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찰관의 외상사건과 PTSD의 관계에서 레질리언스의 매개효과 검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0276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이 연구는 경찰관의 외상사건이 PTSD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레질리언스가 이 들 변수들 사이에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 지를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연 구모형의 인과관계에서 직위수준과 경과에 따라 경로계수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를 추가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조사의 대상은 전국의 경찰관 25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 과로는 첫째, 경찰관의 외상경험이 높을수록 PTSD 증상에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경찰관의 레질리언스는 PTSD 증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상 사건이 경찰관의 PTSD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레질리언스가 부분매개하는 효과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외상사건과 PTSD의 관계에서 레질리언스가 매개하 는 경로에서 경사이하의 집단과 경위 이상의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경과별 집단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경찰관의 PTSD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직접적으로 외상사건을 다루는 개입뿐만 아니라, 높은 수준의 레질리언스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경찰관의 정신건강 증진방안을 제시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경찰관의 외상사건이 PTSD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레질리언스가 이 들 변수들 사이에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 지를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연 구모형의 인과관계에서 ...

      이 연구는 경찰관의 외상사건이 PTSD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레질리언스가 이 들 변수들 사이에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 지를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연 구모형의 인과관계에서 직위수준과 경과에 따라 경로계수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를 추가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조사의 대상은 전국의 경찰관 25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 과로는 첫째, 경찰관의 외상경험이 높을수록 PTSD 증상에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경찰관의 레질리언스는 PTSD 증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상 사건이 경찰관의 PTSD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레질리언스가 부분매개하는 효과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외상사건과 PTSD의 관계에서 레질리언스가 매개하 는 경로에서 경사이하의 집단과 경위 이상의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경과별 집단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경찰관의 PTSD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직접적으로 외상사건을 다루는 개입뿐만 아니라, 높은 수준의 레질리언스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경찰관의 정신건강 증진방안을 제시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at traumatic work events have bad effect to the symptoms of PTSD among policemen. and their resilience have mediate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on traumatic work events and PTSD. Additionally, this study was made certain that there wer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path coefficient by police rank and type of duty. The survey included 254 Policemen from all over the country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s follows: First, the traumatic work event has a positive effect on PTSD. Seconds, the Resilience has a negative effect on PTSD. third, the resilience has a weak mediation effect a traumatic work event on PTSD. Fourth, the relation between traumatic work event and PTSD among higher resilience of policem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ir rank not type of duty. In the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several ways to prevent mental health of policemen regarding to PTSD. the authors discussed that it must to be very important to provide educational program keeping their higher resilience for policemen. it is also needed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traumatic work event through dealing with it directly .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at traumatic work events have bad effect to the symptoms of PTSD among policemen. and their resilience have mediate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on traumatic work events and PTSD. Additionally, this study was made 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at traumatic work events have bad effect to the symptoms of PTSD among policemen. and their resilience have mediate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on traumatic work events and PTSD. Additionally, this study was made certain that there wer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path coefficient by police rank and type of duty. The survey included 254 Policemen from all over the country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s follows: First, the traumatic work event has a positive effect on PTSD. Seconds, the Resilience has a negative effect on PTSD. third, the resilience has a weak mediation effect a traumatic work event on PTSD. Fourth, the relation between traumatic work event and PTSD among higher resilience of policem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ir rank not type of duty. In the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several ways to prevent mental health of policemen regarding to PTSD. the authors discussed that it must to be very important to provide educational program keeping their higher resilience for policemen. it is also needed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traumatic work event through dealing with it directly .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서론
      • II. 이론적 배경
      • III. 연구방법
      • IV. 분석결과
      • 〈국문초록〉
      • I. 서론
      • II. 이론적 배경
      • III. 연구방법
      • IV. 분석결과
      • V.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영현, "해양경찰공무원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 13 (13): 119-154, 2011

      2 은헌정, "한국판 사건충격척도 수정판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4 (44): 303-310, 2005

      3 임혁, "정신건강의 이해" 공동체 2015

      4 유재두, "외상 경험 경찰공무원의 스트레스 대처형태와 PTSD와의 관계 연구" 한국경찰학회 15 (15): 183-204, 2013

      5 김상운, "수사경찰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경험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대구지역 수사경찰관을 대상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4 (14): 247-254, 2014

      6 김주환,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7 우종필, "구조방정식모델의 개념과 이해" 한나래출판사 2014

      8 이옥정, "경찰의 직무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 적용을 위한 외근 경찰관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증상 분석" 한국경찰학회 12 (12): 173-203, 2010

      9 권용철, "경찰관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증상과 관련된 인지적, 정서적 특성" 한국임상심리학회 32 (32): 649-665, 2013

      10 신성원, "경찰관서 규모에 따른 스트레스 수준 비교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3 (13): 463-469, 2013

      1 유영현, "해양경찰공무원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 13 (13): 119-154, 2011

      2 은헌정, "한국판 사건충격척도 수정판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4 (44): 303-310, 2005

      3 임혁, "정신건강의 이해" 공동체 2015

      4 유재두, "외상 경험 경찰공무원의 스트레스 대처형태와 PTSD와의 관계 연구" 한국경찰학회 15 (15): 183-204, 2013

      5 김상운, "수사경찰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경험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대구지역 수사경찰관을 대상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4 (14): 247-254, 2014

      6 김주환,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7 우종필, "구조방정식모델의 개념과 이해" 한나래출판사 2014

      8 이옥정, "경찰의 직무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 적용을 위한 외근 경찰관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증상 분석" 한국경찰학회 12 (12): 173-203, 2010

      9 권용철, "경찰관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증상과 관련된 인지적, 정서적 특성" 한국임상심리학회 32 (32): 649-665, 2013

      10 신성원, "경찰관서 규모에 따른 스트레스 수준 비교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3 (13): 463-469, 2013

      11 신성원, "경찰공무원의 일상적·직업적 경험이 스트레스 수준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7

      12 김종길, "경찰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장애(PTSD)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 14 (14): 31-54, 2012

      13 김자혜, "경찰공무원의 외상사건 유형과 PTSD 증상의 관계: 스트레스 대처양식의 조절효과" 한국경찰연구학회 12 (12): 27-50, 2013

      14 National Institute of Justice, "Use of force by police : overview of national and local data" National Institute of Justice

      15 Green, B., "Trauma and its wake: The Study and treatmen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runner/ Mazel 1985

      16 Richardson, G. E., "The metatheory of resilience and resiliency" 58 : 307-321, 2002

      17 McCaslin, S. E., "The impact of personal threat on police officers’ responses to critical incident stressors" 194 : 591-597, 2006

      18 Riddle, R. T., "The Relation between life stress, work stress, and traumatic stress and burnout and cynicism in police officers" United States International University 1999

      19 Baron, R.,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1182, 1986

      20 Komarovskaya, I., "The Impact of killing and injuring others on mental health symptoms among police officers" 45 : 1332-1336, 2011

      21 Brown, J., "Stress and Policing" Wiley 1994

      22 Conner, K. M., "Spirituality, resilience, and anger in survivors of violent trauma: A community survey" 16 (16): 487-494, 2003

      23 Carlier I., "Risk factors for posttraumatic stress symptomatology in police officers: a prospective analysis" 158 : 498-506, 1997

      24 Rutter, R. A., "Resilience: Some conceptual considerations" 14 : 626-631, 1987

      25 Humphreys, J., "Resilience in sheltered battered women" 24 : 137-152, 2003

      26 Marmar, C., "Predictors of posttraumatic Stress in Police and Other First Responders" 1071 : 1-18, 2006

      27 Maia, 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in an elite unit of Brazilian police officers: prevalence and impact on psychosocial functioning and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97 : 241-245, 2007

      28 Green, B.,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UK police officers" 20 (20): 101-105, 2004

      29 Violanti, J. M., "Police stressors: variation in perception among police personnel" 23 (23): 287-294, 1995

      30 Wilks, S. E., "Perceived stress and resilience in Alzheimer's disease caregivers: Testing moderation and mediation models of social support" 12 (12): 357-365, 2008

      31 Brown, J., "Occupational stress among senior police officers" 87 : 31-41, 1995

      32 Horowitz, M., "Impact of event scale : A measure of subjective stress" 41 (41): 209-218, 1979

      33 Waysman, M., "Hardness: An examination of its relationship with positive and negative long-term changes following trauma" 14 : 531-548, 2001

      34 Weiss, D. S., "Frequency and severity approaches to indexing exposure to trauma: the critical incident history questionnaire for police officers" 23 : 734-743, 2010

      35 Patterson, G., "Examining the effects of coping and social support on work and life stress among police officers" 31 (31): 215-226, 2003

      36 Robinson, H. M., "Duty related stressors and PTSD symptoms in suburban police officers" 81 : 831-845, 1997

      37 Conner, K. M., "Development of a new resilience scale: The Conner-Davidsion Resilience Scale(CD-RISC)" 18 (18): 76-82, 2003

      38 Wangnild, G. M.,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resilience scale" 1 : 165-140, 1993

      39 Weiss, D. S., "Assessing Psychological Trauma and PTSD: A Practitioner’s Handbook" Guilford Press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7-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경찰발전연구학회보 -> 한국경찰연구 KCI등재후보
      2009-03-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경찰발전연구학회 -> 한국경찰연구학회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3 0.99 1.04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