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예비 연구자의 전문성 발달 모형 탐구 : 대학원 생활세계를 중심으로 = Expertise Development Model of Prospective Researchers within the Lifeworld of Graduate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0819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aspiring research professionals in developing their expertise within the graduate school environment, and to elucidate their development process by developing an integrated model of expertise development. This will enable aspiring research professionals to establish a conceptual framework necessary for cultivating expertise in the academic, living, and social spheres of the graduate school world. In this context,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What is the developmental model of their expertise?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consisted of 20 doctoral students and PhD holders. Data on their expertise development experiences were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s and interviews, and analyzed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by Strauss and Corbin(1998). Additionally,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aspiring research professionals' expertise was analyzed using practice-based adult learning theories, including social learning, situational learning, expansive learning, and transformative learning. The findings from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 data collected from the participants were open-coded according to the analysis procedures of Strauss and Corbin(1998). In the first round of coding, 208 concepts were derived, which were then categorized into 8 categories, 17 subcategories.
      Second, To explore the interconnectedness of the derived categories, the paradigm model was applied, resulting in the following: To explore the interconnectedness of the derived categories, the paradigm model was applied, resulting in the following: Causal conditions included ①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 contextual conditions were ② "social demands and expectations," the central phenomenon was ③ "Learning activities for expertise development," intervening conditions were ④ "mentoring style," ⑤ "barriers to expertise development," strategies of action/interaction were ⑥ "graduate school adaptation" and ⑦ "academic immersion and reflection," and the outcome was ⑧ "Researchers’ holistic abilities." During the selective coding phase, the process involved outlining narratives that describe the categories of their expertise development experiences.
      Third, to elucidate the core category derived from the experiences of the aspiring research professionals' expertise development, their developmental process was analyzed based on the framework of practice-based adult learning theories, including social learning, academic mentoring, situational learning, expansive learning, and transformative learning. The stages of expertise development for aspiring research professionals were divided into "Network Dependence," "Network Negotiation," and "Network Expansion." The "Network Dependence" stage categories were "recognizing task identity as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nts," "acquiring a repertoire of major knowledge," and "conforming research performance to the community of practice." In the "Network Negotiation" stage, categories included "active peripheral participation in forming academic identity," "discovering shared values in the major knowledge repertoire," and "negotiating research performance with the community of practice." The "Network Expansion" stage included "full participation in forming professional identity," "mastery of major knowledge," and "academic reproduction through collective intelligence." Following this series of analyses, a "Practice-Based Expertise Development stage" for aspiring research professionals was presented. The significance of these results is as follows.
      Fourth, in the selective coding stage, a story outline was developed to describe the categories of their expertise development experience, and an expertise development model was proposed. The core category of the expertise development experience of prospective researchers was analyzed as ‘reflective practice adaptation: forming an expertise research identity through self-directed practical learning.’ The mechanisms for reflective practical adaptation are ‘integration of academics and life,’which includes ‘learning, experience, reflection, and practical adaptation,’ ‘continuous learning and academic reflection of prospective researchers,’ and ‘continuous reproduction of subjects who practice meaning.’
      The meaning of interpre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from an in-depth and comprehensive perspective, focusing on the activity promotion strategies and results of research participants surrounding the phenomenon of learning activities in graduate school derived from the above results and the mechanism of reflective practice adaptation, is as follows: The research expertise development process of prospective researchers in graduate school is signified as ‘community cohesion as an integrated process of academics and life’ and ‘social coexistence in the process of reproducing practical meaning.’ In the sense of ‘community cohesion as an integrated process of academics and life,’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rospective researchers is aimed at practical integration of academics and life and can be summarized as forming a research identity through communal solidarity and coexistence.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rospective researchers in ‘social coexistence in the process of reproducing practical meaning’ is summarized as reinterpreting and reconstructing continuous practical meaning through a process of conversion of meaning perspective, leading to mutual development and unity across society.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and discussions,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internal and external values served as a driving force for prospective researchers to carry out learning activities in graduate school.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formal and non-formal education (learning), and informal learning can all be revealed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knowledge. Third, it was confirmed that growth occurred after experiencing trial and error, frustration, and pain during the research process. The expertise development process of prospective researchers is related to their identity formation process, and extended learning was taking place in the process of resolving contradictions of prospective researchers as seen through activity theory. The prospective researcher confirmed that perspectives and views on academics were formed through the transformative learning process for academic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ands the understanding of expertise development by providing insight into how prospective researchers develop their expertise. Fourth, it will be necessary to prepare various measures to enable practical adaptation during graduate school courses. In addition, the expertise development model can be applied in the graduate school curriculu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aspiring research professionals in developing their expertise within the graduate school environment, and to elucidate their development process by developing an integrated model of experti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aspiring research professionals in developing their expertise within the graduate school environment, and to elucidate their development process by developing an integrated model of expertise development. This will enable aspiring research professionals to establish a conceptual framework necessary for cultivating expertise in the academic, living, and social spheres of the graduate school world. In this context,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What is the developmental model of their expertise?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consisted of 20 doctoral students and PhD holders. Data on their expertise development experiences were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s and interviews, and analyzed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by Strauss and Corbin(1998). Additionally,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aspiring research professionals' expertise was analyzed using practice-based adult learning theories, including social learning, situational learning, expansive learning, and transformative learning. The findings from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 data collected from the participants were open-coded according to the analysis procedures of Strauss and Corbin(1998). In the first round of coding, 208 concepts were derived, which were then categorized into 8 categories, 17 subcategories.
      Second, To explore the interconnectedness of the derived categories, the paradigm model was applied, resulting in the following: To explore the interconnectedness of the derived categories, the paradigm model was applied, resulting in the following: Causal conditions included ①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 contextual conditions were ② "social demands and expectations," the central phenomenon was ③ "Learning activities for expertise development," intervening conditions were ④ "mentoring style," ⑤ "barriers to expertise development," strategies of action/interaction were ⑥ "graduate school adaptation" and ⑦ "academic immersion and reflection," and the outcome was ⑧ "Researchers’ holistic abilities." During the selective coding phase, the process involved outlining narratives that describe the categories of their expertise development experiences.
      Third, to elucidate the core category derived from the experiences of the aspiring research professionals' expertise development, their developmental process was analyzed based on the framework of practice-based adult learning theories, including social learning, academic mentoring, situational learning, expansive learning, and transformative learning. The stages of expertise development for aspiring research professionals were divided into "Network Dependence," "Network Negotiation," and "Network Expansion." The "Network Dependence" stage categories were "recognizing task identity as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nts," "acquiring a repertoire of major knowledge," and "conforming research performance to the community of practice." In the "Network Negotiation" stage, categories included "active peripheral participation in forming academic identity," "discovering shared values in the major knowledge repertoire," and "negotiating research performance with the community of practice." The "Network Expansion" stage included "full participation in forming professional identity," "mastery of major knowledge," and "academic reproduction through collective intelligence." Following this series of analyses, a "Practice-Based Expertise Development stage" for aspiring research professionals was presented. The significance of these results is as follows.
      Fourth, in the selective coding stage, a story outline was developed to describe the categories of their expertise development experience, and an expertise development model was proposed. The core category of the expertise development experience of prospective researchers was analyzed as ‘reflective practice adaptation: forming an expertise research identity through self-directed practical learning.’ The mechanisms for reflective practical adaptation are ‘integration of academics and life,’which includes ‘learning, experience, reflection, and practical adaptation,’ ‘continuous learning and academic reflection of prospective researchers,’ and ‘continuous reproduction of subjects who practice meaning.’
      The meaning of interpre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from an in-depth and comprehensive perspective, focusing on the activity promotion strategies and results of research participants surrounding the phenomenon of learning activities in graduate school derived from the above results and the mechanism of reflective practice adaptation, is as follows: The research expertise development process of prospective researchers in graduate school is signified as ‘community cohesion as an integrated process of academics and life’ and ‘social coexistence in the process of reproducing practical meaning.’ In the sense of ‘community cohesion as an integrated process of academics and life,’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rospective researchers is aimed at practical integration of academics and life and can be summarized as forming a research identity through communal solidarity and coexistence.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rospective researchers in ‘social coexistence in the process of reproducing practical meaning’ is summarized as reinterpreting and reconstructing continuous practical meaning through a process of conversion of meaning perspective, leading to mutual development and unity across society.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and discussions,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internal and external values served as a driving force for prospective researchers to carry out learning activities in graduate school.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formal and non-formal education (learning), and informal learning can all be revealed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knowledge. Third, it was confirmed that growth occurred after experiencing trial and error, frustration, and pain during the research process. The expertise development process of prospective researchers is related to their identity formation process, and extended learning was taking place in the process of resolving contradictions of prospective researchers as seen through activity theory. The prospective researcher confirmed that perspectives and views on academics were formed through the transformative learning process for academic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ands the understanding of expertise development by providing insight into how prospective researchers develop their expertise. Fourth, it will be necessary to prepare various measures to enable practical adaptation during graduate school courses. In addition, the expertise development model can be applied in the graduate school curriculu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원 생활세계에서의 지식 창출과 실천 행위를 탐구하기 위해 예비 연구자의 전문성 개발 경험의 범주와 발달과정을 탐구하여 전문성 발달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대학원 생활세계에서 예비 연구자의 전문성 발달 모형은 어떠한가’다.
      연구방법은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참여자는 20명의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자와 5년 이내의 박사 졸업자로 구성되었다. 이들의 전문성 개발 경험을 수집하기 위해 관찰과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예비 연구자의 전문성 발달과정은 실천 기반 성인학습이론인 사회학습, 상황학습, 확장학습, 전환학습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Strauss와 Corbin(1998)의 분석 절차를 바탕으로 예비 연구자의 전문성 개발 경험을 개방코딩한 결과, 1차 코딩에서는 208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이 개념들을 유목화하여 8개의 범주와 20개의 하위범주로 분석되었다.
      둘째, 개방코딩에서 도출된 범주들의 관계성을 탐색하기 위해 패러다임 모형의 틀을 적용한 결과, 인과적 조건으로는 ‘내외적 동기부여’로, 맥락적 조건은 ‘사회적 요구와 기대’로 분석되었다. 중심현상은 ‘전문성 개발을 위한 학습활동’으로, 중재적 조건은 ‘지도 스타일’과 ‘전문성 개발의 장벽’으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대학원 적응’과 ‘학문적 몰입과 성찰’로, 결과는 ‘연구자의 전인적 능력’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전문성 발달 관점에서의 학습이론인 사회학습과 학술 멘토링, 상황학습, 확장학습, 전환학습에 기반한 분석 틀을 바탕으로 예비 연구자의 전문성 발달과정을 분석하였다. 예비 연구자의 전문성 발달 단계는 ‘네트워크 의존’ 단계, ‘네트워크 협상’ 단계, ‘네트워크 확장’ 단계로 구분되었다. ‘네트워크 의존’ 단계의 범주는 ‘합법적 주변 참여자로서 과업 정체성 인식’, ‘전공지식의 레퍼토리 습득’, ‘실천공동체에 순응하는 연구수행’으로, ‘네트워크 협상’ 단계에서는 ‘능동적 주변 참여로서 학문적 정체성 형성’, ‘전공지식 레퍼토리의 공유가치 발견’, ‘실천공동체와 교섭하는 연구수행’으로, ‘네트워크 확장’ 단계에서는 ‘완전한 참여로서 전문가 정체성 형성’, ‘전공지식의 마스터리’, ‘집단지성을 통한 학문적 재생산’ 범주로 분석되었다.
      넷째, 선택코딩 단계에서는 이들의 전문성 개발 경험 범주를 서술하는 이야기 윤곽을 진행하였고, 전문성 발달 모형을 제안하였다. 예비 연구자의 전문성 개발 경험의 핵심범주는 ‘성찰적 실천적응: 자기 주도적 실천학습을 통한 전문적인 연구 정체성 형성하기’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성찰적 실천적응 대한 메커니즘은 ‘학습, 경험, 성찰과 실천적응’이 내포된 ‘학문과 삶의 통합’, ‘예비 연구자의 끊임없는 학습과 학문적 성찰’, ‘지속적인 의미 실천 주체의 재생산’이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도출된 대학원 과정에서의 학습활동 현상을 둘러싼 연구참여자들의 활동 촉진 전략과 결과, 성찰적 실천적응의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이 연구의 결과를 심층적이고 종합적인 관점에서 해석한 의미는 다음과 같다. 대학원에서 예비 연구자의 연구 전문성 발달과정은 ‘학문과 삶의 통합과정으로서 공동체적 응집하기’와 ‘실천적 의미 재생산과정에서의 범사회적 상생하기’로 의미화된다. ‘학문과 삶의 통합과정으로서 공동체적 응집하기’의 의미에서 예비 연구자의 전문성 발달은 학문과 삶의 실천적 통합을 지향하며, 공동체적 연대와 공존을 통해 연구 정체성을 형성하는 것으로 축약될 수 있다. 그리고 ‘실천적 의미 재생산과정에서의 범사회적 상생하기’에서의 예비 연구자의 전문성 발달은 의미관점의 전환과정을 거쳐 지속적인 실천적 의미를 재해석하고 재구성하여 범사회적으로 상호 발전과 합치로 이끄는 것으로 축약된다.
      이상의 연구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외적 가치로 인해 예비 연구자는 대학원 과정에서의 학습활동을 수행하게 된 동인으로 작용하였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둘째, 형식과 비형식교육(학습), 무형식학습이 앎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모두 드러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연구수행 과정에서 시행착오와 좌절, 고통을 경험한 후, 성장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예비 연구자의 전문성 발달과정은 이들의 정체성 형성과정과 관련되며, 활동이론을 통해 본 예비 연구자의 모순 해결 과정에서 확장학습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예비 연구자는 학문에 대한 전환학습 과정을 통해 학문을 바라보는 시각과 관점이 형성된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예비 연구자가 자신의 전문성을 어떻게 개발하고 발전시키는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여, 전문성 개발의 이해를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넷째, 대학원 과정에서 실천적 실천적응이 가능하도록 다각도의 방편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더불어 전문성 발달 모형은 대학원 교육과정에서 적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학원 프로그램이나 지도 방법론을 개선하고, 예비 연구자의 전문성 개발을 저해 요인은 축소하고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요인을 바탕으로 촉진할 수 있는 전략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실천이론과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여 대학원 생활세계에서의 전문성 발달과정을 설명함과 동시에 전문성 발달 모형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예비 연구자의 대학원 교육 경험을 통해 학문세계, 생활세계, 사회세계에 필요한 전문성 함양을 위한 개념적인 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원 생활세계에서의 지식 창출과 실천 행위를 탐구하기 위해 예비 연구자의 전문성 개발 경험의 범주와 발달과정을 탐구하여 전문성 발달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원 생활세계에서의 지식 창출과 실천 행위를 탐구하기 위해 예비 연구자의 전문성 개발 경험의 범주와 발달과정을 탐구하여 전문성 발달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대학원 생활세계에서 예비 연구자의 전문성 발달 모형은 어떠한가’다.
      연구방법은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참여자는 20명의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자와 5년 이내의 박사 졸업자로 구성되었다. 이들의 전문성 개발 경험을 수집하기 위해 관찰과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예비 연구자의 전문성 발달과정은 실천 기반 성인학습이론인 사회학습, 상황학습, 확장학습, 전환학습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Strauss와 Corbin(1998)의 분석 절차를 바탕으로 예비 연구자의 전문성 개발 경험을 개방코딩한 결과, 1차 코딩에서는 208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이 개념들을 유목화하여 8개의 범주와 20개의 하위범주로 분석되었다.
      둘째, 개방코딩에서 도출된 범주들의 관계성을 탐색하기 위해 패러다임 모형의 틀을 적용한 결과, 인과적 조건으로는 ‘내외적 동기부여’로, 맥락적 조건은 ‘사회적 요구와 기대’로 분석되었다. 중심현상은 ‘전문성 개발을 위한 학습활동’으로, 중재적 조건은 ‘지도 스타일’과 ‘전문성 개발의 장벽’으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대학원 적응’과 ‘학문적 몰입과 성찰’로, 결과는 ‘연구자의 전인적 능력’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전문성 발달 관점에서의 학습이론인 사회학습과 학술 멘토링, 상황학습, 확장학습, 전환학습에 기반한 분석 틀을 바탕으로 예비 연구자의 전문성 발달과정을 분석하였다. 예비 연구자의 전문성 발달 단계는 ‘네트워크 의존’ 단계, ‘네트워크 협상’ 단계, ‘네트워크 확장’ 단계로 구분되었다. ‘네트워크 의존’ 단계의 범주는 ‘합법적 주변 참여자로서 과업 정체성 인식’, ‘전공지식의 레퍼토리 습득’, ‘실천공동체에 순응하는 연구수행’으로, ‘네트워크 협상’ 단계에서는 ‘능동적 주변 참여로서 학문적 정체성 형성’, ‘전공지식 레퍼토리의 공유가치 발견’, ‘실천공동체와 교섭하는 연구수행’으로, ‘네트워크 확장’ 단계에서는 ‘완전한 참여로서 전문가 정체성 형성’, ‘전공지식의 마스터리’, ‘집단지성을 통한 학문적 재생산’ 범주로 분석되었다.
      넷째, 선택코딩 단계에서는 이들의 전문성 개발 경험 범주를 서술하는 이야기 윤곽을 진행하였고, 전문성 발달 모형을 제안하였다. 예비 연구자의 전문성 개발 경험의 핵심범주는 ‘성찰적 실천적응: 자기 주도적 실천학습을 통한 전문적인 연구 정체성 형성하기’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성찰적 실천적응 대한 메커니즘은 ‘학습, 경험, 성찰과 실천적응’이 내포된 ‘학문과 삶의 통합’, ‘예비 연구자의 끊임없는 학습과 학문적 성찰’, ‘지속적인 의미 실천 주체의 재생산’이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도출된 대학원 과정에서의 학습활동 현상을 둘러싼 연구참여자들의 활동 촉진 전략과 결과, 성찰적 실천적응의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이 연구의 결과를 심층적이고 종합적인 관점에서 해석한 의미는 다음과 같다. 대학원에서 예비 연구자의 연구 전문성 발달과정은 ‘학문과 삶의 통합과정으로서 공동체적 응집하기’와 ‘실천적 의미 재생산과정에서의 범사회적 상생하기’로 의미화된다. ‘학문과 삶의 통합과정으로서 공동체적 응집하기’의 의미에서 예비 연구자의 전문성 발달은 학문과 삶의 실천적 통합을 지향하며, 공동체적 연대와 공존을 통해 연구 정체성을 형성하는 것으로 축약될 수 있다. 그리고 ‘실천적 의미 재생산과정에서의 범사회적 상생하기’에서의 예비 연구자의 전문성 발달은 의미관점의 전환과정을 거쳐 지속적인 실천적 의미를 재해석하고 재구성하여 범사회적으로 상호 발전과 합치로 이끄는 것으로 축약된다.
      이상의 연구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외적 가치로 인해 예비 연구자는 대학원 과정에서의 학습활동을 수행하게 된 동인으로 작용하였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둘째, 형식과 비형식교육(학습), 무형식학습이 앎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모두 드러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연구수행 과정에서 시행착오와 좌절, 고통을 경험한 후, 성장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예비 연구자의 전문성 발달과정은 이들의 정체성 형성과정과 관련되며, 활동이론을 통해 본 예비 연구자의 모순 해결 과정에서 확장학습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예비 연구자는 학문에 대한 전환학습 과정을 통해 학문을 바라보는 시각과 관점이 형성된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예비 연구자가 자신의 전문성을 어떻게 개발하고 발전시키는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여, 전문성 개발의 이해를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넷째, 대학원 과정에서 실천적 실천적응이 가능하도록 다각도의 방편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더불어 전문성 발달 모형은 대학원 교육과정에서 적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학원 프로그램이나 지도 방법론을 개선하고, 예비 연구자의 전문성 개발을 저해 요인은 축소하고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요인을 바탕으로 촉진할 수 있는 전략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실천이론과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여 대학원 생활세계에서의 전문성 발달과정을 설명함과 동시에 전문성 발달 모형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예비 연구자의 대학원 교육 경험을 통해 학문세계, 생활세계, 사회세계에 필요한 전문성 함양을 위한 개념적인 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주요 용어 정의 및 논문 구성 5
      • Ⅱ. 이론적 배경 7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주요 용어 정의 및 논문 구성 5
      • Ⅱ. 이론적 배경 7
      • 1. 대학원 제도와 선행연구 고찰 7
      • 가. 국내 대학원 제도의 특성 7
      • 나. 대학원 관련 선행연구 고찰 10
      • 2. 예비 연구자의 전문성 개념과 발달 18
      • 가. 예비 연구자와 전문성의 개념 19
      • 나. 전문성 요소와 발달과정 27
      • 다. 학문 분야별 전문성 특성 36
      • 3. 전문성 발달을 위한 실천학습 41
      • 가. 실천과 학습 41
      • 나. 실천기반 평생학습이론 46
      • 다. 전문성 발달 관점에서의 학습이론 56
      • Ⅲ. 연구 방법 64
      • 1. 연구 절차 64
      • 2. 연구참여자 선정 65
      • 3. 자료 수집 68
      • 4. 자료 분석 71
      • 5. 신빙성 및 연구윤리 74
      • Ⅳ. 연구 결과 76
      • 1. 전문성 개발의 범주와 개념 76
      • 가. 내외적 동기부여 78
      • 나. 사회적 요구와 기대 82
      • 다. 전문성 개발을 위한 학습활동 84
      • 라. 지도교수의 지도 스타일 97
      • 마. 전문성 개발의 장벽 102
      • 바. 대학원 적응 117
      • 사. 학문적 몰입과 성찰 125
      • 아. 연구자의 전인적 능력 130
      • 2. 범주의 관계성 138
      • 가. 중심현상 139
      • 나. 인과적 조건 142
      • 다. 맥락적 조건 143
      • 라. 중재적 조건 143
      • 마. 작용상호작용 전략 146
      • 바. 결과 149
      • 3. 전문성 발달과정 150
      • 가. 네트워크 의존 단계 151
      • 나. 네트워크 협상 단계 159
      • 다. 네트워크 확장 단계 167
      • 라. 전문성 발달 단계의 특성 175
      • 4. 전문성 발달 모형 182
      • 가. 핵심범주 182
      • 나. 이야기 윤곽 184
      • 다. 전문성 발달 모형 185
      • Ⅴ. 결론 188
      • 1. 요약 188
      • 2. 논의 190
      • 가. 학문과 삶의 통합과정으로서 공동체적 응집하기 190
      • 나. 실천적 의미 재생산 과정에서의 범사회적 상생 193
      • 다.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 195
      • 3. 제언 198
      • 참고문헌 199
      • Abstract 222
      • 부록 22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