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바닷물이 짠 이유> 설화의 한일 비교 =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Why the Sea is Salty Folktal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175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바닷물이 짠 이유>(AT 565)의 유형적 특징, 분포, 역사, 우리의 고유성, 상징들, 유입된 경로와 변이 등의 제반 문제를 고찰하였다. 그를 위해서 유럽 및 중국의 설화를돌아보며 우리 설화와 밀접한 관련성을 보이는 일본 설화의 구성 및 구성요소와 비교하는 방법론을 이용하였다.
      범세계적 분포를 보이는 이 설화의 유형적 특징은 ‘맛난 죽(KHM 103)’, ‘맷돌을 훔친 사람이 주인을 불러 멈추다’, ‘선장이 훔친 맷돌을 바다 위에서 소금을 내다가 멈추는 방법을몰라 배가 가라앉고 바다 속에서 계속 소금을 내서 바닷물이 짜다’라는 세 방향의 전개가 지적되고 있다. 그 역사는 중국의 물 여신 신화 <수모낭낭> 및 북구의 신화 <그로티 노래>에 거슬러 올라가고 전자의 문헌기록은 명대(明代)의 『패사휘편』, 후자는 『고 에다』『산문에다』에 전한다. 우리 설화는 대체로 세 번째의 전개양상을 보인다. 구성은 맷돌획득과 상실(적대자1), 맷돌탈환과 상실(적대자2), 그리고 바닷물이 짠 이유로 이루어지며, 이 모티프를 모두 갖춘 C형, 맷돌획득과 탈환과 상실(적대자2)이 누락된 A형, 맷돌탈환과 상실(적대자2)만이 누락된 B형과 D형, 바닷물이 짠 이유가 누락된 E형으로 구전되어 왔다. B형은 증여자가 특히 선한 자질의 주인공에게 맷돌을 증여하는 특징을 보이고, D형은 조력자와 증여자 모두 나타나는데 증여자가 ‘꼬마사람’이라는 특이함을 보인다. A형이 가장 단순한 구성이면서 더 많이 채집되었고 C형은 그 다음이다. 일본 설화는 B형에 대응하는 b형이 다수이고 D형에 대응하는 c형이 그 다음이다. 우리의 C형은 유럽형에 더 가깝고 D형은 일본형과 흡사하다. 이 두 형은 일제강점기에 유럽형의 일본어번역서를 통해 각기 유입되어 자국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A형은 구성의 단순함과 요소의 특이함, 평북 및 함남의 채집 등을 고려하여 자국 내 변이와 아울러 중국대륙 등 다른 경로를 추정해 볼 여지도 남는다. B형과 E형은 자국 내에서 변이한 것이다.
      이 설화에서 핵심적 기능을 하는 마법 맷돌은 선한 자질을 가진 자에게는 부의 기적을발휘하고 시기와 탐욕과 한탕의 횡재를 바라는 자에게는 바다 속으로 침몰시켜 경계한다. 그러나 그 자신은 바다 속에서 돌기를 멈추지 않고 끊임없이 귀중한 소금을 생산하여 우리의 생명을 유지시키고 생활을 풍요롭게 한다. 그로 인해 악을 물리치고 윤택한 삶을 영위하도록 생산과 풍요의 상징으로 지금껏 전해내려 오고 있다.
      번역하기

      이 글은 <바닷물이 짠 이유>(AT 565)의 유형적 특징, 분포, 역사, 우리의 고유성, 상징들, 유입된 경로와 변이 등의 제반 문제를 고찰하였다. 그를 위해서 유럽 및 중국의 설화를돌아보며 우...

      이 글은 <바닷물이 짠 이유>(AT 565)의 유형적 특징, 분포, 역사, 우리의 고유성, 상징들, 유입된 경로와 변이 등의 제반 문제를 고찰하였다. 그를 위해서 유럽 및 중국의 설화를돌아보며 우리 설화와 밀접한 관련성을 보이는 일본 설화의 구성 및 구성요소와 비교하는 방법론을 이용하였다.
      범세계적 분포를 보이는 이 설화의 유형적 특징은 ‘맛난 죽(KHM 103)’, ‘맷돌을 훔친 사람이 주인을 불러 멈추다’, ‘선장이 훔친 맷돌을 바다 위에서 소금을 내다가 멈추는 방법을몰라 배가 가라앉고 바다 속에서 계속 소금을 내서 바닷물이 짜다’라는 세 방향의 전개가 지적되고 있다. 그 역사는 중국의 물 여신 신화 <수모낭낭> 및 북구의 신화 <그로티 노래>에 거슬러 올라가고 전자의 문헌기록은 명대(明代)의 『패사휘편』, 후자는 『고 에다』『산문에다』에 전한다. 우리 설화는 대체로 세 번째의 전개양상을 보인다. 구성은 맷돌획득과 상실(적대자1), 맷돌탈환과 상실(적대자2), 그리고 바닷물이 짠 이유로 이루어지며, 이 모티프를 모두 갖춘 C형, 맷돌획득과 탈환과 상실(적대자2)이 누락된 A형, 맷돌탈환과 상실(적대자2)만이 누락된 B형과 D형, 바닷물이 짠 이유가 누락된 E형으로 구전되어 왔다. B형은 증여자가 특히 선한 자질의 주인공에게 맷돌을 증여하는 특징을 보이고, D형은 조력자와 증여자 모두 나타나는데 증여자가 ‘꼬마사람’이라는 특이함을 보인다. A형이 가장 단순한 구성이면서 더 많이 채집되었고 C형은 그 다음이다. 일본 설화는 B형에 대응하는 b형이 다수이고 D형에 대응하는 c형이 그 다음이다. 우리의 C형은 유럽형에 더 가깝고 D형은 일본형과 흡사하다. 이 두 형은 일제강점기에 유럽형의 일본어번역서를 통해 각기 유입되어 자국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A형은 구성의 단순함과 요소의 특이함, 평북 및 함남의 채집 등을 고려하여 자국 내 변이와 아울러 중국대륙 등 다른 경로를 추정해 볼 여지도 남는다. B형과 E형은 자국 내에서 변이한 것이다.
      이 설화에서 핵심적 기능을 하는 마법 맷돌은 선한 자질을 가진 자에게는 부의 기적을발휘하고 시기와 탐욕과 한탕의 횡재를 바라는 자에게는 바다 속으로 침몰시켜 경계한다. 그러나 그 자신은 바다 속에서 돌기를 멈추지 않고 끊임없이 귀중한 소금을 생산하여 우리의 생명을 유지시키고 생활을 풍요롭게 한다. 그로 인해 악을 물리치고 윤택한 삶을 영위하도록 생산과 풍요의 상징으로 지금껏 전해내려 오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a wide range of issues including typical attributes,distribution, history, uniqueness of Korean folktales, symbols, influx routes andtransformation of Why the Sea is Salty(AT 565). For this purpose, this studyinvestigated folktales of the world and neighboring countries and comparedthe composition and composing factors of Korean folktales with those ofJapanese folktales which show similarities with Korean ones.
      The typical attribute of this folktale, which shows worldwide distribution,is development of the story in 3 different directions, which is 'deliciousporridge(KHM 103)', 'the man who stole the mill called the master to stop'and 'a captain produced salt on the ship, had his ship sunk because he didnot know how to stop the mill and the mill keeps producing salt, which isthe reason why the sea is salty.' Its origin dates back to Chinese myth WaterGoddess Shuimu Niangniang(水母娘娘) and northern European mythGrottasongr or the Song of Grotti and bibliographical record for the formercan be found in Baishi Huibian(稗史彙編) of Ming Dynasty(明代) while the thatfor the latter are shown in Elder Edda and Snorra Edda.
      The Korean folktales show 3rd type of development. They are composed of acquisition and loss of the mill(opponent 1), reclamation and loss of themill(opponent 2) and the reason why the sea is salty and have been passeddown in oral tradition in C type with all the motifs, A type with the omissionof acquisition, reclamation and loss(opponent 2) of the mill, B and D typewith the omission of only reclamation and loss of the mill and E type withthe omission of the reason why the sea is salty. B type exhibits the attributethat the giver donates the mill to the proponent with good character and Dtype has both helper and giver and has the peculiarity that the giver is adwarf.
      Type A is the simplest in composition and has been collected mostfrequently followed by type C. Type b corresponding to type B is the majorityin Japanese folktales followed by type c corresponding to type C. Korean typeC is closer to European types, whereas type D is similar to Japanese ones. These two types are presumed to have flowed i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Period through European-style Japanese translation and became Koreanized. Type A has the room to assume other routes of delivery, probably throughmainland China, considering the simplicity of composition, uniqueness offactors and existence in Pyeognbuk and Hamnam areas. Type B and E haveundergone transformation within the bounds of Korean peninsula.
      The magic mill playing pivotal role in this tale works wonders of wealthfor the good and warns the jealous, the greedy and those who pursue a quickfortune by sinking them under the deep sea. Still the mill itself maintains andenriches our life by continuing to work to produce precious salt. It has passeddown through generations as a symbol of production and abundance so thatwe can beat the evil and lead affluent lives.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s a wide range of issues including typical attributes,distribution, history, uniqueness of Korean folktales, symbols, influx routes andtransformation of Why the Sea is Salty(AT 565). For this purpose, this studyinvestigated folktales...

      This study explores a wide range of issues including typical attributes,distribution, history, uniqueness of Korean folktales, symbols, influx routes andtransformation of Why the Sea is Salty(AT 565). For this purpose, this studyinvestigated folktales of the world and neighboring countries and comparedthe composition and composing factors of Korean folktales with those ofJapanese folktales which show similarities with Korean ones.
      The typical attribute of this folktale, which shows worldwide distribution,is development of the story in 3 different directions, which is 'deliciousporridge(KHM 103)', 'the man who stole the mill called the master to stop'and 'a captain produced salt on the ship, had his ship sunk because he didnot know how to stop the mill and the mill keeps producing salt, which isthe reason why the sea is salty.' Its origin dates back to Chinese myth WaterGoddess Shuimu Niangniang(水母娘娘) and northern European mythGrottasongr or the Song of Grotti and bibliographical record for the formercan be found in Baishi Huibian(稗史彙編) of Ming Dynasty(明代) while the thatfor the latter are shown in Elder Edda and Snorra Edda.
      The Korean folktales show 3rd type of development. They are composed of acquisition and loss of the mill(opponent 1), reclamation and loss of themill(opponent 2) and the reason why the sea is salty and have been passeddown in oral tradition in C type with all the motifs, A type with the omissionof acquisition, reclamation and loss(opponent 2) of the mill, B and D typewith the omission of only reclamation and loss of the mill and E type withthe omission of the reason why the sea is salty. B type exhibits the attributethat the giver donates the mill to the proponent with good character and Dtype has both helper and giver and has the peculiarity that the giver is adwarf.
      Type A is the simplest in composition and has been collected mostfrequently followed by type C. Type b corresponding to type B is the majorityin Japanese folktales followed by type c corresponding to type C. Korean typeC is closer to European types, whereas type D is similar to Japanese ones. These two types are presumed to have flowed i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Period through European-style Japanese translation and became Koreanized. Type A has the room to assume other routes of delivery, probably throughmainland China, considering the simplicity of composition, uniqueness offactors and existence in Pyeognbuk and Hamnam areas. Type B and E haveundergone transformation within the bounds of Korean peninsula.
      The magic mill playing pivotal role in this tale works wonders of wealthfor the good and warns the jealous, the greedy and those who pursue a quickfortune by sinking them under the deep sea. Still the mill itself maintains andenriches our life by continuing to work to produce precious salt. It has passeddown through generations as a symbol of production and abundance so thatwe can beat the evil and lead affluent liv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密城秀子, "「塩吹臼」の昔話について" 東洋大学短期大学 (16) : 112-136, 1979

      2 박연숙, "화수분설화의 한일 비교" 일본어문학회 (61) : 299-332, 2013

      3 임동권, "한국의 민담" 서문당 1972

      4 최인학, "한국민담의 유형 연구" 인하대학교 출판부 261-381, 1994

      5 한상수, "한국민담선" 정음사 1974

      6 "한국구비문학대계 전82권"

      7 조동일, "한국구비문학대계 별책 부록(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757, 1989

      8 최운식, "충청남도 민담" 집문당 1-425, 1980

      9 임석재, "임석재전집 한국구전설화" 평민사 1987

      10 박연숙, "일본전파를 통해 본 「도깨비방망이」 설화의 국제성" 일본어문학회 (27) : 247-280, 2004

      1 密城秀子, "「塩吹臼」の昔話について" 東洋大学短期大学 (16) : 112-136, 1979

      2 박연숙, "화수분설화의 한일 비교" 일본어문학회 (61) : 299-332, 2013

      3 임동권, "한국의 민담" 서문당 1972

      4 최인학, "한국민담의 유형 연구" 인하대학교 출판부 261-381, 1994

      5 한상수, "한국민담선" 정음사 1974

      6 "한국구비문학대계 전82권"

      7 조동일, "한국구비문학대계 별책 부록(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757, 1989

      8 최운식, "충청남도 민담" 집문당 1-425, 1980

      9 임석재, "임석재전집 한국구전설화" 평민사 1987

      10 박연숙, "일본전파를 통해 본 「도깨비방망이」 설화의 국제성" 일본어문학회 (27) : 247-280, 2004

      11 카를 짐록, "에다 게르만 민족의 신화, 영웅전설, 생활의 지혜" 서울대학교 출판부 1-574, 2004

      12 안인희, "안인희의 북유럽신화" 웅진씽크빅 1-271, 2007

      13 스티스 톰슨, "설화학원론" 계명출판사 1-683, 1992

      14 김용덕, "불교설화에서 동자(童子) 출현의 양상과 의미연구" 실천민속학회 15 : 169-195, 2010

      15 마이클 브라운, "바다 이야기" 창비 1-243, 2003

      16 김창활, "독일민담설화집" 을유문화사 1-657, 1975

      17 김상섭, "내 눈으로 읽은 주역 역전편 (상)" 지호출판사 1-658, 2013

      18 오오타케 키오미, "근대 한일 아동문화교육 관계사 연구 : 1895-1945"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19 G. 메가스, "그리이스 민담" 정음사 1-387, 1985

      20 王瑜, "赤い鳥に関する研究-大正期日本創作児童文学の一側面として-" (69) : 43-57, 2008

      21 佐々木喜善, "老媼夜譚" 鄉土研究社 1-336, 1927

      22 丹野てい子, "石臼と塩の話" 赤い鳥社 2 (2): 46-53, 1918

      23 民俗學硏究所, "民俗學辭典" 東京堂 1-690, 1962

      24 模範家庭文庫, "朝鮮童話集" 富山房 1-592, 1926

      25 孫晉泰, "朝鮮民譚集" 三文社 3 : 1932

      26 稲田浩二, "昔話タイプ․インデックス" 同朋舍 28 : 1-742, 1988

      27 小林美佐子, "昔話の話型の研究 「塩吹臼」はヨーロッパの翻案ではないか" 古今社 (5) : 2000

      28 関敬吾, "昔話の分布" 平凡社 12 : 253-281, 1959

      29 関敬吾, "日本昔話大成11" 角川書店 5-130, 1983

      30 高橋盛孝, "日支民譚" 東京民間伝承の会 1 (1): 17-21, 1925

      31 이정현, "方定煥の譯童話と『新譯繪入模範家庭文庫』" 한국일본근대학회 16 (16): 101-116, 2007

      32 李姃炫, "方定煥の童話と金の船" 동아시아일본학회 (22) : 375-398, 2007

      33 吉岡向陽, "家庭お伽噺, 第三六編" 春陽堂 1-54, 1909

      34 松村武雄, "北欧神話伝説集" 趣味の教育普及會 1-778, 1935

      35 王燕生, "中國民間故事類型" 北京商務印書館 1-534, 1999

      36 澤田瑞穂, "世界民間文芸叢書, 第1卷" 三弥井書店 1-407, 1975

      37 Eberhard, Wolfram, "Typen Chinesischer Volksmärchen" FFC 1-437, 1937

      38 Aarne-Thompson, "The Types of the Folktale" Helsinki 1-586, 1964

      39 이은정, "(한권으로 읽는)북유럽 신화 이야기" 자음과 모음 1-448,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64 1.574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