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올야(兀惹)ㆍ정안국(定安國)과 연파(燕頗)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558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定安國과 兀惹는 두 개의 서로 다른 反遼 政治 寶體가 아니며 정안국이 올야의 국호이고 오사(烏舍)와 같은 뜻이라는 점을 밝힌 논고이다. 『宋史』에는 정안국전이 실려 있는데 이것은 송나라 사람들이 정안국을 승인하였음을 의미하며 정안국이란 올야인의 자칭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거란 사람들이 쓴 역사기록에는 정안국이 없고 올야만 보이는데 이것은 거란인이 정안국을 승인하지 않았기 때문에 올야라고만 하였던 것이다. 정안국의 성립연대를 東丹國이 南으로 이전한 928년 이후로 추정하여도 정안국은 무려 90년이나 존속한 것이며 反遼항쟁중에서 가장 오랫동안 투 쟁을 견지한 세력이었다. 烏舍의 都城 즉 정안국의 중심지인 烏舍城은 동녕현 道河鎭 五排村 서남쪽에 우뚝 솟은 五排산 정상에 있는 五排山城이었다. 五排山城은 올야인이 전쟁시기에 사용한 올야성 즉 정안국의 都城일 가능성이 크다. 수분하 中上流 지역이 定安國의 주요한 領域이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燕頗는 발해유민反遼투정의 중요한 영도자였다. 그는 정안국에 가입하거나 정안국을 합병하지 않았고 그와 정안국은 대등한 협력관계, 동맹관계를 맺고 있었던 것이다. 그렇지만 연파의 실력과 기세는 정안국을 현저하게 초과하였다.
      번역하기

      이 글은 定安國과 兀惹는 두 개의 서로 다른 反遼 政治 寶體가 아니며 정안국이 올야의 국호이고 오사(烏舍)와 같은 뜻이라는 점을 밝힌 논고이다. 『宋史』에는 정안국전이 실려 있는데 이...

      이 글은 定安國과 兀惹는 두 개의 서로 다른 反遼 政治 寶體가 아니며 정안국이 올야의 국호이고 오사(烏舍)와 같은 뜻이라는 점을 밝힌 논고이다. 『宋史』에는 정안국전이 실려 있는데 이것은 송나라 사람들이 정안국을 승인하였음을 의미하며 정안국이란 올야인의 자칭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거란 사람들이 쓴 역사기록에는 정안국이 없고 올야만 보이는데 이것은 거란인이 정안국을 승인하지 않았기 때문에 올야라고만 하였던 것이다. 정안국의 성립연대를 東丹國이 南으로 이전한 928년 이후로 추정하여도 정안국은 무려 90년이나 존속한 것이며 反遼항쟁중에서 가장 오랫동안 투 쟁을 견지한 세력이었다. 烏舍의 都城 즉 정안국의 중심지인 烏舍城은 동녕현 道河鎭 五排村 서남쪽에 우뚝 솟은 五排산 정상에 있는 五排山城이었다. 五排山城은 올야인이 전쟁시기에 사용한 올야성 즉 정안국의 都城일 가능성이 크다. 수분하 中上流 지역이 定安國의 주요한 領域이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燕頗는 발해유민反遼투정의 중요한 영도자였다. 그는 정안국에 가입하거나 정안국을 합병하지 않았고 그와 정안국은 대등한 협력관계, 동맹관계를 맺고 있었던 것이다. 그렇지만 연파의 실력과 기세는 정안국을 현저하게 초과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rify that Dingan country and Yanpo are not two different political structures opposed to the Liao dynasty and Dingan is the country name of Yue which is identical to Wushe. The story of Dingan country is found in 『Sung Shi』(the history of the Sung Dynasty) which proves that the people of Sung Dynasty identified Dingan as a country. The people of Yue considered the name of their country as Dingan. However it is not Dingan country but only Yue that is referred to in the history of the Khitan because the people of Khitan did not consider Dingan as a country. Rather, they called it Yue. Dingan country continued for over 90 long years given that it was only founded in 928 when Dongran country moved south. The country also has the longest history of opposition to the Liao Dynasty. The capital city of Wushe, at the center of Dingan country, was named Wushe castle, while Wupai mountain fortress was located at the top of mountain Wupai, southwest of Wupai village in Daohe province of Dongningxian. Wupai mountain fortress is most probably Yue castle, since the capital city of Dingan country is where Yue's people occupied during the war. The mid upper stretches of the Suifenhe river can be regarded as the main territory of Dingan country. Yanpo was one of the many important people who lead Balhae people’s anti-Liao dynasty strike. He neither joined nor united with Dingan country. His relationship with Dingan country was equally one of collaboration and alliance. However, Yanpo excelled was way more powerlul than Dingan country in every aspec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rify that Dingan country and Yanpo are not two different political structures opposed to the Liao dynasty and Dingan is the country name of Yue which is identical to Wushe. The story of Dingan country is found in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rify that Dingan country and Yanpo are not two different political structures opposed to the Liao dynasty and Dingan is the country name of Yue which is identical to Wushe. The story of Dingan country is found in 『Sung Shi』(the history of the Sung Dynasty) which proves that the people of Sung Dynasty identified Dingan as a country. The people of Yue considered the name of their country as Dingan. However it is not Dingan country but only Yue that is referred to in the history of the Khitan because the people of Khitan did not consider Dingan as a country. Rather, they called it Yue. Dingan country continued for over 90 long years given that it was only founded in 928 when Dongran country moved south. The country also has the longest history of opposition to the Liao Dynasty. The capital city of Wushe, at the center of Dingan country, was named Wushe castle, while Wupai mountain fortress was located at the top of mountain Wupai, southwest of Wupai village in Daohe province of Dongningxian. Wupai mountain fortress is most probably Yue castle, since the capital city of Dingan country is where Yue's people occupied during the war. The mid upper stretches of the Suifenhe river can be regarded as the main territory of Dingan country. Yanpo was one of the many important people who lead Balhae people’s anti-Liao dynasty strike. He neither joined nor united with Dingan country. His relationship with Dingan country was equally one of collaboration and alliance. However, Yanpo excelled was way more powerlul than Dingan country in every aspec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한글요약〉
      • 1. 머리말
      • 2. 定安國과 兀惹의 관계
      • 3. 兀惹의 위치
      • 4. 燕頗의 봉기
      • 〈한글요약〉
      • 1. 머리말
      • 2. 定安國과 兀惹의 관계
      • 3. 兀惹의 위치
      • 4. 燕頗의 봉기
      • 5.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10" 探求堂 1996

      2 사회과학원역사연구소, "조선전사"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1

      3 朱國?, "발해왕제가 부여성을 진공한 문제에 대하여,발해사연구5"

      4 장국종, "발해사연구1" 사회과학출판사 1997

      5 박시형, "발해사"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1979

      6 서병국, "발해 발해인" 一念 1990

      7 "高麗史" 臺灣文史哲出版社 1972

      8 王禹浪, "高句麗渤海古城址?究匯編" 哈爾濱出版社 1994

      9 "遼史" 中華書局 1975

      10 楊寶隆, "遼代渤海人的逃亡與遷徙 民族?究"

      1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10" 探求堂 1996

      2 사회과학원역사연구소, "조선전사"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1

      3 朱國?, "발해왕제가 부여성을 진공한 문제에 대하여,발해사연구5"

      4 장국종, "발해사연구1" 사회과학출판사 1997

      5 박시형, "발해사"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1979

      6 서병국, "발해 발해인" 一念 1990

      7 "高麗史" 臺灣文史哲出版社 1972

      8 王禹浪, "高句麗渤海古城址?究匯編" 哈爾濱出版社 1994

      9 "遼史" 中華書局 1975

      10 楊寶隆, "遼代渤海人的逃亡與遷徙 民族?究"

      11 王成國, "論遼代渤海人"

      12 韓圭, "渤海의 對外關係史" 新書苑 1994

      13 韓圭哲, "渤海遺民의 高麗投化―後渤海史를 중심으로,釜山史學33"

      14 金毓?, "渤海國誌長編" 天津古書出版社 1992

      15 魏國忠, "渤海國史"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6

      16 孫進己, "東北民族源流" 黑龍江人民出版社 1987

      17 孫進己, "東北民族史?究1" 中州古籍出版社 1994

      18 "宋史" 中華書局 1975

      19 葉隆禮, "契丹國誌" 上海古書出版社 1985

      20 王承禮, "中國東北的渤海國與東北亞" 吉林文史出版社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8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6-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Research Institut for Humanities -> Humanities Research Institute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8 0.86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