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민연금의 시장충격비용에 대한 연구 = Market Impact Cost of National Pension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568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the National Pension System (NPS, hereafter) on the domestic stock market using market impact costs. From July 2008 to June 2018, the market impact cost of the stocks traded by NPS was calculated for all stocks listed on the stock market of the KSE and the KOSDAQ market. The daily market impact cost using daily trading data as in previous studies and the intraday market impact cost using real-time trading data were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PS causes a relatively large market impact cost using daily trading data, compared to other market participants. Second, NPS shows relatively high market impact costs compared to individual investors, but relatively small market impact costs compared to investment trust funds, pension funds, and foreign investors. Therefore, NPS adopts a trading strategy that reduces market influence by submitting orders more efficiently than other market participants.
      Third, market impact costs are small for stocks with high volatility, market cap, and stock price level. In particular, when volatility increases, the market impact cost of NPS tends to decrease,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purchase and sale of NPS does not increase market volatility. By market, it can be seen that the market impact cost of selling the stocks in the KOSDAQ market is higher than that of buying the stocks in the KSE market.
      In the process of reducing the share of domestic stocks in the future management policy of NPS, it is necessary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market impact cost of KOSDAQ stocks with low market cap and stock price level. Due to the nature of the KOSDAQ market, participation by institutional investors or foreign investors is considered to be a favorable market supply and demand, and the reduction in the proportion of NPS and excessive market impact costs are likely to adversely affect the stock price.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the National Pension System (NPS, hereafter) on the domestic stock market using market impact costs. From July 2008 to June 2018, the market impact cost of the stocks traded by NPS was calculated for all stocks listed...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the National Pension System (NPS, hereafter) on the domestic stock market using market impact costs. From July 2008 to June 2018, the market impact cost of the stocks traded by NPS was calculated for all stocks listed on the stock market of the KSE and the KOSDAQ market. The daily market impact cost using daily trading data as in previous studies and the intraday market impact cost using real-time trading data were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PS causes a relatively large market impact cost using daily trading data, compared to other market participants. Second, NPS shows relatively high market impact costs compared to individual investors, but relatively small market impact costs compared to investment trust funds, pension funds, and foreign investors. Therefore, NPS adopts a trading strategy that reduces market influence by submitting orders more efficiently than other market participants.
      Third, market impact costs are small for stocks with high volatility, market cap, and stock price level. In particular, when volatility increases, the market impact cost of NPS tends to decrease,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purchase and sale of NPS does not increase market volatility. By market, it can be seen that the market impact cost of selling the stocks in the KOSDAQ market is higher than that of buying the stocks in the KSE market.
      In the process of reducing the share of domestic stocks in the future management policy of NPS, it is necessary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market impact cost of KOSDAQ stocks with low market cap and stock price level. Due to the nature of the KOSDAQ market, participation by institutional investors or foreign investors is considered to be a favorable market supply and demand, and the reduction in the proportion of NPS and excessive market impact costs are likely to adversely affect the stock pri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시장충격비용을 통해 국민연금의 국내 주식시장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하고, 운용전략의수정과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과 대응방안을 살펴본다. 2008년 7월부터 2018년 6월까지 10년동안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전체 종목을 대상으로 국민연금이 매매한종목의 시장충격비용을 산출하였다. 선행연구와 같은 일별지표를 이용한 일별 시장충격비용과 실시간매매자료를 이용한 일중 시장충격비용 지표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일별지표를 사용한 시장충격비용에서 국민연금은 다른 시장참여자에 비해 상대적으로큰 시장충격비용을 야기한 반면, 일중지표를 사용한 시장충격비용에서는 오히려 국민연금에 의한시장충격비용이 더 작았다. 둘째, 국민연금은 개인투자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시장충격비용을보였으나, 투신, 연기금 및 외국인 투자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시장충격비용을 보였다. 따라서국민연금은 다른 시장참가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효율적 주문 제출을 통해 시장영향력을 줄이는매매전략을 채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변동성, 시가총액, 주가수준이 높은 종목에 있어 시장충격비용이 작았다. 특히 변동성이 확대되는 경우 국민연금의 시장충격비용이 줄어드는 경향이 나타나국민연금의 매매가 시장변동성을 확대시키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장별로 볼 때, 코스닥시장에속한 종목들에 대한 매도 시장충격비용이 유가증권시장에 속한 종목들에 대한 매도 시장충격비용이더 컸음을 알 수 있다.
      국민연금의 향후 운용정책상 국내주식의 비중을 줄이는 과정에서 시가총액과 주가수준이 낮은코스닥종목에 대한 시장충격비용을 예의주시 할 필요성이 있다. 코스닥시장의 특성상 기관투자자나외국인투자자의 매수참여는 시장 수급상 호재로 판단되는 상황에서 국민연금의 보유비중 축소와 더불어과도한 시장충격비용의 발생은 해당 종목의 주가에 악영향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시장충격비용을 통해 국민연금의 국내 주식시장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하고, 운용전략의수정과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과 대응방안을 살펴본다. 2008년 7월부터 2018년 6월까지...

      본 연구는 시장충격비용을 통해 국민연금의 국내 주식시장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하고, 운용전략의수정과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과 대응방안을 살펴본다. 2008년 7월부터 2018년 6월까지 10년동안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전체 종목을 대상으로 국민연금이 매매한종목의 시장충격비용을 산출하였다. 선행연구와 같은 일별지표를 이용한 일별 시장충격비용과 실시간매매자료를 이용한 일중 시장충격비용 지표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일별지표를 사용한 시장충격비용에서 국민연금은 다른 시장참여자에 비해 상대적으로큰 시장충격비용을 야기한 반면, 일중지표를 사용한 시장충격비용에서는 오히려 국민연금에 의한시장충격비용이 더 작았다. 둘째, 국민연금은 개인투자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시장충격비용을보였으나, 투신, 연기금 및 외국인 투자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시장충격비용을 보였다. 따라서국민연금은 다른 시장참가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효율적 주문 제출을 통해 시장영향력을 줄이는매매전략을 채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변동성, 시가총액, 주가수준이 높은 종목에 있어 시장충격비용이 작았다. 특히 변동성이 확대되는 경우 국민연금의 시장충격비용이 줄어드는 경향이 나타나국민연금의 매매가 시장변동성을 확대시키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장별로 볼 때, 코스닥시장에속한 종목들에 대한 매도 시장충격비용이 유가증권시장에 속한 종목들에 대한 매도 시장충격비용이더 컸음을 알 수 있다.
      국민연금의 향후 운용정책상 국내주식의 비중을 줄이는 과정에서 시가총액과 주가수준이 낮은코스닥종목에 대한 시장충격비용을 예의주시 할 필요성이 있다. 코스닥시장의 특성상 기관투자자나외국인투자자의 매수참여는 시장 수급상 호재로 판단되는 상황에서 국민연금의 보유비중 축소와 더불어과도한 시장충격비용의 발생은 해당 종목의 주가에 악영향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희, "연기금의 거래행위와 주식시장의 안정성 및 수익률 실현 대한 비대칭성 연구" 한국재무관리학회 30 (30): 101-138, 2013

      2 강종만, "시장충격비용에 관한 실증분석" 13 (13): 343-360, 1999

      3 박영석,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국민연금기금의 분할운용에 관한 연구" 한국금융학회 22 (22): 81-127, 2008

      4 우민철, "국민연금의 주식투자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재무학회 31 (31): 221-258, 2018

      5 임은아, "국민연금의 외환거래가국내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파생상품학회 24 (24): 399-421, 2016

      6 남재우, "국민연금기금의 주식투자와 시장의 변동성 변화" 한국금융학회 22 (22): 83-105, 2008

      7 길재욱, "국민연금기금의 국내주식투자성과와 시점선택능력" 1362-1386, 2015

      8 김병준, "국민연금기금의 국내 주식시장에 대한 영향력을 고려한 최적 투자 전략" 한국증권학회 46 (46): 1033-1060, 2017

      9 우민철, "국민연금 매매가 코스닥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금융정보학회 8 (8): 47-73, 2019

      10 남재현, "국민연금 기금의 국내 주식시장 영향력에 대한 연구" 한국경제연구학회 33 (33): 35-68, 2015

      1 김종희, "연기금의 거래행위와 주식시장의 안정성 및 수익률 실현 대한 비대칭성 연구" 한국재무관리학회 30 (30): 101-138, 2013

      2 강종만, "시장충격비용에 관한 실증분석" 13 (13): 343-360, 1999

      3 박영석,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국민연금기금의 분할운용에 관한 연구" 한국금융학회 22 (22): 81-127, 2008

      4 우민철, "국민연금의 주식투자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재무학회 31 (31): 221-258, 2018

      5 임은아, "국민연금의 외환거래가국내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파생상품학회 24 (24): 399-421, 2016

      6 남재우, "국민연금기금의 주식투자와 시장의 변동성 변화" 한국금융학회 22 (22): 83-105, 2008

      7 길재욱, "국민연금기금의 국내주식투자성과와 시점선택능력" 1362-1386, 2015

      8 김병준, "국민연금기금의 국내 주식시장에 대한 영향력을 고려한 최적 투자 전략" 한국증권학회 46 (46): 1033-1060, 2017

      9 우민철, "국민연금 매매가 코스닥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금융정보학회 8 (8): 47-73, 2019

      10 남재현, "국민연금 기금의 국내 주식시장 영향력에 대한 연구" 한국경제연구학회 33 (33): 35-68, 2015

      11 양철원, "국민연금 거래의 단기 정보력에 대한 연구" 한국재무학회 32 (32): 651-689, 2019

      12 신성환, "국내 연기금 위탁운용펀드의 성과분석 및 운용보수구조의 적정성 연구" 한국증권학회 42 (42): 25-46, 2013

      13 Keim, D. B., "Transactions Costs and Investment Style: An Inter-Exchange Analysis of Institutional Equity Trades" 46 : 265-292, 1997

      14 Johnson, R., "The State of Transaction Cost Analysis" Greenwich Associates 2019

      15 Saar, G., "Price Impact Asymmetry of Block Trades : An Institutional Trading Explanation" 14 : 1153-1181, 2001

      16 Chiyachantana, C. N., "Permanent Price Impact Asymmetry of Trades with Institutional Constraints" 36 : 1-36, 2017

      17 Domowitz, I., "Liquidity, Volatility and Equity Trading Costs Across Countries and Over Time" 4 : 221-255, 2001

      18 이준행, "KOSPI200 종목의 시장충격비용" 20 : 205-232, 1997

      19 Chiyachantana, C. N., "International Evidence on Institutional Trading Behavior and Price Impact" 59 : 869-898, 2004

      20 Chan, L. K. C., "Institutional Trades and Intraday Stock Price Behavior" 33 : 173-199, 1993

      21 Chan, L. K. C., "Institutional Equity Trading Costs : NYSE Versus Nasdaq" 52 : 713-735, 1997

      22 Lucas, D. J., "How Should Public Pension Plans Invest?" 99 (99): 527-532, 2019

      23 고봉찬, "Does National Pension Service’s Trading Destabilize Korean Stock Market" 한국증권학회 37 (37): 465-500, 2008

      24 Fama, E. F., "Common Risk-factors in the Returns on Stocks and Bonds" 33 : 3-56,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1 0.72 1.145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