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교육공학 학문공동체의 지식 구조의 모습과 특성 탐색: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한『교육공학연구』와 『교육정보미디어연구』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Structure of the Korean Educational Technology Community: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and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through Networ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183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structure of Korean Educational Technology Community (KETC). For this purpose, all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two main Korean journal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JET) and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JEIM),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3,694 original key words collected from total 897 articles in 2002 2016 were cleaned and coded into the 2,010 key words. Then, the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and the network text analysis centering around the main key words, and presented network maps and important indicators showing KETC’s knowledge structure.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rom narrow view, the KETC’s knowledge structure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use of technology, but the KETC’s core is to investigate educational-theory-based themes ‘with’ various technology-based themes connected to the educational-theory-based themes. Second, the KETC’s knowledge structure consists not only of the educational-theory based key words, such as accomplishment, interaction, instructional-learning design, collaborative learning, effectiveness, etc., but also of the technology-based ones, such as e-Learning, cyber education, cyber university, online education, etc. Third, in terms of research trend, the technology-based themes reflect the current times, thus the KETC will keep studies on the possibility of educational uses, when new technology arrives. Fourth, Educational Technology studies various themes, which allows collaborative studies with neighbor fields of inquiry. Finally, JET and JEIM are the two main journals for KETC, but the former tends to mainly publish varied theoretical articles, the latter tends to mainly publish practical on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structure of Korean Educational Technology Community (KETC). For this purpose, all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two main Korean journals, Journal of Educational Tec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structure of Korean Educational Technology Community (KETC). For this purpose, all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two main Korean journal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JET) and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JEIM),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3,694 original key words collected from total 897 articles in 2002 2016 were cleaned and coded into the 2,010 key words. Then, the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and the network text analysis centering around the main key words, and presented network maps and important indicators showing KETC’s knowledge structure.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rom narrow view, the KETC’s knowledge structure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use of technology, but the KETC’s core is to investigate educational-theory-based themes ‘with’ various technology-based themes connected to the educational-theory-based themes. Second, the KETC’s knowledge structure consists not only of the educational-theory based key words, such as accomplishment, interaction, instructional-learning design, collaborative learning, effectiveness, etc., but also of the technology-based ones, such as e-Learning, cyber education, cyber university, online education, etc. Third, in terms of research trend, the technology-based themes reflect the current times, thus the KETC will keep studies on the possibility of educational uses, when new technology arrives. Fourth, Educational Technology studies various themes, which allows collaborative studies with neighbor fields of inquiry. Finally, JET and JEIM are the two main journals for KETC, but the former tends to mainly publish varied theoretical articles, the latter tends to mainly publish practical on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승환, "핵심어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을 통한 국내 HRD 연구동향 탐색" 한국인력개발학회 16 (16): 1-33, 2014

      2 최영출, "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 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의 적용" 한국행정학회 45 (45): 123-139, 2011

      3 박한우,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 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6 (6): 1377-1387, 2004

      4 유태영, "한국교육공학 연구의 경향" 6 (6): 3-45, 1990

      5 김동식, "한국교육공학 연구동향 분석" 12 (12): 177-193, 1996

      6 신나민, "한국 원격교육 연구의 동향과 전망 : 1985-2005년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21 (21): 195-227, 2005

      7 임정훈, "학교교육에서의 교육공학 실천에 관한 연구동향: 1985년~2014년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31 (31): 311-339, 2015

      8 임현진, "최근 10년간 한국 교육공학 연구 동향 비교 분석: ‘교육공학연구’와 ‘교육정보미디어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 (20): 137-159, 2014

      9 이상수, "웹기반 교육의 최근 연구동향에 대한 비판적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1 (21): 229-254, 2005

      10 권현범, "스마트교육 연구 동향 분석: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의 적용" 교육연구소 34 (34): 103-125, 2013

      1 정승환, "핵심어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을 통한 국내 HRD 연구동향 탐색" 한국인력개발학회 16 (16): 1-33, 2014

      2 최영출, "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 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의 적용" 한국행정학회 45 (45): 123-139, 2011

      3 박한우,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 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6 (6): 1377-1387, 2004

      4 유태영, "한국교육공학 연구의 경향" 6 (6): 3-45, 1990

      5 김동식, "한국교육공학 연구동향 분석" 12 (12): 177-193, 1996

      6 신나민, "한국 원격교육 연구의 동향과 전망 : 1985-2005년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21 (21): 195-227, 2005

      7 임정훈, "학교교육에서의 교육공학 실천에 관한 연구동향: 1985년~2014년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31 (31): 311-339, 2015

      8 임현진, "최근 10년간 한국 교육공학 연구 동향 비교 분석: ‘교육공학연구’와 ‘교육정보미디어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 (20): 137-159, 2014

      9 이상수, "웹기반 교육의 최근 연구동향에 대한 비판적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1 (21): 229-254, 2005

      10 권현범, "스마트교육 연구 동향 분석: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의 적용" 교육연구소 34 (34): 103-125, 2013

      11 곽기영, "소셜네트워크분석" 청람 2014

      12 김용학, "사회 연결망 분석" 박영사 2003

      13 곽삼근, "대학평생교육 연구동향 분석-1982∼2012년 학위논문 및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20 (20): 1-30, 2014

      14 이수상,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논형 2012

      15 송해덕, "국내 교육정보화 정책 변천에 따른 교육공학연구 동향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1 (31): 341-363, 2015

      16 김희배, "교육정보미디어학회와 교육공학회의 학문적 정체성 탐구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2 (12): 5-28, 2006

      17 허희옥, "교육정보미디어 분야의 연구 동향과 과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2 (12): 189-212, 2006

      18 조규락,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육공학의 3차원적 이해" 학지사 2006

      19 변영계,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학지사 2007

      20 왕경수, "교육공학연구의 동향: 회고와 전망" 교육과학사 41-60, 2006

      21 김영수, "교육공학연구의 동향: 회고와 전망" 교육과학사 61-92, 2006

      22 김현진, "교육공학에서의 테크놀로지: 의미 탐색과 연구 동향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1 (31): 287-310, 2015

      23 권성호, "교육공학 원론: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1990

      24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 용어사전" 교육과학사 2006

      25 정승환, "교육공학 공저 관계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2005~2014년「교육공학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31 (31): 757-782, 2015

      26 김영환, "『평생학습사회』의 연구주제 변화 동향 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의 적용" 원격교육연구소 11 (11): 291-315, 2015

      27 손미, "『교육정보미디어연구』의 역대 정부별연구주제 변화 동향 분석:20년간,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적용하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2 (22): 31-53, 2016

      28 정현미, "『교육공학연구』 20년 연구 흐름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1 (21): 167-194, 2005

      29 박양주, "‘교육공학연구’에 나타난 최근의 국내 교수설계 관련 연구 주제의 동향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7 (27): 449-474, 2011

      30 Khan, B. H., "Web-based instruction. Englewood"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3.7 3.7 3.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89 2.68 3.751 0.7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