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병대의 정체성에 대한 질적 연구: 개인적, 관계적, 조직적 차원을 중심으로 = A Qualitative Study of Marine Corps Identity: Focusing on Individual, Relational, and Organizational Dimens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289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해병대는 그 특유한 문화와 정체성에 힘입어 우수한 성과를 계속해서 보여주었다. 그러나 최근 다발하는 병영 사고를 방지하고 21세기에 적합한 군대로 조직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해병대 정체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병대의 집단정체성에 대한 기존 연구는 이론적 논의에 국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역 해병대원에게 심층면담 및 개방형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현역 해병대원이 공유하는 해병대 정체성을 조사하고 개인, 관계 및 조직적 측면에서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해병대 정체성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개인적 차원에서 해병대는 자신을 강하고 특별한 군인으로 인식했다. 관계적 차원에서 해병대는 서로를 신뢰할 수 있는 전우이자 운명 공동체로 인식했다. 여기에는 해병대의 위계적 특성이 반영되었다. 조직적 측면에서 해병대는 해병대를 자랑스러운 부대로 인식하였다. 이는 해병대에 대한 헌신으로 이어졌다. 종합적으로 해병대의 집단정체성은 강인함, 전우애, 헌신으로 요약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해병대원이 공유하는 정체성을 강인함, 전우애, 헌신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후속연구 진행 및 해병대 핵심가치의 교육과 병영사고 예방, 21세기형 해병대 정립에 이러한 이해가 반영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한국 해병대는 그 특유한 문화와 정체성에 힘입어 우수한 성과를 계속해서 보여주었다. 그러나 최근 다발하는 병영 사고를 방지하고 21세기에 적합한 군대로 조직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해병...

      한국 해병대는 그 특유한 문화와 정체성에 힘입어 우수한 성과를 계속해서 보여주었다. 그러나 최근 다발하는 병영 사고를 방지하고 21세기에 적합한 군대로 조직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해병대 정체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병대의 집단정체성에 대한 기존 연구는 이론적 논의에 국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역 해병대원에게 심층면담 및 개방형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현역 해병대원이 공유하는 해병대 정체성을 조사하고 개인, 관계 및 조직적 측면에서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해병대 정체성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개인적 차원에서 해병대는 자신을 강하고 특별한 군인으로 인식했다. 관계적 차원에서 해병대는 서로를 신뢰할 수 있는 전우이자 운명 공동체로 인식했다. 여기에는 해병대의 위계적 특성이 반영되었다. 조직적 측면에서 해병대는 해병대를 자랑스러운 부대로 인식하였다. 이는 해병대에 대한 헌신으로 이어졌다. 종합적으로 해병대의 집단정체성은 강인함, 전우애, 헌신으로 요약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해병대원이 공유하는 정체성을 강인함, 전우애, 헌신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후속연구 진행 및 해병대 핵심가치의 교육과 병영사고 예방, 21세기형 해병대 정립에 이러한 이해가 반영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n Marine Corps has performed excellently thanks to its unique culture and identity. However, understanding the Marine Corps' identity is necessary to prevent frequent bullying and hazing and transform the organization into an army fit for the 21st century. Nevertheless, previous research on the Marines’ group identity has been limited to theoretical discussion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arine Crops' identity shared by active-duty Marin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it from individual, relational, and organizational perspectiv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t the individual level, Marines perceived themselves as strong and special soldiers. At the relational level, Marines perceived each other as trustworthy comrades and a common fate community.
      This reflected the hierarchical nature of the Marine Corp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Marines perceived the Marine Corps as a proud unit. This led to commitment to the Marine Corps. The Marine Corps’ group identity can be summarized as strength, comradeship, and commitment.
      Through this study, we understood the Marine Corps’ identity through the keywords of strength, comradeship. We suggested that this understanding should be reflected in further research, Marine education, prevention of bullying and hazing, and establishment of a 21st-century Marine Corps.
      번역하기

      The Korean Marine Corps has performed excellently thanks to its unique culture and identity. However, understanding the Marine Corps' identity is necessary to prevent frequent bullying and hazing and transform the organization into an army fit for the...

      The Korean Marine Corps has performed excellently thanks to its unique culture and identity. However, understanding the Marine Corps' identity is necessary to prevent frequent bullying and hazing and transform the organization into an army fit for the 21st century. Nevertheless, previous research on the Marines’ group identity has been limited to theoretical discussion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arine Crops' identity shared by active-duty Marin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it from individual, relational, and organizational perspectiv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t the individual level, Marines perceived themselves as strong and special soldiers. At the relational level, Marines perceived each other as trustworthy comrades and a common fate community.
      This reflected the hierarchical nature of the Marine Corp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Marines perceived the Marine Corps as a proud unit. This led to commitment to the Marine Corps. The Marine Corps’ group identity can be summarized as strength, comradeship, and commitment.
      Through this study, we understood the Marine Corps’ identity through the keywords of strength, comradeship. We suggested that this understanding should be reflected in further research, Marine education, prevention of bullying and hazing, and establishment of a 21st-century Marine Corp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