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오늘날 우리가 목격하고 있는 사회의 ‘해체’, ‘위기’, ‘종언’에 대한 분석적 논의들과 사회적경제, 사회적기업, 사회혁신, 사회치리, 사회발전 등의 이름으로 등장하는 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019873
2017
Korean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100-146(47쪽)
1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오늘날 우리가 목격하고 있는 사회의 ‘해체’, ‘위기’, ‘종언’에 대한 분석적 논의들과 사회적경제, 사회적기업, 사회혁신, 사회치리, 사회발전 등의 이름으로 등장하는 다...
본 연구는 오늘날 우리가 목격하고 있는 사회의 ‘해체’, ‘위기’, ‘종언’에 대한 분석적 논의들과 사회적경제, 사회적기업, 사회혁신, 사회치리, 사회발전 등의 이름으로 등장하는 다양한 ‘사회건설’ 프로젝트의 증식이 병존하는 현상에 주목한다. “사회 따위는 없다”라는 말로 대변되는 신자유주의 독트린이 시장화의 지속적 헤게모니를 통해 주체화의 영역까지 확대된 상황에서 ‘사회’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국가 통치의 구체적 개입 대상이자 개인과 집단의 도덕적·윤리적 실천 공간으로 사회를 재구성하려는 시도들이 범람하는 현실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이 질문에 대한 그간의 논의들이 복지국가의 해체와 신자유주의 시장화로 이어지는 서구의 경험을 보편화했던 경향에 문제제기하면서, 본 논문은 서구식 복지국가의 해체와 재구성과는 상이한 경로를 밟아온 한국과 중국에서 진행되는 최근의 사회건설 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질문에 답하고자 한다. 첫째, 서구식 복지국가의 ‘사회적 통치’ 단계를 거치지 않은 한국과 중국에서 벌어지는 사회건설 프로젝트는 어떠한 맥락에서 파악될 수 있는가? 둘째, 이들 나라의 사회건설 프로젝트에서 국가가 수행하고 있는 이중적 역할, 즉 자신의 권한을 사회라는 공간에 적극적으로 이양하면서 동시에 이러한 사회건설 과정을 하나의 프로젝트로서 진두지휘하는 국가의 역할은 실제 사회건설 정책에 어떻게 기입되는가? 셋째, 한국과 중국에서 사회건설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행위자들은 ‘상호작용의 지평 혹은 사회적 권리의 기반으로서의 사회’와 ‘국가의 통치적 개입 공간이자 프로젝트의 목표가 된 사회’ 간의 긴장과 갈등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가? 한국과 중국의 사회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장기간의 현장연구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기술적 윤리성’의 확산, 즉 빈곤, 노동, 불평등과 같은 문제들이 시공간적으로 구획된 사회건설의 장에서 개개인의 윤리적 실천과 통치 기술을 통해 관리 가능한 대상으로 변형되는 점을 규명한다. 또한 사회건설 프로젝트가 사회의 ‘위기’를 마름질하는 한편, 한국과 중국의 상이한 역사적 궤적을 따라 다양한 ‘마찰점들’을 열어젖히고 있음을 강조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article, we give attention to the coexistence between increasing concerns about the “crisis” of society and increasing “social construction” projects exercised in the name of “the social.” Under circumstances where neoliberal doctr...
In this article, we give attention to the coexistence between increasing concerns about the “crisis” of society and increasing “social construction” projects exercised in the name of “the social.” Under circumstances where neoliberal doctrines, epitomized as Margaret Thatcher’s notorious phrase that “there is no such thing as society,” penetrate deep into a realm of subjectification, how can we understand the reality that “society” is central to state governance and, furthermore, reconstructed as an ethical field? With an eye to recent projects of social construction in South Korea and China, this study calls into question Eurocentric propensity to universalize “the death of the welfare state” and “neoliberal marketization” by answering the following inquiries. To begin, how can social construction projects be analyzed and contextualized in countries where the state did not go through the so-called stage of “social government” found in the Western welfare state? Next, how does the state accomplish a double mission to disperse its functions to social realms and re-articulate managerial power when it intervenes in social construction projects? Finally, how do various participants in social construction projects in the two countries experience and react to the tensions between “society” as the assemblage of social rights, solidarities, and socialities, and “society” as the target of state governance and engineered projects? Based on ethnographic fieldwork in Seoul, South Korea, and Guangdong, China, this article sheds light on the emergence of “technological ethicality,” that is, a series of practices in which structural problems like poverty, labor, and inequality are transformed into manageable objects that can be solved through technical interventions and ethical performances. It also delves into “frictions” that social construction projects unfold as they are intersected with historically sedimented events, policies, and experiences, which appear differently in the two countri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원순, "희망을 심다" 알마 2009
2 조문영, "혼종, 효용, 균열: 중국 광동 지역 국가 주도 사회건설에서 사회공작(사회복지)의 역할과 함의" 아태지역연구센터 39 (39): 111-150, 2015
3 정태인, "협동의 경제학" 레디앙 2013
4 바우만, 지그문트, "현대성과 홀로코스트" 새물결 2013
5 안치영, "현대 중국의 민간조직 관리" 중앙사학연구소 (35) : 31-64, 2012
6 조경란, "현대 중국 지식인 지도" 글항아리 2013
7 백영서, "핵심현장에서 동아시아를 다시 묻다" 창비 2013
8 김수행, "한국의 경제공황과 아시아 모델" (13) : 209-237, 1999
9 김주환, "한국에서 사회적기업과 신자유주의 통치: 사회적인 것의 통치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110) : 164-200, 2016
10 추이즈위안, "프티부르주아 사회주의 선언" 돌베개 2014
1 박원순, "희망을 심다" 알마 2009
2 조문영, "혼종, 효용, 균열: 중국 광동 지역 국가 주도 사회건설에서 사회공작(사회복지)의 역할과 함의" 아태지역연구센터 39 (39): 111-150, 2015
3 정태인, "협동의 경제학" 레디앙 2013
4 바우만, 지그문트, "현대성과 홀로코스트" 새물결 2013
5 안치영, "현대 중국의 민간조직 관리" 중앙사학연구소 (35) : 31-64, 2012
6 조경란, "현대 중국 지식인 지도" 글항아리 2013
7 백영서, "핵심현장에서 동아시아를 다시 묻다" 창비 2013
8 김수행, "한국의 경제공황과 아시아 모델" (13) : 209-237, 1999
9 김주환, "한국에서 사회적기업과 신자유주의 통치: 사회적인 것의 통치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110) : 164-200, 2016
10 추이즈위안, "프티부르주아 사회주의 선언" 돌베개 2014
11 푸코, "푸코 효과: 통치성에 관한 연구" 난장 2014
12 왕후이, "탈정치 시대의 정치" 돌베개 2014
13 사센, 사스키아, "축출 자본주의" 글항아리 2016
14 이남주, "중국 시민사회의 발전과 시련" 2 : 21-41, 2010
15 김도희, "중국 사구연구의 쟁점에 관한 시론적 고찰" 중국학연구회 33 : 491-509, 2005
16 옌이룽, "중국 공산당을 개혁하라"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5
17 박철현, "중국 개혁기 사회관리체제 구축과 지방정부의 역할 변화: 1990년대 상하이 푸동개발의 공간생산과 지식" 한국공간환경학회 25 (25): 115-152, 2015
18 장윤미, "중국 “안정유지(維穩)”의 정치와 딜레마" 64 : 105-143, 2013
19 서영표, "인식되지 않은 조건, 의도하지 않은 결과" (58) : 62-85, 2013
20 아렌트, 한나, "인간의 조건" 한길사 2002
21 김성구, "신자유주의와 공모자들" 나름북스 2014
22 백승욱, "시진핑 시대 중국 사회건설과 사회관리" 현대중국학회 17 (17): 1-51, 2015
23 유팔무,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한울" 한울 1995
24 김지헌, "성북구 지역 거버넌스 참여관찰 연구" 2016
25 홍기빈, "살림/살이의 경제학을 위하여" 지식의 날개 2012
26 정용택, "사회적 타살인가, 사회의 타살인가?: 우리시대 ‘불가능성의 사회론’에관하여" (24) : 2014
27 김성윤, "사회적 경제에서 사회적인 것의 문제" (73) : 110-128, 2013
28 조문영, "사회복지(社會工作)의 일상적 연행을 통해 본중국 국가의 구조적 폭력: 선전 폭스콘 공장지대를 중심으로" 아태지역연구센터 38 (38): 217-257, 2014
29 김정원, "빈곤 문제에 대한 대응과 사회적경제: 빈민밀집지역 주민운동 분석을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106) : 171-204, 2015
30 퍼거슨, 제임스, "분배정치의 시대: 기본소득과 현금지급이라는 혁명적 실험" 여문책 2017
31 프레이저, 낸시, "분배냐, 인정이냐? 정치철학적 논쟁" 사월의책 2014
32 송제숙, "복지의 배신" 이후 2015
33 송호근, "복지국가의 태동" 나남출판 2006
34 원톄쥔, "백년의 급진" 돌베개 2013
35 조희연, "민중운동과 시민사회, 시민운동" (32) : 232-270, 1993
36 정태석, "민주화 이후의 시민사회" (42) : 132-148, 2005
37 최장집, "민주적 시장 경제의 조건과 함의" (3) : 235-249, 1998
38 정용택, "돌봄’의 정치경제학: ‘사회적 돌봄서비스’의 ‘사회효과’를 중심으로" (69) : 251-288, 2016
39 박주형, "도구화되는 ‘공동체’: 서울시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공간환경학회 23 (23): 5-43, 2013
40 루쉐이, "당대 중국 사회 건설" 푸른사상 2016
41 강철규, "기의 한국경제와 그 극복방안" (3) : 184-201, 1998
42 김성구, "경제위기와 신자유주의" 문화과학사 1998
43 孙立平, "走向积极的社会管理" (4) : 22-32, 2011
44 孫仲勇, "社會組織培育指南" 北京大學出版社 2015
45 陈伟东, "社区自治: 自组织网络与制度设置" 中国社会科学出版社 2004
46 陸學藝, "社会建设论" 社会科学文献出版社 2012
47 陈鹏, "社会建设與社会学的使命: 读陆学艺≪社会建设论≫" (2) : 177-187, 2014
48 郑杭生, "社会学视野中的社会建设与社会管理" 20 (20): 1-10, 2006
49 吴刚, "现代社会组织结构观与城市社区建设" (1) : 14-16, 2001
50 龍華新區社會建設局, "家門口的公益 (팸플릿 자료)" 2015
51 白钢, "城市基层权利重组" 中国社会科学出版社 2006
52 何艳玲, "回歸社会-中国社会建設與國家治理結构調適" (3) : 31-46, 2013
53 費孝通, "住民自治: 中國城市社區建設的新目標" (3) : 15-18, 2002
54 冯元, "中國社會工作政策的背景, 動力與價値" (1) : 62-68, 2016
55 조문영, "‘신세대 농민공’의 자원봉사 활동을 통해 본 국가 주도 윤리적 시민권의 성격과 함의" 현대중국학회 16 (16): 273-314, 2014
56 羅斯琦, "‘사회치리’(社會治理)로 방향전환을 모색하는 광둥성의 사회관리 정책" 현대중국학회 17 (17): 37-78, 2016
57 백승욱, "‘사회’로 확장되는 중국 공회(노동조합): 광둥성 공회의 체제 개혁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51 (51): 39-90, 2017
58 조문영, "‘사람’의 현장, ‘빈민’의 현장: 한 지역주민운동 단체의 성찰적 평가에 관한 협업의 문화기술지" 한국문화인류학회 49 (49): 51-107, 2016
59 Cho, M. Y, "We Are the State’: An Entrepreneurial Mission to Serve the People" 37 (37): 422-455, 2011
60 Ferguson, J, "The Uses of Neoliberalism" 41 : 166-184, 2010
61 Cho, M. Y, "The Specter of “The People”: Urban Poverty in Northeast China" Cornell University Press 2013
62 Muehlebach, A, "The Moral Neoliberal: Welfare and Citizenship in Ital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2
63 Tomba, Luigi, "The Government Next Door: Neighborhood Politics in Urban China" Cornell University Press 2014
64 Song, J, "South Koreans in the Debt Crisis: The Creation of a Neoliberal Welfare Society" Duke University Press 2009
65 Howell, J, "Shall We Dance? Welfarist Incorporation and the Politics of State-Labour NGO Relations" 223 : 702-723, 2015
66 Teets, J. C, "Reforming Service Delivery in China: The Emergence of a Social Innovation Model" 17 (17): 15-32, 2012
67 Rose, N, "Powers of Freedom: Reframing Political Though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68 Roy, A, "Poverty Capital: Microfinance and the Making of Development" Routledge 2010
69 Collier, S, "Post-Soviet Social: Neoliberalism, Social Modernity, Biopolit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1
70 Shever, E, "Neoliberal Associations: Property, Company, and Family in the Argentine Oil Fields" 35 (35): 701-716, 2008
71 Hann, C, "Market and Society: The Great Transformation Toda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72 Pun, N, "Made in China: Women Factory Workers in a Global Workplace" Duke University Press 2005
73 Park, B-G, "Locating Neoliberalism in East Asia: Neoliberalizing Spaces in Developmental States" Wiley-Blackwell 2012
74 Cho, M. Y, "From ‘Power to the People’ to ‘Civil Empowerment in East-West Center Working Papers: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 Conference Series" 2005
75 Tsing, A. L, "Friction: An Ethnography of Global Connec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5
76 Rose, N, "Foucault and the Political Reason: Liberalism, neo-liberalism and rationalities of governmen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7-64, 1996
77 Escobar, A, "Encountering Developmen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5
78 Chang, K-S, "Developmental Politics in Transition:The Neoliberal Era and Beyond" Palgrave 2012
79 Peck, J, "Construction of Neoliberal Reas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80 Wang Hui, "China’s New Order: Society, Politics, and Economy in Transi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2006
81 Silva, E, "Challenging Neoliberalism in Latin Ame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82 Yang, Han-Sun, "Celebration of Wealth and Emulation of Modernity: The Politics of Model Tourism in China’s Richest Village"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2006
83 Bray, D, "Building ‘Community’: New Strategies of Governance in Urban China" 35 (35): 530-549, 2006
84 Joseph, M, "Against the Romance of Community"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02
85 Larner, W, "After Neoliberalism? Community Activism and Local Partnership in Aotearoa New Zealand" 37 (37): 402-424, 2005
86 Harvey, D, "A Brief History of Neo-liber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87 윤종석, "'선전의 꿈'과 발전담론의 전환: 2000년대 사회적 논쟁을 통해 본 선전 경제특구의 새로운 위상정립" 현대중국학회 17 (17): 93-153, 2015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7-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5-07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산업사회학회 -> 비판사회학회영문명 : The Association Of Korean Researchers On Industrial Society -> Korean Critical Sociological Association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7 | 1.37 | 1.3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8 | 1.56 | 1.768 | 0.46 |
2014 이러닝 국제 콘퍼런스: Exploring the Role of Social Network Service
한국교육정보진흥협회 Ju-Sung, JunSocial Care 1: A Day in the Home
Teachers TV Teachers TVThe Community School
Teachers TV Teachers TVCommitted to Community: Ravensbury
Teachers TV Teachers TVCommitted to Community: Cheetham
Teachers TV Teacher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