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출산 후 여성의 회복과 운동: 가치 위계를 통한 국가 정책의 윤리적 재구성 = Postpartum Recovery and Exercise for Women: Ethical Reconfiguration of National Policy through the Lens of Value Hierarch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515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출산 이후 여성의 회복과 실천을 단순한 생리적 과정이 아닌 존재론적 전환이자 공적 사안으로 재정의 하고, 이를 통해 한국의 출산 정책에 있어 산후운동의 필요성과 새로운 철학적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막스 셸러(Max Scheler)의 렌즈를 통해 가치 위계 이론을 이론적 틀로 삼아, 산후 회복이 갖는 정서적⋅생명적⋅정신적⋅성스러운 가치를 조명한다. 현행 한국의 출산 정책은 주로 경제적 유인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출산과 회복의 복합적 의미를 간과하고 있다. 특히 산후 운동과 같은 회복적 실천은 여성 개인의 선택에 맡겨진 채, 사회적 책임이나 정책적 고려의 대상으로 고려되지 않고 있다. 이는 셸러가 비판한 ‘가치 위계의 전도’, 즉 상위의 정신적⋅윤리적 가치가 하위의 도구적⋅경제적 가치에 종속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출산 이후 회복을 개인의 사적 책무가 아닌, 공공 정책의 주요 영역으로 재조명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한국 사회의 출산 정책을 윤리적 관점에서 비판하고, 산후 회복 운동을 중심으로 한 대안적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출산 이후 여성의 회복과 실천을 단순한 생리적 과정이 아닌 존재론적 전환이자 공적 사안으로 재정의 하고, 이를 통해 한국의 출산 정책에 있어 산후운동의 필요성과 새...

      이 연구의 목적은 출산 이후 여성의 회복과 실천을 단순한 생리적 과정이 아닌 존재론적 전환이자 공적 사안으로 재정의 하고, 이를 통해 한국의 출산 정책에 있어 산후운동의 필요성과 새로운 철학적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막스 셸러(Max Scheler)의 렌즈를 통해 가치 위계 이론을 이론적 틀로 삼아, 산후 회복이 갖는 정서적⋅생명적⋅정신적⋅성스러운 가치를 조명한다. 현행 한국의 출산 정책은 주로 경제적 유인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출산과 회복의 복합적 의미를 간과하고 있다. 특히 산후 운동과 같은 회복적 실천은 여성 개인의 선택에 맡겨진 채, 사회적 책임이나 정책적 고려의 대상으로 고려되지 않고 있다. 이는 셸러가 비판한 ‘가치 위계의 전도’, 즉 상위의 정신적⋅윤리적 가치가 하위의 도구적⋅경제적 가치에 종속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출산 이후 회복을 개인의 사적 책무가 아닌, 공공 정책의 주요 영역으로 재조명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한국 사회의 출산 정책을 윤리적 관점에서 비판하고, 산후 회복 운동을 중심으로 한 대안적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postpartum recovery and women’s practices after childbirth not as a mere biological process, but as an ontological transition and a matter of public concern. By doing so, it seeks to propose a new philosophical orientation for South Korea’s fertility and maternal health policies. Drawing on Max Scheler’s theory of value hierarchy as the central theoretical framework, this study explores the emotional, vital, spiritual, and sacred dimensions of postpartum recovery through his philosophical lens. Contemporary Korean fertility policies predominantly rely on economic incentives, often overlooking the complex and layered significance of childbirth and maternal recovery. Practices such as postpartum exercise—integral to restoring bodily and existential balance—are treated as private choices rather than social responsibilities or policy considerations. This reflects what Scheler described as a “value inversion,” where higher spiritual and ethical values are subordinated to instrumental or economic ones. This study, therefore, argues that postpartum recovery must be reframed not as an individual burden but as a legitimate domain of public policy. By critically examining current approaches and highlighting the neglect of value hierarchies, it ultimately aims to critique the ethical limitations of existing fertility policies and suggest alternative directions centered on postpartum recovery and embodied ca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postpartum recovery and women’s practices after childbirth not as a mere biological process, but as an ontological transition and a matter of public concern. By doing so, it seeks to propose a new philoso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postpartum recovery and women’s practices after childbirth not as a mere biological process, but as an ontological transition and a matter of public concern. By doing so, it seeks to propose a new philosophical orientation for South Korea’s fertility and maternal health policies. Drawing on Max Scheler’s theory of value hierarchy as the central theoretical framework, this study explores the emotional, vital, spiritual, and sacred dimensions of postpartum recovery through his philosophical lens. Contemporary Korean fertility policies predominantly rely on economic incentives, often overlooking the complex and layered significance of childbirth and maternal recovery. Practices such as postpartum exercise—integral to restoring bodily and existential balance—are treated as private choices rather than social responsibilities or policy considerations. This reflects what Scheler described as a “value inversion,” where higher spiritual and ethical values are subordinated to instrumental or economic ones. This study, therefore, argues that postpartum recovery must be reframed not as an individual burden but as a legitimate domain of public policy. By critically examining current approaches and highlighting the neglect of value hierarchies, it ultimately aims to critique the ethical limitations of existing fertility policies and suggest alternative directions centered on postpartum recovery and embodied car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