 적용
      • 5.3 시민의 재난관리 주체성 인정
      • 6.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욱, "재난관리에 있어서 모든 위험 접근법(All-Hazard Approach)의 의의와 정책적 시사점" 한국경호경비학회 (40) : 7-33, 2014

      2 "http://www.mpss.go.kr/orgIntro/history.do"

      3 "http://www.edaily.co.kr/news/realtime/realtime_NewsRead.asp?newsid=01269366609308896"

      4 "http://m.blog.daum.net/_blog/_m/articleView.do?blogid=0M2Ex&articleno=6985120"

      5 "http://koreablog.korea.kr/628"

      6 M. A. Brennan, "Uncovering the hidden dimensions of rural disaster mitigation: Capacity building through community emergency response teams" 22 (22): 111-126, 2007

      7 M. Derthick, "The transformation that fell short: Bush, Federalism, and Emergency Management" The Nelson A. Rockefeller Institute of Government 2009

      8 K. Grimes, "The Use of Community Emergency Response Teams after a Disaster" National Fire Academy 1999

      9 FEMA, "Principles of Emergency Management Supplement"

      10 D. M. Simpson, "Non-institutional sources of assistance following a disaster: potential triage and treatment capabilities of neighborhood-based preparedness organizations" 15 (15): 73-80, 2000

      1 강욱, "재난관리에 있어서 모든 위험 접근법(All-Hazard Approach)의 의의와 정책적 시사점" 한국경호경비학회 (40) : 7-33, 2014

      2 "http://www.mpss.go.kr/orgIntro/history.do"

      3 "http://www.edaily.co.kr/news/realtime/realtime_NewsRead.asp?newsid=01269366609308896"

      4 "http://m.blog.daum.net/_blog/_m/articleView.do?blogid=0M2Ex&articleno=6985120"

      5 "http://koreablog.korea.kr/628"

      6 M. A. Brennan, "Uncovering the hidden dimensions of rural disaster mitigation: Capacity building through community emergency response teams" 22 (22): 111-126, 2007

      7 M. Derthick, "The transformation that fell short: Bush, Federalism, and Emergency Management" The Nelson A. Rockefeller Institute of Government 2009

      8 K. Grimes, "The Use of Community Emergency Response Teams after a Disaster" National Fire Academy 1999

      9 FEMA, "Principles of Emergency Management Supplement"

      10 D. M. Simpson, "Non-institutional sources of assistance following a disaster: potential triage and treatment capabilities of neighborhood-based preparedness organizations" 15 (15): 73-80, 2000

      11 J. C. Pine, "Natural Hazards Analysis: Reducing the Impacts of Disasters" CRC Press: Taylor & Francis Group 2009

      12 FEMA, "Multi Hazard Identification and Risk assessment: A Cornerstone of the National Mitigation Strategy" FEMA 1997

      13 J. A. Bullock, "Introduction to Homeland Security: Principles of All-hazards Response" Elsevier/Butterworth-Heinemann 1-28, 2015

      14 R. Prizzia, "Emergency preparedness and disaster management in Hawaii" 10 (10): 173-182, 2001

      15 F. W. Borden, "Community Preparedness and Disaster Response: The City of Los Angeles Community Emergency Response Team Program"

      16 C. G. Flint, "Community Emergency Response Teams: From Disaster Responders to Community Builders" 1 (1): 1-9, 2006

      17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Civil Defense and Homeland security: A Short History of Preparedness Efforts" Homeland Security National Preparedness Task Force 2006

      18 C. Bellavita, "Changing Homeland Security: What is Homeland Security?" 4 (4): 1-30, 2008

      19 J. Jeong, "Basic Directions of the Master Plan for Safety Innovation and Cases from Overseas"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 탈락 (기타)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 0.644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