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 「국외범죄피해조위금 등의 지급에 관한 법률」의 주요 내용과 국내적 시사점 = The Contents and Implications of 「The Act on Payment of Condolence Grant to Victims of Crime Abroad」 in Japa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16년 일본에서는 「국외범죄피해자 조위금 등의 지급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일정한자격을 갖춘 국외범죄피해자에게 경제적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일본 역시 우리나라와 같이범죄피해구조금(a criminal injury relief fund)의 지급 대상을 국내범죄피해자로 한정하고 있었으나, 일본인 국외범죄피해자의 증가추세에 따라 범죄피해자에 대한 경제적 지원의 필요성이 점점 부각되었고, 이러한 배경 하에 사회 연대·공조의 정신에 입각하여 국외범죄피해자에 대해서도 경제적 지원을 실시하게 되었다. 이러한 일본의 변화된 상황은 국외범죄피해자에 대한 국가의 구조책임을 외면하고 있는 우리나라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에 일본 「국외범죄피해자 조위금 등의 지급에 관한 법률」의 입법 과정과 법률의 주요내용 및 특징을 살펴본 후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에의 시사점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2016년 일본에서는 「국외범죄피해자 조위금 등의 지급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일정한자격을 갖춘 국외범죄피해자에게 경제적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일본 역시 우리나라와 같이...

      2016년 일본에서는 「국외범죄피해자 조위금 등의 지급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일정한자격을 갖춘 국외범죄피해자에게 경제적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일본 역시 우리나라와 같이범죄피해구조금(a criminal injury relief fund)의 지급 대상을 국내범죄피해자로 한정하고 있었으나, 일본인 국외범죄피해자의 증가추세에 따라 범죄피해자에 대한 경제적 지원의 필요성이 점점 부각되었고, 이러한 배경 하에 사회 연대·공조의 정신에 입각하여 국외범죄피해자에 대해서도 경제적 지원을 실시하게 되었다. 이러한 일본의 변화된 상황은 국외범죄피해자에 대한 국가의 구조책임을 외면하고 있는 우리나라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에 일본 「국외범죄피해자 조위금 등의 지급에 관한 법률」의 입법 과정과 법률의 주요내용 및 특징을 살펴본 후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에의 시사점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2016, 「The Act on Payment of Condolence Grant to Victims of Crime Abroad」 has recently been established in Japan, which shall provide economic support to Japanese victims of crimes committed overseas who meet certain qualifications. Like the Republic of Korea, the Japanese Government restricted eli- gibility for ‘Criminal Injury Relief Fund’ to victims of crimes in the country. However, there is a growing emphasis on responding to the needs of economic support to the victims of crimes overseas, according to the spirit of social solid- arity and cooperation, with an increasing number of the Japanese victims of crimes while abroad. As a result, the Japanese Government has provided economic support to the victims of crimes abroad. It is noteworthy that this change in the Japanese circumstances has a great implication on South Korea, which ignores the State responsibility for rescuing Korean victims of crimes committed overseas. Therefore, the legislative processes,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The Act on Payment of Condolence Grant to Victims of Crime Abroad」 in Japan were re- viewed and som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번역하기

      In 2016, 「The Act on Payment of Condolence Grant to Victims of Crime Abroad」 has recently been established in Japan, which shall provide economic support to Japanese victims of crimes committed overseas who meet certain qualifications. L...

      In 2016, 「The Act on Payment of Condolence Grant to Victims of Crime Abroad」 has recently been established in Japan, which shall provide economic support to Japanese victims of crimes committed overseas who meet certain qualifications. Like the Republic of Korea, the Japanese Government restricted eli- gibility for ‘Criminal Injury Relief Fund’ to victims of crimes in the country. However, there is a growing emphasis on responding to the needs of economic support to the victims of crimes overseas, according to the spirit of social solid- arity and cooperation, with an increasing number of the Japanese victims of crimes while abroad. As a result, the Japanese Government has provided economic support to the victims of crimes abroad. It is noteworthy that this change in the Japanese circumstances has a great implication on South Korea, which ignores the State responsibility for rescuing Korean victims of crimes committed overseas. Therefore, the legislative processes,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The Act on Payment of Condolence Grant to Victims of Crime Abroad」 in Japan were re- viewed and som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며 Ⅱ. 일본 국외범죄피해 현황 및 조위금 등의 지급 Ⅲ. 일본 범죄피해구조금 제도의 연혁 Ⅳ. 법률의 주요 내용 및 특징 Ⅴ. 시사점 - 결론에 갈음하며 참고문헌
      • Ⅰ. 들어가며 Ⅱ. 일본 국외범죄피해 현황 및 조위금 등의 지급 Ⅲ. 일본 범죄피해구조금 제도의 연혁 Ⅳ. 법률의 주요 내용 및 특징 Ⅴ. 시사점 - 결론에 갈음하며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광섭, "형사정책" 대왕사 1996

      2 "헌법재판소 2011.12.29. 2009헌마354"

      3 윤지원, "해외 범죄피해에 대한 범죄피해구조금 지급의 실무적 문제점" 한국피해자학회 28 (28): 151-178, 2020

      4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09

      5 "제369회 국회(임시회) 법안심사제1소위원회 법제사법위원회 회의록 제1호(2019. 7. 16.)"

      6 "제367회 국회(임시회) 법안심사제1소위원회 법제사법위원회 회의록 제1호(2019. 3. 25.)"

      7 "제364회 국회(정기회) 제6차 법제사법위원회 범죄피해자 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검토보고서(2018. 11. 전문위원 정연호)" 2018

      8 "제364회 국회(정기회) 법제사법위원회회의록 제6호(2018. 11. 12.)"

      9 "월 만원 내고 5,000만원 혜택…해외이주자 ‘건보 먹튀’"

      10 방승주, "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의 기본권주체" 유럽헌법학회 (19) : 155-191, 2015

      1 송광섭, "형사정책" 대왕사 1996

      2 "헌법재판소 2011.12.29. 2009헌마354"

      3 윤지원, "해외 범죄피해에 대한 범죄피해구조금 지급의 실무적 문제점" 한국피해자학회 28 (28): 151-178, 2020

      4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09

      5 "제369회 국회(임시회) 법안심사제1소위원회 법제사법위원회 회의록 제1호(2019. 7. 16.)"

      6 "제367회 국회(임시회) 법안심사제1소위원회 법제사법위원회 회의록 제1호(2019. 3. 25.)"

      7 "제364회 국회(정기회) 제6차 법제사법위원회 범죄피해자 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검토보고서(2018. 11. 전문위원 정연호)" 2018

      8 "제364회 국회(정기회) 법제사법위원회회의록 제6호(2018. 11. 12.)"

      9 "월 만원 내고 5,000만원 혜택…해외이주자 ‘건보 먹튀’"

      10 방승주, "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의 기본권주체" 유럽헌법학회 (19) : 155-191, 2015

      11 "백혜련 의원 대표발의, 의안번호 2015181"

      12 안성훈, "국외범죄피해자의 국가구조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피해자학회 29 (29): 115-139, 2021

      13 瀬川晃, "犯罪被害者支援の基礎 (講座 被害者支援 第1巻)" 東京法令出版 2000

      14 高井康行, "犯罪被害者保護法制解説" 三省堂 2008

      15 "犯罪被害給付制度の拡充及び新たな補償制度の創設に関する検討会"

      16 法務省法務総合研究所, "犯罪白書" 2008

      17 島田壮一郎, "国外犯罪被害弔慰金等の支給に関する法律(2016年 法律 第73号)" 68 (68): 2017

      18 島田壮一郎, "国外において犯罪被害に遭った日本国民についての経済的支援を創設, 時の法令"

      19 川出敏裕, "刑事政策" 成文堂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7 1.37 1.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5 1.38 1.729 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