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소자는 출소 후 지역사회로 돌아가 사회재적응(사회복귀)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게 되며, 이 적응에 실패할 경우 재범의 위험에 빠지기 쉽다. 재범율의 증가와 함께 교도소 내에서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027691
이인곤 (세명대학교)
2015
Korean
출소자 ; 재범방지 ; 사회재적응 ; 갱생보호사업 ; 가족재결합 ; Released Prisoner ; Preventing Recidivism ; Readaptation ; Family’s Reunion ; Rehabilitation
KCI등재
학술저널
153-180(28쪽)
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출소자는 출소 후 지역사회로 돌아가 사회재적응(사회복귀)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게 되며, 이 적응에 실패할 경우 재범의 위험에 빠지기 쉽다. 재범율의 증가와 함께 교도소 내에서의 ...
출소자는 출소 후 지역사회로 돌아가 사회재적응(사회복귀)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게 되며, 이 적응에 실패할 경우 재범의 위험에 빠지기 쉽다. 재범율의 증가와 함께 교도소 내에서의 교정뿐 아니라 출소 후의 갱생보호사업에 대한 중요성이 매우 크다. 출소자의 성공적 사회복귀는 매년 범죄로 인하여 소비되는 엄청난 사회적 비 용을 줄이는 동시에 사회 안정과 통합에 기여한다. 이런 점에서 이는 출소자 한 사 람의 문제만이 아닌 그가 속한 지역과 사회 전체의 중요한 과제이다. 그러므로 출소 자의 성공적 사회적응을 돕는 갱생보호사업은 그 중요성과 의의 면에서 국가적(국민 적) 사업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이 새롭게 출발하는 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지 원하는 일은 사회를 위협하는 범죄를 줄일 뿐만 아니라 한번 실패했던 사회 구성원 에게 다시 사회 속에서 어울려 살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중요한 일이 될 것이 다. 출소자들은 사회적 냉대와 낙인, 경제적 궁핍이나 구직의 어려움 등 현실적 한계 에 부딪혀 또다시 범죄의 유혹에 빠져들게 된다. 이들이 사회에서 당당한 구성원으 로 기능하며 살아갈 수 있도록 구체적인 물질적, 심리적, 사회적 도움을 제공하는 일이 현재 법무 부 산하에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이하 ‘공단’으로 지칭)과 7개의 민간법 인에 의해서 갱생보호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이 기관들만으로는 매년 수만 명의 출소자의 수요를 충족시키기에 역부족이다. 본 연구에서는 출소자 갱생보 호에 대한 민간참여 및 종교영역 참여활성화를 위해 출소자 갱생보호 현황과 문제점 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국내 갱생보호에 대한 참여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피해자와 가해자 또는 지역사회 구성원등 범죄사건 관련자 들이 사건 해결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피해자 또는 지역사회의 손실을 복구하 고 관련 당사자들의 재통합을 추구하는 민간, 종교영역을 대상으로 출소자 복지 및 가족재결합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관심을 확대시키기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를 모색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released prisoner may suffer from readaptation into society. If they fail the efforts for reintegration into society, they are likely to commit a crime again. As the recidivism rate is increasing, the rehabilitation for the released prisoner becomes...
A released prisoner may suffer from readaptation into society. If they fail the efforts for reintegration into society, they are likely to commit a crime again. As the recidivism rate is increasing, the rehabilitation for the released prisoner becomes a very important issue. Even though the Korea Rehabilitation Agency have performed various rehabilitation programs, we are not satisfied with the outcomes. This thesis discusses what specific treatments should be implemented and how effectively each correctional penitentiary and community affiliated for inmate who would overcome the temptation of recidivism, settling down within society in a socially responsible manner. For reducing criminal problems, above all, preventing re-offending is required. Most importantly, the effective rehabilitation activities have to be practiced for the released prisoners to prevent their re-offending. Korea has about 70 years of history of rehabilitation activities, but still has problems to be solved. First, current rehabilitation activities are focused, mainly on material assistances. Secondly, present rehabilitation activities are related very much to the released offenders while their families are ignored in spite of the families' importance for successful rehabilitation. Thirdly, there are strong social prejudice against the released prisoners in the society. This study show that the released prisoners need urgently relationship restoration in various dimensions. First of all, they need to restore their relationship with themselves. Second, they should rebuild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spouse, children, parents, and others in their family. The probability of a family’s reunion after a prisoner returns home was influenced more on environmental factors rather on the prisoners themselv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진연, "효율적인 갱생보호사업의 방향-출소자의 재범방지를 중심으로-" 한국교정학회 23 : 185-219, 2004
2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해외 갱생보호제도 조사보고-캐나다-"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2013
3 Kim, Jeong-Han, "한국판 청소년용 성격강점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재활심리학회 21 (21): 433-452, 2014
4 최응렬, "한국 갱생보호사업의 적용현황 및 개선방안" 한국교정학회 61 : 7-35, 2013
5 이신영, "출소자의 재범방지를 위한 지역사회중심의 갱생보호사업에 관한 연구" 한국교정학회 38 : 139-161, 2008
6 이인곤, "출소자의 사회복귀를 위한 법무(보호)복지사업에 관한 고찰 -출소자 가족지원사업을 중심으로-" 한국법학회 (57) : 137-160, 2015
7 신연희, "출소자와 가족의 가정생활 실태 및 욕구에 관한 조사-출소자 가정복원을 위한 가족실태조사 및 중장기 지원방안 연구 중에서"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2015
8 신성만, "출소자 지역사회 재활서비스의 국내외 현황과 시사점 - 정신사회재활모델의 적용" 한국보호관찰학회 14 (14): 149-189, 2014
9 배임호, "출소자 재범방지를 위한 갱생보호사업*의 실태와 발전방향" 한국교정학회 60 : 113-134, 2013
10 이현희, "재범요인에 관한 인과적 분석 : 형벌과 사회적 결속" 한국교정학회 24 : 97-122, 2004
1 정진연, "효율적인 갱생보호사업의 방향-출소자의 재범방지를 중심으로-" 한국교정학회 23 : 185-219, 2004
2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해외 갱생보호제도 조사보고-캐나다-"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2013
3 Kim, Jeong-Han, "한국판 청소년용 성격강점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재활심리학회 21 (21): 433-452, 2014
4 최응렬, "한국 갱생보호사업의 적용현황 및 개선방안" 한국교정학회 61 : 7-35, 2013
5 이신영, "출소자의 재범방지를 위한 지역사회중심의 갱생보호사업에 관한 연구" 한국교정학회 38 : 139-161, 2008
6 이인곤, "출소자의 사회복귀를 위한 법무(보호)복지사업에 관한 고찰 -출소자 가족지원사업을 중심으로-" 한국법학회 (57) : 137-160, 2015
7 신연희, "출소자와 가족의 가정생활 실태 및 욕구에 관한 조사-출소자 가정복원을 위한 가족실태조사 및 중장기 지원방안 연구 중에서"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2015
8 신성만, "출소자 지역사회 재활서비스의 국내외 현황과 시사점 - 정신사회재활모델의 적용" 한국보호관찰학회 14 (14): 149-189, 2014
9 배임호, "출소자 재범방지를 위한 갱생보호사업*의 실태와 발전방향" 한국교정학회 60 : 113-134, 2013
10 이현희, "재범요인에 관한 인과적 분석 : 형벌과 사회적 결속" 한국교정학회 24 : 97-122, 2004
11 연성진, "재범방지를 위한 교정보호의 선진화 방안 연구(Ⅰ), 출소자 주거 및 취업지원을 위한 사회적 기업설립·육성방안" 형사정책연구원 2012
12 김무엘, "우리나라의 민영교도소 소개 및 성공적 교정 사례" 2010 : 27-37, 2010
13 최영신, "우리나라 수형자 사회복귀과정의 단계와 지원 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 (20): 997-1018, 2009
14 최영신, "여성출소자의 사회적응 지원 방안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6
15 양혜경, "수형자의 출소 후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교정학회 63 : 115-144, 2014
16 김영식, "수형자 사회복귀 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한국교정학회 42 : 163-192, 2009
17 전영실, "수형자 가족관계 건강성 실태조사 및 향상방안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7
18 박성연, "수용자 자녀문제에 관한 미국과 영국의 사례분석과 우리나라의 대응 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2
19 김정희, "수용자 사회복귀 프로젝트 U-turn"
20 신연희, "수용자 가족건강성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교정학회 40 : 203-225, 2008
21 박선영, "소년사범을 위한 소규모 그룹홈의 활성화 방안" 아시아교정포럼 8 (8): 25-60, 2014
22 이창한, "미국의 출소자 사회복귀 연계제도의 성과와 과제" 3 (3): 179-198, 2009
23 유수연, "독일의 출소(예정)자와 그 가족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 한국보호관찰학회 15 (15): 51-77, 2015
24 조윤오, "교정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 인식 조사: 교정 실무자와 외부 상담자를 대상으로" 한국교정학회 61 : 217-246, 2013
25 이원복, "갱생보호에서의 민간·종교참여의 이론적 논의" 형사정책연구원 2011
26 BAG·S., "Wegweiser fur Inhaftierte"
27 Cocone. V., "Systemische Paar-und Familientherapie mit Inhaftierten und deren Angehörigen"
28 이백철, "Nothing Works' 와 교정치료 프로그램의 재평가" 한국교정학회 36 : 7-41, 2007
29 "Informationdienst Straffalligenhilfe. Heft 3"
30 "Goli/Egerer/Wulf. Form Strafvollzug. Heft 1"
31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2013년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고객만족도 조사 결과 보고서" 서울대학교 2013
32 법무연수원, "2013 범죄백서" 법무연수원 2014
경찰관의 외상사건과 PTSD의 관계에서 레질리언스의 매개효과 검증
IS(Islamic State)의 테러양상과 우리나라 테러가능성 평가
필리핀 주택 보안장치와 범죄두려움과의 관계 : 앙헬레스 한국 주민을 대상으로
학술지 이력
|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 2009-07-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경찰발전연구학회보 -> 한국경찰연구 | ![]() |
| 2009-03-1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경찰발전연구학회 -> 한국경찰연구학회 |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 2016 | 0.94 | 0.94 | 1.01 |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 1.03 | 0.99 | 1.04 | 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