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저항적 연대와 사회변혁 = ‘적대 없는’ 연대에서 ‘적대를 통한’ 연대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2192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금 우리는 그 어느 때보다 사회적 연대망이 해체된 시대를 살고 있다. 지난 시절 한국이 경험한 돌진적이고 맹목적인 근대화의 물결은 과거의 전통을 모조리 낡은 것으로 몰아세워 성장과 경쟁의 논리 속에 종속시켰다. 전통은 권위주의의 모습으로만 남아 화폐적 가치만을 숭상하는 물질주의와 결합하여 승자독식ㆍ적자생존의 사회를 만들어내고, 그 사회 속 구성원들은 점점 더 황폐하게 시들어가고 있다. 한국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들에 대응하고, 전통적 유대의 해체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연대의 원리가 절실히 요청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아직 시장만능주의-물질주의가 초래한 사회적 유대의 해체에 대응하는 새로운 사회적 연대의 원리가 모양새를 갖추고 있지는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국가와 민족, 시장을 앞세운 연대를 ‘강요된’ 연대로 규정한다. 강요된 연대는 적대가 없는 통합을 강조한다. 이와 반대로 현실을 변화시키고 민주주의, 정의, 인권의 가치를 확장하는 미래지향적 연대는 실재 속에 존재하는 모순을 반영해야 한다. 구조적 모순은 탈구의 경험을 통해 적대로 드러나고 그러한 적대는 기존질서를 향한 비판과 변형의 정치가 출발하는 계기이다. 새로운 연대는 비판과 변형의 정치를 통해 구성되는 것이다. 이것을 ‘적대를 통한’ 연대라고 부를 것이다. 이론적 차원에서 그람시-라클라우 노선을 따르면서 연대를 현실개입을 위한 사회운동정당 모델과 연관 지어 논의할 것이다.
      번역하기

      지금 우리는 그 어느 때보다 사회적 연대망이 해체된 시대를 살고 있다. 지난 시절 한국이 경험한 돌진적이고 맹목적인 근대화의 물결은 과거의 전통을 모조리 낡은 것으로 몰아세워 성장과...

      지금 우리는 그 어느 때보다 사회적 연대망이 해체된 시대를 살고 있다. 지난 시절 한국이 경험한 돌진적이고 맹목적인 근대화의 물결은 과거의 전통을 모조리 낡은 것으로 몰아세워 성장과 경쟁의 논리 속에 종속시켰다. 전통은 권위주의의 모습으로만 남아 화폐적 가치만을 숭상하는 물질주의와 결합하여 승자독식ㆍ적자생존의 사회를 만들어내고, 그 사회 속 구성원들은 점점 더 황폐하게 시들어가고 있다. 한국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들에 대응하고, 전통적 유대의 해체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연대의 원리가 절실히 요청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아직 시장만능주의-물질주의가 초래한 사회적 유대의 해체에 대응하는 새로운 사회적 연대의 원리가 모양새를 갖추고 있지는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국가와 민족, 시장을 앞세운 연대를 ‘강요된’ 연대로 규정한다. 강요된 연대는 적대가 없는 통합을 강조한다. 이와 반대로 현실을 변화시키고 민주주의, 정의, 인권의 가치를 확장하는 미래지향적 연대는 실재 속에 존재하는 모순을 반영해야 한다. 구조적 모순은 탈구의 경험을 통해 적대로 드러나고 그러한 적대는 기존질서를 향한 비판과 변형의 정치가 출발하는 계기이다. 새로운 연대는 비판과 변형의 정치를 통해 구성되는 것이다. 이것을 ‘적대를 통한’ 연대라고 부를 것이다. 이론적 차원에서 그람시-라클라우 노선을 따르면서 연대를 현실개입을 위한 사회운동정당 모델과 연관 지어 논의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are living in the society in which the network of social solidarity has been being broken down. The wave of the onrushing modernization in this country had accused the tradition and customs of being outdated, and had subjected them to the principles of competition and growth. The remained traditions are authoritarian and hierarchical and the such remained, through the mixture with materialistic culture, spread the ideas of winner-take-all and survival of the fittest. As a result, the people have been frustrated and been driven into hopeless circumstance. In this context, there is the desperate need of a new principle of solidarity with which we can not only replace for the form of traditional solidarity but also respond to the above-mentioned social problems. However, the principle of social solidarity coping with market-centered materialistic and consumerist culture is yet to come. This paper defines the solidarity based on the traditional values as "enforced" solidarity, which emphasizes an integration without recognizing antagonisms. By contrast, a futureoriented solidarity through which democracy, justice and human rights could be improved and extended must consider social contradictions in the existing order. The politics of solidarity could fully realize its potential only if it would be developed from those contradictions through antagonisms. It can be called the solidarity "through antagonisms". It might be thought as an attempt to reinterpret Marx though Gramsci, Gramsci through Laclau, and then Laclau through the materialist perspective. These reinterpretation could provide the stepping-stone to the political intervention into the institutional politics.
      번역하기

      We are living in the society in which the network of social solidarity has been being broken down. The wave of the onrushing modernization in this country had accused the tradition and customs of being outdated, and had subjected them to the principle...

      We are living in the society in which the network of social solidarity has been being broken down. The wave of the onrushing modernization in this country had accused the tradition and customs of being outdated, and had subjected them to the principles of competition and growth. The remained traditions are authoritarian and hierarchical and the such remained, through the mixture with materialistic culture, spread the ideas of winner-take-all and survival of the fittest. As a result, the people have been frustrated and been driven into hopeless circumstance. In this context, there is the desperate need of a new principle of solidarity with which we can not only replace for the form of traditional solidarity but also respond to the above-mentioned social problems. However, the principle of social solidarity coping with market-centered materialistic and consumerist culture is yet to come. This paper defines the solidarity based on the traditional values as "enforced" solidarity, which emphasizes an integration without recognizing antagonisms. By contrast, a futureoriented solidarity through which democracy, justice and human rights could be improved and extended must consider social contradictions in the existing order. The politics of solidarity could fully realize its potential only if it would be developed from those contradictions through antagonisms. It can be called the solidarity "through antagonisms". It might be thought as an attempt to reinterpret Marx though Gramsci, Gramsci through Laclau, and then Laclau through the materialist perspective. These reinterpretation could provide the stepping-stone to the political intervention into the institutional politic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연대의 의미와 가치: 사회적 통합과 갈등
      • 3. ‘적대를 통한’ 연대
      • 4. 적대를 통한 연대와 정치적 개입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연대의 의미와 가치: 사회적 통합과 갈등
      • 3. ‘적대를 통한’ 연대
      • 4. 적대를 통한 연대와 정치적 개입
      • 5.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희연, "한국 민주주의와 사회 운동의 동학" 나눔의 집 2001

      2 서영표, "포퓰리즘의 두 가지 해석 : 대중영합주의와 민중 민주주의" 민족문화연구원 (63) : 3-42, 2014

      3 Marx, Karl, "칼 맑스/프리드리히 엥겔스 저작선집 1" 박종철출판사 1990

      4 유범상, "제3의 길과 큰 사회론의 이념과 공동체 구상 샴쌍둥이의 차별화 전략과 복지정치" 한국공간환경학회 22 (22): 43-81, 2012

      5 서영표, "인식되지 않은 조건, 의도하지 않은 결과" 진보평론 58 : 2013

      6 Freeman, Michael, "인권: 이론과 실천" 아르케 2005

      7 최현, "인권" 책세상 2008

      8 Zoll, Rainer, "오늘날 연대란 무엇인가-연대의 역사적 기원, 변천, 그리고 전망" 한울아카데미 2008

      9 서영표, "영국 신좌차 논쟁에 대한 재해석 : 헤게모니 개념에 대한 상이한 해석" 비판사회학회 (80) : 248-274, 2008

      10 서영표, "영국 노동당 13년 평가: 삶의 질의 후퇴와 소비주의적 주체성" 생명문화연구소 17 : 11-51, 2010

      1 조희연, "한국 민주주의와 사회 운동의 동학" 나눔의 집 2001

      2 서영표, "포퓰리즘의 두 가지 해석 : 대중영합주의와 민중 민주주의" 민족문화연구원 (63) : 3-42, 2014

      3 Marx, Karl, "칼 맑스/프리드리히 엥겔스 저작선집 1" 박종철출판사 1990

      4 유범상, "제3의 길과 큰 사회론의 이념과 공동체 구상 샴쌍둥이의 차별화 전략과 복지정치" 한국공간환경학회 22 (22): 43-81, 2012

      5 서영표, "인식되지 않은 조건, 의도하지 않은 결과" 진보평론 58 : 2013

      6 Freeman, Michael, "인권: 이론과 실천" 아르케 2005

      7 최현, "인권" 책세상 2008

      8 Zoll, Rainer, "오늘날 연대란 무엇인가-연대의 역사적 기원, 변천, 그리고 전망" 한울아카데미 2008

      9 서영표, "영국 신좌차 논쟁에 대한 재해석 : 헤게모니 개념에 대한 상이한 해석" 비판사회학회 (80) : 248-274, 2008

      10 서영표, "영국 노동당 13년 평가: 삶의 질의 후퇴와 소비주의적 주체성" 생명문화연구소 17 : 11-51, 2010

      11 강수택, "연대주의: 모나디즘 넘어서기" 한길사 2012

      12 김종엽, "연대와 열광: 에밀 뒤르켐의 현대성 비판 연구" 창작과 비평사 1998

      13 Foley, Ducan K., "아담의 오류: 던컨 폴리의 경제학사 강의" 후마니타스 2011

      14 정태석, "시민사회의 다원적 적대들과 민주주의" 후마니타스 2007

      15 Macpherson, C.B., "소유적 개인주의의 정치이론" 인간사랑 1991

      16 서영표, "소비주의 비판과 대안적 쾌락주의-비자본주의적 주체성 구성을 위해" 한국공간환경학회 (32) : 5-41, 2009

      17 서영표, "상품화된 일상과 충족되지 않는 필요— 자본주의의 틈새와 저항적 지역정치" 한국민족문화연구소 (11) : 83-122, 2014

      18 서영표, "사회주의적 도시정치의 경험 런던 광역시의회의 지역사회주의 실험" 사회과학연구원 7 (7): 12-48, 2010

      19 서영표, "사회운동이론 다시 생각하기: 유물론적 분석과 지식구성의 정치" 5.18연구소 13 (13): 303-346, 2013

      20 민문홍, "사회분업론(De La Division du Travail Social)" 아카넷 2012

      21 이승원, "민주주의와 헤게모니: 현대 민주주의의 특징에 관한 이론적 재검토" 비교민주주의연구센터 4 (4): 2008

      22 Marx, Karl, "마르크스의 초기저작: 비판과 언론" 열음사 1996

      23 Hobbes, Thomas, "리바이어던" 동서문화사 2009

      24 서영표, "런던코뮌" 이매진 2009

      25 서영표, "라클라우가 말한 것과 말하지 않은 것" 맑스코뮤날레 조직위원회 2015

      26 서영표, "도시적인 것, 그리고 인권?: ‘도시에 대한 권리’ 논의에 대한 비판적 개입" 사회과학연구원 9 (9): 68-102, 2012

      27 서영표, "당연한 것을 낯설게 하는 실천, 불가능한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정치" 진보평론 60 : 2014

      28 장훈교, "급진민주주의 데모스 2: 연대성의 정치학" 데모스 2011

      29 Heilbroner, Robert L., "고전으로 읽는 경제사상" 민음사 2001

      30 Hunt, E.K., "경제사상사 I" 풀빛 1982

      31 Thompson, E. P., "Whigs and Hunters: The Origin of the Black Act" Penguin 1975

      32 Benton, Ted, "Understanding Contemporary Society" Sage 2000

      33 Habermas, Jürgen,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Volume Two: the Critique of Functionalist Reason" Polity Press 1987

      34 Lyotard, Jean Francois, "The Postmodern Condition"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84

      35 Hall, Stuart, "The Politics of Thatcherism" Lawrence and Wishart 1983

      36 Hall, Stuart, "The Neo-Liberal Crisis" Lawrence & Wishart 2015

      37 Thompson, E. P., "The Making of the English Working Class" Penguin 1963

      38 Kovel, Joel, "The Enemy of Nature: The End of Capitalism or the End of the World" Zed Books 2002

      39 Balibar, Etienne, "The Althusserian Legacy" Verso 1993

      40 Jessop, Bob, "Thatcherism" Polity Press 1988

      41 McCarthy, John D., "Social Movements in an Organizational Society" Transaction 1987

      42 Archer, Margaret, "Social Integration and System Integration: Developing the Distinction" 30 (30): 1996

      43 Fine, Ben, "Social Capital Versus Social Theory : Political Economy and Social Science at the Turn of the Millennium" Routledge 2000

      44 Harvey, David, "Seventeen Contradiction and the End of Capit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45 Antonio Gramsci, "Selections from Prison Notebooks" Lawrence & Wishart 1971

      46 Fraser, Nancy, "Rethinking the Public Sphere: A Contribution to the Critique of Actually Existing Democracy" 25/26 : 1990

      47 Wainwright, Hilary, "Reclaim the State" Verso 2003

      48 Sayer, Andrew, "Realism and Social Science" Sage 2001

      49 Jackson, Tim, "Prosperity without Growth: Economics for a Finite Planet" Routledge 2011

      50 Lukes, Steven, "Power: A Radical View" Macmillan 2004

      51 Best, Steven, "Postmodern Theory: Critical Interrogations" Guilford Press 1991

      52 McAdam, Doug, "Political Process and the Development of the Black Insurgenc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2

      53 Benton, Ted, "Philosophy of Social Science" Palgrave 2011

      54 Laclau, Ernesto, "On Populist Reason" Verso 2005

      55 Benton, Ted, "Objective Interest’ and the Sociology of Power" 15 (15): 1981

      56 Laclau, Ernesto, "New Reflections on the Revolution of Our Time" Verso 1990

      57 Williams, Raymond, "Marxism and Literature" Oxford University Press 1977

      58 Finlayson, Alan, "Making Sense of New Labour" Lawrence and Wishart 2003

      59 Althusser, Louis, "Lenin and Philosophy" Monthly Review 1971

      60 Steuerman, Emilia, "Judging Lyotard" Routledge 1992

      61 Keat, Russell, "Issues in Marxist Philosophy vol. 4" Harvester Press 1981

      62 Jenkins, J. Craig, "Insurgency of the Powerless: Farm Worker Movement (1946-1972)" 42 : 1977

      63 Rustin, Michael, "Incomplete Modernity: Ulrich Beck's Risk Society" 67 : 1994

      64 Laclau, Ernersto, "Hegemony and Socialist Strategy" Verso 2001

      65 McAdam, Doug, "Handbook of Sociology" Sage 1988

      66 Roderick, Rick, "Habermas and the Foundations of Critical Theory" Polity Press 1986

      67 Zald, Mayer N., "Frontiers in Social Movement Theory" Yale University Press 1992

      68 Soper, Kate, "Feminism, Humanism and Postmodernism" 55 : 1990

      69 Lovibond, Sabina, "Feminism and Postmodernism" 178 : 1989

      70 Lockwood, Davd, "Exploring in Social Change" Houghton Mifflin 1964

      71 Phillips, Anne, "Engendering Democracy" Polity Press 1991

      72 Fine, Ben, "Development in Policy in the Twenty-First Century" Routledge 2001

      73 Laclau, Ernesto, "Contingency, Hegemony, Universality" Verso 2000

      74 Keat, Russell, "Contemporary Political Philosophy: Radical Stud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2

      75 Cohen, Jean, "Civil Society and Political Theory" MIT Press 1992

      76 Giddens, Anthony, "Beyond Left and Right: The Future of Radical Politics" Polity Press 1994

      77 Craib, Ian, "Back to Utopia: Anthony Giddens and Modern Social Theory" 43 : 1986

      78 Wainwright, Hilary, "Arguments for a New Left" Blackwell 1994

      79 Anderson, Perry, "Antinomies of Antonio Gramsci" (100) : 1977

      80 Callinicos, Alex, "Against Post-Modernism" Polity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5-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Center for Korean Studi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Korean Studies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78 1.247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