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유학기제에 따른 미술교과 융합교육 방안 연구 = A Study on Convergence Education Utilizing Art Education Applicable to Free Learning Semes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877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자유학기제 도입에 따른 미술교육의 역할에 있어서 융합교육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진로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자유학기제의 ...

      본고는 자유학기제 도입에 따른 미술교육의 역할에 있어서 융합교육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진로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자유학기제의 모델로 삼은 아일랜드 전환학년제를 살펴보고, 자유학기제 운영방향과 시범운영 모형을 분석하였으며, 여러 교과 간 융합요소와 '진로와 직업'을 연계하는 방법으로 자유학기제가 추구하고자 하는 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미술교육은 시각적 이미지를 통해 공간과 시간의 요소를 모두 활용 가능하기 때문에 융합의 매개체로서 비교적 유연하게 타 교과와의 연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스토리텔링, 토의·토론식, 응용실습, 마인드맵, 게임식, 스마트폰 활용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유지하여 수엽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자유학기제 미술교과의 융합교육 방안으로 첫 번째,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과학, 공학, 기술 동의 지식을 활용한 표현활동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 진로를 탐색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한 표현활동 중심 융합수엽과 두 번째, 역사, 공화, 기술 등의 지식을 활용하여 보다 깊이 있게 작품을 읽는 능력을 기르고 그 안에서 과학적 사고를 통한 웅용표현으로 진로탐색의 기초를 마련할 수 있는 감상 중심 융합수업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융합교육의 효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스스로 문제 해결 방법을 찾아가는 창의적 설계과정 속에서 능동적 태도를 기를 수 있다. 둘째, 감성적 사고와 논리적 사고의 결합으로 창의력 신장 및 적극적 문제 해결력을 기를 수 있다. 셋째, 지식의 전달이 아닌 새로운 발상의 기회를 제공한다. 넷째, 학문들 간 연계와 타인과의 상호작용올 통해 긍정적 사고의 형성에 효과적이다. 마지막으로 자아존중감 향상과 미술교육의 위상올 높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ways to establish art education as one of the efficient career education in a convergent education for an introduction of free learning semester. For this, by examining Ireland Transition Year as a model of free learning...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ways to establish art education as one of the efficient career education in a convergent education for an introduction of free learning semester. For this, by examining Ireland Transition Year as a model of free learning semester, the direction of operation and the model of test operation for free learning semester will be analyzed, and as one of the ways for the convergence of a subject with other subjects,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career and the vocation, free learning semester will be dealt with. As the medium of the convergence, art education is more likely to be connected to the different subjects because it has the potential to utilize all the elements of time and space through the visual images. The utilization of storytelling, a discussion, practice of application, mind-map, a game, a smart phone and etc. can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s by keeping students' interest in lessons. Among the ways of convergence education utilizing art education for free learning semester, the first is the knowledge representation oriented convergent lesson where the contents are organized in order to help the learners themselves in their career exploration through expressive activities using the knowledge on science based on the historical facts, engineering and technology and etc. The second is appreciation oriented convergent lesson where the learners enhance the ability to appreciate work in depth using the knowledge on science based on the historical facts, engineering and technology and etc. and the foundation of career exploration using the application expression through the scientific thinking is built. The effective in this convergence education is as follows. First, creative design process in which students themselves find a way to solve the problem help them to develop an active attitude. Second, the learners can develop ac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e creativity through the combination of sensitive thinking and logical thinking. Third, convergence education provides students with a chance to present new ideas instead of delivering knowledge. Fourth, convergence education is effective in forming a positive thinking through the connection among a wide range of studies and interaction with others. Finally, the value of convergence education resides in the fact that self-worth of the learners is enhanced and art education increases in sta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머리말
      • Ⅱ. 자유학기제와 미술교육을 통한 진로교육
      • Ⅲ. 자유학기제에 따른 미술교과의 융합교육 방안
      • Ⅳ. 맺음말
      • 요약
      • Ⅰ. 머리말
      • Ⅱ. 자유학기제와 미술교육을 통한 진로교육
      • Ⅲ. 자유학기제에 따른 미술교과의 융합교육 방안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부, "행복학교, 창의인재 양성: 2013년 국정과제 실천 계획" 교육부 2013

      2 이지연, "한국의 자유학기제" 173-192, 2013

      3 최상덕, "중학교 자유학기제의 도입 방향과 실행방안" 138 : 66-71, 2013

      4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학교장 순회 설명회 개최"

      5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정책 방향" 교육부 2013

      6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 계획안" 교육부 2013

      7 정광순, "중학교 자유학기제 수업 대비 역량 중심 교과 통합수업 설계 방안 제안"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7 (7): 1-30, 2013

      8 교육과학기술부, "중등미술 교과 통합 진로교육 교수․학습자료 개발 매뉴얼" 교육과학기술부 2011

      9 이지연, "자유학기제의 운영 방안: 교과 통합 진로교육을 중심으로" 7 : 23-51, 2013

      10 김은정, "자유학기제 도입에 따른 기술·가정 교과통합 진로교육 운용 방안- 가정 교과 영역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5 (25): 105-121, 2013

      1 교육부, "행복학교, 창의인재 양성: 2013년 국정과제 실천 계획" 교육부 2013

      2 이지연, "한국의 자유학기제" 173-192, 2013

      3 최상덕, "중학교 자유학기제의 도입 방향과 실행방안" 138 : 66-71, 2013

      4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학교장 순회 설명회 개최"

      5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정책 방향" 교육부 2013

      6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 계획안" 교육부 2013

      7 정광순, "중학교 자유학기제 수업 대비 역량 중심 교과 통합수업 설계 방안 제안"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7 (7): 1-30, 2013

      8 교육과학기술부, "중등미술 교과 통합 진로교육 교수․학습자료 개발 매뉴얼" 교육과학기술부 2011

      9 이지연, "자유학기제의 운영 방안: 교과 통합 진로교육을 중심으로" 7 : 23-51, 2013

      10 김은정, "자유학기제 도입에 따른 기술·가정 교과통합 진로교육 운용 방안- 가정 교과 영역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5 (25): 105-121, 2013

      11 이기봉, "자유학기제 도입과 외국사례: 아일랜드 전환학년제" 3-19, 2013

      12 한국과학창의재단, "융합인재교육(STEAM)입문 교사연수 자료집"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13 김형숙, "융합인재교육(STEAM)에서 미술교육의 관계와 중요성 고찰" 한국기초조형학회 13 (13): 105-115, 2012

      14 한국과학창의재단, "융합인재교육(STEAM) 실행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15 김나라, "아일랜드 전환학년제 분석을 통한 한국 진로교육에의 시사점" 한국비교교육학회 23 (23): 147-169, 2013

      16 김진숙, "아일랜드 연계학년제(TY)와 한국 자유학기제 비교" 한국비교교육학회 23 (23): 163-183, 2013

      17 김해경, "미술과 주도 융합인재교육 교수 학습 계획안 개발 연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35 (35): 267-292, 2013

      18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미술과 교육과정"

      19 홍후조, "관련자 의견조사에 기초한 자유학기제 운영 방안 탐색 연구" 안암교육학회 19 (19): 33-68, 2013

      20 Jones, A., "Reflecting on the UK Gap Year : Insights for South Korea’s ‘Free Learning Semester’" 45-80, 2013

      21 Jeffers, G., "Ireland’s Transition Year: Insights and Challenges" 1-36,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0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미술교육학회논총 -> 미술교육논총 KCI등재후보
      2005-05-0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미술교육학회논총 -> 미술교육논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5 0.74 0.916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