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복음성가가 회중찬송으로 불려지기 위해서 어떻게 창작되고 사용되어야 하는지를 다루고 있다. 보수적인 성향의 사람들은 복음성가를 예배에서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345072
서울 :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14
학위논문(석사) --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 목회학과 , 2014. 2
2014
한국어
서울
ii, 63 p. ; 26 cm
지도교수: 박태현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복음성가가 회중찬송으로 불려지기 위해서 어떻게 창작되고 사용되어야 하는지를 다루고 있다. 보수적인 성향의 사람들은 복음성가를 예배에서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그...
본 논문은 복음성가가 회중찬송으로 불려지기 위해서 어떻게 창작되고 사용되어야 하는지를 다루고 있다. 보수적인 성향의 사람들은 복음성가를 예배에서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그 이유는 복음성가가 가사나 곡조의 면에서 기존의 찬송가보다 질이 낮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한편으로는 대부분의 현대 교회들이 복음성가를 예배 시간에 도입하여 부르고 있는 실정이다. 그 이유는 복음성가가 젊은 세대들에게 호소력을 가지고 있으며 찬송가보다 쉽게 마음에 와 닿기 때문이다.
그러나 예배 시간이나 집회 시간에 불려지는 복음성가들 중에서는 실제로 가사와 곡조 면에서 회중찬송으로 불려지기에 합당하지 않은 곡들이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복음성가가 회중찬송으로 불려지기 위한 합당한 기준과 조건들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본 논문의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자면 우선은 복음성가를 지나치게 거부하는 입장에 반대하여 복음성가를 교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유를 기독교 세계관의 관점에서 설명하였다. 그 이후로는 크게 가사와 곡조의 두 부분에서 어떤 기준으로 복음성가를 만들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또한 실제적인 적용을 돕기 위해 그 기준을 바탕으로 한국 교회에서 널리 부르는 복음성가들을 분석하였다.
찬양이 예배의 핵심적인 요소로 자리잡게 된 현대 교회에서 복음성가의 창작과 사용에 대한 문제는 무시할 수 없는 주제가 되었다. 이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본 논문을 통하여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