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인과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간의 타인종 얼굴에 대한 ERP 요소의 흥분성 조절 비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815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다른 인종의 얼굴 인식에 대한 연구는 지각, 정서, 사회문화적인 과정 등 다양한 수준에서 연구되어 왔다. 특히, “다른 인종 효과(other race effect, ORE)”와 관련된 많은 수의 연구들에서, 신원이나 정서와 같은 얼굴에 대한 미묘한 정보가 처리되는 과정에서 ‘다른 인종’이라는 인종적인 요소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인종적인 요소가 아닌, 다른 인종의 얼굴에 대한 인지적인 조절로 ORE를 설명하려는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다른 인종의 얼굴을 처리함에 있어서 생소하기(낯설기) 때문에 나타날 수 있는 인지적인 작용 여부를 사건관련전위(event-related potential, ERP)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22명의 한국인과 9명의 백인에게 한국인과 백인의 정서가 표현된 얼굴사진을 보여주면서 성별 분류과제를 수행하였다. 한국인의 경우 백인의 얼굴 사진에 대하여 한국인의 얼굴 사진보다 더 증가된 P3 전위 값을 보였고, 이러한 결과는 한국인들이 자극 인식 초기 과정에서 다른 인종의 얼굴 사진에 대하여 더욱 주의를 기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흥미롭게도, 백인들은 한국인의 얼굴 사진을 보았을 때 증가된 P3 전위 값을 보이지 않았는데, 아마도 실험에 참여한 백인들의 경우 한국에서 생활을 하면서 많은 사회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한국인 얼굴에 대하여 탈민감화 되어 한국인의 얼굴이 더 이상 생소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인종의 얼굴은 자동적으로 주의를 끌어당기는 높은 각성수준을 갖는 현저한 자극이지만, 반복적인 노출만으로도 탈민감화 되어 타인종의 얼굴에 대한 각성수준이 낮아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번역하기

      다른 인종의 얼굴 인식에 대한 연구는 지각, 정서, 사회문화적인 과정 등 다양한 수준에서 연구되어 왔다. 특히, “다른 인종 효과(other race effect, ORE)”와 관련된 많은 수의 연구들에서, 신원...

      다른 인종의 얼굴 인식에 대한 연구는 지각, 정서, 사회문화적인 과정 등 다양한 수준에서 연구되어 왔다. 특히, “다른 인종 효과(other race effect, ORE)”와 관련된 많은 수의 연구들에서, 신원이나 정서와 같은 얼굴에 대한 미묘한 정보가 처리되는 과정에서 ‘다른 인종’이라는 인종적인 요소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인종적인 요소가 아닌, 다른 인종의 얼굴에 대한 인지적인 조절로 ORE를 설명하려는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다른 인종의 얼굴을 처리함에 있어서 생소하기(낯설기) 때문에 나타날 수 있는 인지적인 작용 여부를 사건관련전위(event-related potential, ERP)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22명의 한국인과 9명의 백인에게 한국인과 백인의 정서가 표현된 얼굴사진을 보여주면서 성별 분류과제를 수행하였다. 한국인의 경우 백인의 얼굴 사진에 대하여 한국인의 얼굴 사진보다 더 증가된 P3 전위 값을 보였고, 이러한 결과는 한국인들이 자극 인식 초기 과정에서 다른 인종의 얼굴 사진에 대하여 더욱 주의를 기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흥미롭게도, 백인들은 한국인의 얼굴 사진을 보았을 때 증가된 P3 전위 값을 보이지 않았는데, 아마도 실험에 참여한 백인들의 경우 한국에서 생활을 하면서 많은 사회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한국인 얼굴에 대하여 탈민감화 되어 한국인의 얼굴이 더 이상 생소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인종의 얼굴은 자동적으로 주의를 끌어당기는 높은 각성수준을 갖는 현저한 자극이지만, 반복적인 노출만으로도 탈민감화 되어 타인종의 얼굴에 대한 각성수준이 낮아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acial processing of different racial origin has been investigated at various levels including perceptual, emotional, and socio-cultural processing. Particularly, a good deal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show “other race effect (ORE)” to indicate that subtle facial information such as identity or emotional expressions are often under-processed in racial out-group members. However,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whether attentional modulation toward racial out-group faces could explain ORE. We investigated whether novelty-driven attentional mechanism is involved in face perception using event-related potential (ERP). Twenty-two Korean (KR) and nine Caucasian-American (AM)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emotional faces from the two racial origins while they performed a gender categorization task. KRs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P3 amplitudes to AM than to KR faces indicating that the early attentional processing underlies differential perception of racial out-group faces. Interestingly, P3 was not up-regulated in the AM subjects when they were presented with KR faces, perhaps due to massive habituation to KR faces during everyday social intera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acial out-group faces are highly salient stimuli which automatically occupy attentional resources, but easily habituated with repeated exposure to the racial-out group.
      번역하기

      Facial processing of different racial origin has been investigated at various levels including perceptual, emotional, and socio-cultural processing. Particularly, a good deal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show “other race effect (ORE)” to indi...

      Facial processing of different racial origin has been investigated at various levels including perceptual, emotional, and socio-cultural processing. Particularly, a good deal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show “other race effect (ORE)” to indicate that subtle facial information such as identity or emotional expressions are often under-processed in racial out-group members. However,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whether attentional modulation toward racial out-group faces could explain ORE. We investigated whether novelty-driven attentional mechanism is involved in face perception using event-related potential (ERP). Twenty-two Korean (KR) and nine Caucasian-American (AM)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emotional faces from the two racial origins while they performed a gender categorization task. KRs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P3 amplitudes to AM than to KR faces indicating that the early attentional processing underlies differential perception of racial out-group faces. Interestingly, P3 was not up-regulated in the AM subjects when they were presented with KR faces, perhaps due to massive habituation to KR faces during everyday social intera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acial out-group faces are highly salient stimuli which automatically occupy attentional resources, but easily habituated with repeated exposure to the racial-out group.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연구방법
      • 연구결과
      •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 연구방법
      • 연구결과
      •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