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남한 주민을 위한 북한어 어휘 교재 개발 - <놀이문화>를 중심으로 - = Development of North Korean Vocabulary Textbooks for South Koreans -Focused on < Play culture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753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상호문화주의 관점을 기반으로 남북한 간 이해와 소통을 위한 어휘 교재의 필요성을 제안하며 이를 위해 놀이문화 단원을 중심으로 어휘 교재 개발 방향을 논의한 연구이다. 신명선 외(2012)와 겨레말큰사전 남북공동편찬사업회(2017)의 연구에서 추출한 놀이문화 어휘를 검토하고 아직 발굴하지 못한 어휘를 수집하기 위해 2012년 개편된 북한 국어 교과서 속 놀이문화 어휘와 유튜브 채널을 통해 북한 놀이문화를 소개하는 동영상 속 어휘도 추출하였다. 조사된 어휘가 북한에서 잘 활용되는 어휘인지 검증하기 위해 북한이탈주민 3명의 인터뷰가 진행되었다. 교재는 상호문화이해를 기반으로 이야기 속에서 어휘를 인식할 수 있도록 [도입-전개-확장-생각해 보기] 등 4단계로 구성하였다. 전체 구성 중 두 개의 단원을 샘플로 본고에서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고는 상호문화주의 관점을 기반으로 남북한 간 이해와 소통을 위한 어휘 교재의 필요성을 제안하며 이를 위해 놀이문화 단원을 중심으로 어휘 교재 개발 방향을 논의한 연구이다. 신명선 ...

      본고는 상호문화주의 관점을 기반으로 남북한 간 이해와 소통을 위한 어휘 교재의 필요성을 제안하며 이를 위해 놀이문화 단원을 중심으로 어휘 교재 개발 방향을 논의한 연구이다. 신명선 외(2012)와 겨레말큰사전 남북공동편찬사업회(2017)의 연구에서 추출한 놀이문화 어휘를 검토하고 아직 발굴하지 못한 어휘를 수집하기 위해 2012년 개편된 북한 국어 교과서 속 놀이문화 어휘와 유튜브 채널을 통해 북한 놀이문화를 소개하는 동영상 속 어휘도 추출하였다. 조사된 어휘가 북한에서 잘 활용되는 어휘인지 검증하기 위해 북한이탈주민 3명의 인터뷰가 진행되었다. 교재는 상호문화이해를 기반으로 이야기 속에서 어휘를 인식할 수 있도록 [도입-전개-확장-생각해 보기] 등 4단계로 구성하였다. 전체 구성 중 두 개의 단원을 샘플로 본고에서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uggests the necessity of a vocabulary textbook for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based on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ism. Also, this study discusses the direction of vocabulary textbook development focusing on the play culture unit. The textbook is composed of four stages such as [Introduction -Development-Expansion-Thinking] to recognize the vocabulary in the story based on interculturalism. Two units of the overall configuration are presented in this paper as a sample.
      번역하기

      This paper suggests the necessity of a vocabulary textbook for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based on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ism. Also, this study discusses the direction of vocabulary textbook development focu...

      This paper suggests the necessity of a vocabulary textbook for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based on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ism. Also, this study discusses the direction of vocabulary textbook development focusing on the play culture unit. The textbook is composed of four stages such as [Introduction -Development-Expansion-Thinking] to recognize the vocabulary in the story based on interculturalism. Two units of the overall configuration are presented in this paper as a sampl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영환, "효율적인 국어과 교재 구성 방안" 국어교육학회 (16) : 2003

      2 구본관, "한국어에 나타나는 언어적 상상력" 국어국문학회 (146) : 55-92, 2007

      3 김지영, "학습 한국어 능력 신장을 위한 어휘 교재의 개발 방향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359-1384, 2019

      4 이유경, "학문 목적 한국어 어휘학습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민족어문학회 (74) : 187-214, 2015

      5 권순희, "통일 시대를 여는 생활 필수 어휘" 하우출판사 2014

      6 오현아, "이야기를 활용한 품사 단원 내용 구성에 대한 고찰" 한국어교육학회 (133) : 145-181, 2010

      7 김은성, "이야기를 활용한 문법 교육 가능성 탐색" 한국어교육학회 (122) : 353-383, 2007

      8 권재일, "우리말의 미래와 남북 언어 통합 방안" 우리말글학회 31 : 1-27, 2004

      9 최기호, "언어와 사회_언어와 사회의 유쾌한 춤사위를 위하여" 한국문화사 2004

      10 곽노경, "어휘를 통한 프랑스 문화교육" 87-98, 2015

      1 최영환, "효율적인 국어과 교재 구성 방안" 국어교육학회 (16) : 2003

      2 구본관, "한국어에 나타나는 언어적 상상력" 국어국문학회 (146) : 55-92, 2007

      3 김지영, "학습 한국어 능력 신장을 위한 어휘 교재의 개발 방향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359-1384, 2019

      4 이유경, "학문 목적 한국어 어휘학습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민족어문학회 (74) : 187-214, 2015

      5 권순희, "통일 시대를 여는 생활 필수 어휘" 하우출판사 2014

      6 오현아, "이야기를 활용한 품사 단원 내용 구성에 대한 고찰" 한국어교육학회 (133) : 145-181, 2010

      7 김은성, "이야기를 활용한 문법 교육 가능성 탐색" 한국어교육학회 (122) : 353-383, 2007

      8 권재일, "우리말의 미래와 남북 언어 통합 방안" 우리말글학회 31 : 1-27, 2004

      9 최기호, "언어와 사회_언어와 사회의 유쾌한 춤사위를 위하여" 한국문화사 2004

      10 곽노경, "어휘를 통한 프랑스 문화교육" 87-98, 2015

      11 김은정, "어휘를 통한 프랑스 문화 교육"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12 구본관, "어휘 교육론" 사회평론아카데미 2014

      13 신명선, "새터민을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박이정 2012

      14 신명선, "새터민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연구보고서" 국립국어원 2010

      15 권순희, "북한이탈주민의 대한민국 정착을 위한 생활어휘 1, 2, 3" 하우출판사 2012

      16 권순희, "북한이탈주민의 대한민국 정착을 위한 생활 말하기" 하우출판사 2013

      17 권순희, "북한이탈주민 남한 직장 생활 용어집" 중소기업중앙회 2012

      18 고유환, "북한연구에 있어 일상생활연구방법의 가능성과 과제" 북한학연구소 7 (7): 5-24, 2011

      19 김인전, "북한 인민학교 교과서 분석"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7

      20 서성우, "북한 사회의 일상 언어생활" 1985 : 88-94, 1985

      21 한성우, "문화어 수업" 어크로스 2019

      22 정혜승, "돋음국어초등 5" 교육부, 인천광역시교육청, 한국교육개발원 2016

      23 권순희, "돋음국어초등 3-1" 교육부, 인천광역시교육청, 한국교육개발원 2015

      24 원진숙, "돋음국어 중등1" 교육부, 인천광역시교육청, 한국교육개발원 2014

      25 원진숙, "돋음국어 중등 3" 교육부, 인천광역시교육청, 한국교육개발원 2016

      26 원진숙, "돋음국어 중등 2" 교육부, 인천광역시교육청, 한국교육개발원 2015

      27 정혜승, "돋음 국어초등 6" 교육부, 인천광역시교육청, 한국교육개발원 2016

      28 권오현, "독일통일의 경험에 따른 남 · 북한 학교 외국어교육 통합 방안"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34 (34): 7-42, 2005

      29 김정현, "다문화주의와 상호문화주의의 차이에 대한 한 해석 찰스 테일러의 견해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소 82 : 70-99, 2017

      30 Hillier, S., "노인심리와 사회" 창지사 2006

      31 Carol, L.,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이야기를 통한 학습 통합" 학이당 2007

      32 최용기, "남북의 언어 차이와 동질성 회복 방안" 한국국학진흥원 1 (1): 199-228, 2007

      33 이승재, "남북언어 순화 자료집 1-남과 북이 서로 같게 순화한 용어를 중심으로" 국립국어연구원 2002

      34 신중진, "남북 역사 분야 전문용어 구축" 국립국어원 2018

      35 홍종선, "남북 언어 통일 방안 연구" 문화관광부 1998

      36 겨레말큰사전남북공동편찬사업회, "남북 생활 용어" 한국문화사 2017

      37 신중진, "남북 국어 분야 전문용어 구축" 국립국어원 2017

      38 김선철, "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2" 국립국어원 2008

      39 김문오, "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1" 국립국어원 2007

      40 조위수, "남·북한 사회문화적 통합을 위한 상호문화교육 방안 연구 - 북한이탈주민과 선주민을 대상으로 -"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9 (9): 105-128, 2020

      41 최현섭, "국어교육학개론" 삼지원 1999

      42 이기연, "국어 어휘에 나타난 한국 문화에 대한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50) : 57-82, 2015

      43 이충우, "국어 어휘 교육의 개선 방안" 국어교육학회 (24) : 385-408, 2005

      44 리수향, "국어 소학교 2-2" 교육도서출판사 2014

      45 리수향, "국어 소학교 1학년" 교육도서출판사 2013

      46 신중진, "2016년 남북 전문용어 구축" 국립국어원 2016

      47 신중진, "2015년 남북 기초 전문용어 분석" 국립국어원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10-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ln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17-05-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Associa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1.04 1.728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