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전쟁 양상은 물리적 충돌을 넘어 인지 영역에서 영향력 확보가 전쟁의 승패를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미디어전 수행이 단순히 정보 전달이나여론 조작의 수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28945
202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17-152(3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대 전쟁 양상은 물리적 충돌을 넘어 인지 영역에서 영향력 확보가 전쟁의 승패를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미디어전 수행이 단순히 정보 전달이나여론 조작의 수단...
현대 전쟁 양상은 물리적 충돌을 넘어 인지 영역에서 영향력 확보가 전쟁의 승패를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미디어전 수행이 단순히 정보 전달이나여론 조작의 수단이 아닌, 전쟁 자체를 설계하고 수행하는 전략 플랫폼으로 기능할 수있음을 이론적 논의와 사례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지금의 전쟁 수행 방식은 기존의물리적 전투 중심에서 벗어나 인지 영역에서 정보와 내러티브의 중요성이 전쟁의 패러다임까지 바꿨다. 전쟁은 정보 우위를 달성하기 위해 미디어를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진화된 기술은 미디어의 무기화 경향성을 높였으며, 미디어전 수행방식을 더욱 정교하게 하고 영향력을 확대하였다.
이번 연구는 전쟁 환경의 변화와 미디어 기술의 발전을 고려하여 인지 영역에 대한전쟁 수행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미디어전의 개념적 정의를 확장하고, 기존 연구에서 단편적으로 접근했던 유사 개념을 포함하여 현대전에서 미디어전이 차지하는 전략적 역할을 규정하고자 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아울러, 최근 발발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등 실제 사례를 통해 구체적인 미디어 활용 방식과 효과를 살펴보고, 도출된 시사점을 고려하여 정신전력 강화를 미디어전 수행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번 연구는 미디어를 중심으로 인지 영역의 전쟁 양상을 미디어전 범주로 통합하고, 포괄적이며 체계적인 대응 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개념적 틀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최근전쟁 사례를 통해 '효과적인 미디어전 수행이 정신전력 강화로 직결된다'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미디어를 독립적인 작전 영역(Operational Domain)으로 체계화하고, ‘미디어전 교리화’ 및 ‘단계별 미디어전 수행전략 수립’을 구체화하는 방안을 모색할필요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modern warfare, securing influence within the cognitive domain has emerged as a crucial factor that determines the outcome of conflicts, surpassing mere physical confrontations. This study confirms, through theoretical discussion and case analysis,...
In modern warfare, securing influence within the cognitive domain has emerged as a crucial factor that determines the outcome of conflicts, surpassing mere physical confrontations. This study confirms, through theoretical discussion and case analysis, that media warfare functions not simply as a means of information dissemination or public opinion manipulation, but as a strategic platform for the design and execution of warfare itself. Contemporary methods of warfare have moved beyond a focus on physical combat, with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and narrative in the cognitive domain fundamentally transforming the very paradigm of war. To achieve information superiority, states are leveraging media more actively and strategically.
The evolution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has further accelerated the weaponization of media, making media warfare methods more sophisticated and significantly expanding their influ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eeks to strengthen capabilities for warfare in the cognitive domain by broadening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media warfare, incorporating related concepts that were previously addressed only in a fragmented manner, and clarifying the strategic role of media warfare within modern conflicts.
Furthermore, by analyzing real-world cases such as the recent Russia–Ukraine war and the Israel–Hamas conflict, the study examines specific methods of media utilization and their effectiveness, and proposes media warfare strategies aimed at enhancing psychological resilience based on the insights gained.
This research offers policy implications by establishing a conceptual framework for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response strategy, integrating the characteristics of cognitive warfare under the broader category of media warfare—a new paradigm in contemporary conflict. It also confirms that effective media warfare is directly linked to the strengthening of psychological resilience, as demonstrated in recent conflicts.
Future research should aim to institutionalize media as an independent operational domain and concretize the ‘doctrinalization of media warfare’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step-by-step media warfare execution strategies’.
충무공 이순신의 리더십 연구:육군 리더십 모형의 6대 범주를 중심으로
뒤 피크 사상의 현대적 함의: 「전투연구」의 정신전력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