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십현담주해』와 『님의 침묵』의 상호연관성에 주목하여 『십현담주해』에 담긴 언어관으로부터 한용운의 시론을 추출하였다. 먼저 『십현담주해』에 나타난 한용운의 언어관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559142
2012
Korean
『십현담주해』 ; 한용운 ; 초월기의 ; 거짓이름 ; 언어관 ; 시론 ; 역설 ; Siphyundamjuhae ; Yong-woon Han ; the transcendental signified ; false name ; thought of language ; poetics ; paradox
810
KCI등재
학술저널
115-145(31쪽)
1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십현담주해』와 『님의 침묵』의 상호연관성에 주목하여 『십현담주해』에 담긴 언어관으로부터 한용운의 시론을 추출하였다. 먼저 『십현담주해』에 나타난 한용운의 언어관은...
본고는 『십현담주해』와 『님의 침묵』의 상호연관성에 주목하여 『십현담주해』에 담긴 언어관으로부터 한용운의 시론을 추출하였다. 먼저 『십현담주해』에 나타난 한용운의 언어관은 세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언어라는 것은 그 자체로 근원적인 한계를 지니고 있다는 것. 둘째, 그런 한계에도 불구하고 제한적 효용성과 가치를 지닌다는 점, 마지막으로 기의와 기표가 이상적으로 조화를 이루는 언어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한용운이 사용하는 ‘거짓이름’(假名)이라는 말에 언어에 절대적인 가치를 부여하지 않는, 언어의 제한성을 강조하는 생각이 담겨 있으며, 동시에 이를 통해서 본체의 일단을 전달할 수밖에 없는 불가피성과 그 속에 내재한 가능성에 대한 믿음이 담겨 있다. 그럼에도 ‘본체가명 양불상병(本體假名 兩不相病)’의 상태를 가정한다는 점에서 제한적 가능성을 지닌 언어를 넘어선 바람직한 언어도 가능하다는 생각을 읽을 수 있다.
이로부터 추출되는 시에 대한 관점, 즉 시론은 첫째, 절대적인 기의에 가닿을 수 없는 언어의 제한성을 의식할 때 그럼에도 가능한 시적 언어는 다층적인 기의를 지닌 언어라야 한다는 점이다. 이는 초월기의의 재현불가능성에 기반을 둔 열린 기의를 지향하는 언어, 비-알레고리적 언어를 가리킨다. 둘째, 시에서는 깨달음의 본체를 정확하게 가리킬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전제 아래 나온 임시적인 표현 방식으로서 비유적 표현이 중시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비유의 언어이지만 일상적인 비유가 아니라 ‘불 속의 연꽃(火中蓮)’ 같은 언어도단의 역설적 비유이다. 셋째, ‘본체가명 양불상병’의 언어로 이루어진 시는 고도로 응축된 사유를 간결한 언어양식으로 표현하고, 그에 어울리는 자유로운 형식을 지녀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본체가명 양불상명’의 언어행위는 바로 고도의 시적 언어와 동질의 것이라는 생각을 가리킨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imed at extracting the poetics of Yong-woon Han, Korean modern poet, from the thought of language in his book, Siphyundamjuhae, an annotated edition of "Siphyundam"(ten poems on Zen). The thought of language in Siphyundamjuhae can be su...
This paper is aimed at extracting the poetics of Yong-woon Han, Korean modern poet, from the thought of language in his book, Siphyundamjuhae, an annotated edition of "Siphyundam"(ten poems on Zen). The thought of language in Siphyundamjuha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language has fundamental limitation to represent the transcendental signified, a spiritual illumination in Zen. Secondly, in spite of its limitation, a language, as false name, has the limited utility.
Thirdly, there is an ideal language in which the signifiant and the signified are in perfect harmony with each other.
Also, the poetics of Yong-woon Han, extracted from the thought of language in Siphyundamjuha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language in poetry must have the multi-layered signified because it had fundamental limitation to represent the transcendental signified. It is a symbolic language in poetry. Secondly, a figurative language, as a temporary measure of representation, is important in poetry to represent the spiritual illumination in Zen. it is not an usual figurative language, but a paradoxical language like as "lotus flower in fire". Thirdly, poems written with ideal language have to represent high-packed thoughts in concise expression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용운, "한용운전집(총6권)" 불교문화연구원 2006
2 서준섭, "한용운의 <<십현담 주해>> 읽기" 한국현대문학회 (13) : 193-240, 2003
3 김장호, "한용운시론" 만해사상연구회 2 (2): 148-178, 1981
4 "유심"
5 한용운, "십현담주해" 법보회 1926
6 서준섭, "십현담주해" (봄-여름) : 2005
7 박현수, "시론" 예옥 376-379, 2011
8 "선원"
9 이원섭, "선시-깨달음의 노래" 민족사 199-, 1992
10 정광수, "불교적 상상력과 한용운의 상징시법"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9 : 191-234, 1989
1 한용운, "한용운전집(총6권)" 불교문화연구원 2006
2 서준섭, "한용운의 <<십현담 주해>> 읽기" 한국현대문학회 (13) : 193-240, 2003
3 김장호, "한용운시론" 만해사상연구회 2 (2): 148-178, 1981
4 "유심"
5 한용운, "십현담주해" 법보회 1926
6 서준섭, "십현담주해" (봄-여름) : 2005
7 박현수, "시론" 예옥 376-379, 2011
8 "선원"
9 이원섭, "선시-깨달음의 노래" 민족사 199-, 1992
10 정광수, "불교적 상상력과 한용운의 상징시법"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9 : 191-234, 1989
11 한종만, "박한영과 한용운의 한국불교 근대화사상" 원광대학교 5 : 67-168, 1970
12 최원규, "만해시의 불교적 영향" 만해사상연구회 1 (1): 195-234, 1980
13 문정희, "만해 시의 역설 연구 : 『님의 침묵』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14 김광원, "님의 침묵과 선(禪)의 세계" 새문사 275-307, 2008
15 한용운, "님의 침묵" 회동서관 1926
16 세종대왕기념사업회, "국역 매월당집5"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80
17 李仁福, "韓國文學에 나타난 죽음 意識 硏究 : 素月과 萬海의 對比硏究를 中心으로n하여"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78
18 서준섭, "同安常察의 『십현담(十玄談)』 註解의 세 가지 양상-淸凉文益과 金時習, 韓龍雲의 주해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중인문학회 (15) : 27-52, 2005
19 손종호, "『님의 침묵』의 시세계 연구-『십현담주해』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14 : 125-154, 1985
20 이상섭, "《님의 침묵》의 어휘와 그 활용구조" 탐구당 21-, 1984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10-1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The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2 | 0.72 | 0.7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91 | 1.388 | 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