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회중찬송으로서의 복음성가 창작과 사용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3450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복음성가가 회중찬송으로 불려지기 위해서 어떻게 창작되고 사용되어야 하는지를 다루고 있다. 보수적인 성향의 사람들은 복음성가를 예배에서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그 이유는 복음성가가 가사나 곡조의 면에서 기존의 찬송가보다 질이 낮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한편으로는 대부분의 현대 교회들이 복음성가를 예배 시간에 도입하여 부르고 있는 실정이다. 그 이유는 복음성가가 젊은 세대들에게 호소력을 가지고 있으며 찬송가보다 쉽게 마음에 와 닿기 때문이다.
      그러나 예배 시간이나 집회 시간에 불려지는 복음성가들 중에서는 실제로 가사와 곡조 면에서 회중찬송으로 불려지기에 합당하지 않은 곡들이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복음성가가 회중찬송으로 불려지기 위한 합당한 기준과 조건들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본 논문의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자면 우선은 복음성가를 지나치게 거부하는 입장에 반대하여 복음성가를 교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유를 기독교 세계관의 관점에서 설명하였다. 그 이후로는 크게 가사와 곡조의 두 부분에서 어떤 기준으로 복음성가를 만들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또한 실제적인 적용을 돕기 위해 그 기준을 바탕으로 한국 교회에서 널리 부르는 복음성가들을 분석하였다.
      찬양이 예배의 핵심적인 요소로 자리잡게 된 현대 교회에서 복음성가의 창작과 사용에 대한 문제는 무시할 수 없는 주제가 되었다. 이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본 논문을 통하여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복음성가가 회중찬송으로 불려지기 위해서 어떻게 창작되고 사용되어야 하는지를 다루고 있다. 보수적인 성향의 사람들은 복음성가를 예배에서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그...

      본 논문은 복음성가가 회중찬송으로 불려지기 위해서 어떻게 창작되고 사용되어야 하는지를 다루고 있다. 보수적인 성향의 사람들은 복음성가를 예배에서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그 이유는 복음성가가 가사나 곡조의 면에서 기존의 찬송가보다 질이 낮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한편으로는 대부분의 현대 교회들이 복음성가를 예배 시간에 도입하여 부르고 있는 실정이다. 그 이유는 복음성가가 젊은 세대들에게 호소력을 가지고 있으며 찬송가보다 쉽게 마음에 와 닿기 때문이다.
      그러나 예배 시간이나 집회 시간에 불려지는 복음성가들 중에서는 실제로 가사와 곡조 면에서 회중찬송으로 불려지기에 합당하지 않은 곡들이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복음성가가 회중찬송으로 불려지기 위한 합당한 기준과 조건들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본 논문의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자면 우선은 복음성가를 지나치게 거부하는 입장에 반대하여 복음성가를 교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유를 기독교 세계관의 관점에서 설명하였다. 그 이후로는 크게 가사와 곡조의 두 부분에서 어떤 기준으로 복음성가를 만들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또한 실제적인 적용을 돕기 위해 그 기준을 바탕으로 한국 교회에서 널리 부르는 복음성가들을 분석하였다.
      찬양이 예배의 핵심적인 요소로 자리잡게 된 현대 교회에서 복음성가의 창작과 사용에 대한 문제는 무시할 수 없는 주제가 되었다. 이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본 논문을 통하여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들어가는 말 ------------------------------------------- 1
      • 1. 연구 동기와 목적 ------------------------------------ 1
      • 2. 연구 방법과 범위 ------------------------------------ 1
      • II. 본론 ------------------------------------------------- 2
      • I. 들어가는 말 ------------------------------------------- 1
      • 1. 연구 동기와 목적 ------------------------------------ 1
      • 2. 연구 방법과 범위 ------------------------------------ 1
      • II. 본론 ------------------------------------------------- 2
      • 1. 복음성가의 정의 ------------------------------------- 2
      • 1) ‘복음성가’라는 단어의 유래 -------------------------- 2
      • 2) 찬송가와 복음성가 --------------------------------- 3
      • 2. 복음성가의 음악적 양식(style) -------------------------- 8
      • 1) 마틴 루터의 회중 찬송 ------------------------------ 9
      • 2) 아디아포라 문제 ---------------------------------- 11
      • 3) 대중음악의 기독교화 가능성 ------------------------- 14
      • 4) 대중음악 양식의 비판적 수용 ----------------------- 16
      • 5) 대중음악 양식의 비판적 수용의 예 ------------------- 17
      • 3. 좋은 복음성가의 기준 -------------------------------- 26
      • 1) 찬송이란 무엇인가 -------------------------------- 26
      • 2) 복음성가의 가사 ---------------------------------- 28
      • a) 성경적인 가사 --------------------------------- 28
      • ① 찬송의 교육적 기능 -------------------------- 28
      • ② 지성과 감성의 조화 -------------------------- 31
      • ③ 과다한 성경 인용의 부작용 -------------------- 33
      • b) 복음 중심의 가사 ------------------------------ 34
      • ① 복음성가의 기능과 목적 ----------------------- 34
      • ② 복음을 잃어버린 복음성가 --------------------- 35
      • ③ 복음적인 복음성가의 필요성 ------------------- 37
      • c) 표현의 예술성 ---------------------------------- 38
      • 3) 복음성가의 곡조 ---------------------------------- 40
      • a) 곡조 ------------------------------------------ 40
      • b) 음역 ----------------------------------------- 40
      • c) 리듬 ----------------------------------------- 41
      • d) 구조 ----------------------------------------- 42
      • e) 후크(hook) ------------------------------------ 43
      • 4. 복음성가 사용과 창작에 대한 제언 ---------------------- 45
      • 1) 한국 교회의 복음성가 분석 ------------------------- 45
      • a) 감사함으로 (심종호 지음) ------------------------ 45
      • b) 예수는 내 삶의 모든 것 (심형진 지음) ------------- 47
      • c) 주님 다시 오실 때까지 (고형원 지음) -------------- 49
      • d) 예수 피를 힘입어 (양재훈 지음) ------------------- 51
      • 2) 복음성가의 선곡 ---------------------------------- 53
      • 3) 새로운 복음성가의 창작과 보급 --------------------- 55
      • III. 나가는 말 ------------------------------------------- 59
      • 참고문헌 ----------------------------------------------- 6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