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재복, "현대문학의 흐름과 전망" 작가 2004
2 김윤식, "한국현대문학비평사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3 차혜영, "한국문학의 근대성과 모더니즘에 관한 연구사 다시읽기" 민족문학사학회 2000
4 서경석, "한국근대문학사 연구" 태학사 1999
5 이현우, "폭력이란 무엇인가" 난장이 2011
6 박연희, "전후, 마리서사, 세계의 감각. In 아프레걸 사상계를 읽다" 동국대출판부 2009
7 사울 크립키, "이름과 필연" 서광사 1986
8 슬라보예 지젝, "이데올로기라는 숭고한 대상" 인간사랑 2001
9 자크 라캉, "세미나11:정신분석의 네 가지 근본개념" 새물결 2008
10 김경린, "새로운 도시들과 시민들의 합창" 서문. 도시문화사 1949
1 이재복, "현대문학의 흐름과 전망" 작가 2004
2 김윤식, "한국현대문학비평사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3 차혜영, "한국문학의 근대성과 모더니즘에 관한 연구사 다시읽기" 민족문학사학회 2000
4 서경석, "한국근대문학사 연구" 태학사 1999
5 이현우, "폭력이란 무엇인가" 난장이 2011
6 박연희, "전후, 마리서사, 세계의 감각. In 아프레걸 사상계를 읽다" 동국대출판부 2009
7 사울 크립키, "이름과 필연" 서광사 1986
8 슬라보예 지젝, "이데올로기라는 숭고한 대상" 인간사랑 2001
9 자크 라캉, "세미나11:정신분석의 네 가지 근본개념" 새물결 2008
10 김경린, "새로운 도시들과 시민들의 합창" 서문. 도시문화사 1949
11 김정환, "벽(壁)의 변증법" (겨울) : 1998
12 조강석, "김수영의 시의식 변모 과정 연구 -‘시적 연극성’과 ‘자코메티적 전환’을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28) : 361-387, 2010
13 유성호, "김수영의 문학비평. In 살아있는 김수영" 창비 2005
14 조강석, "김수영과 관념의 조형성" 2005
15 최하림, "김수영 평전" 실천문학사 2001
16 김수영, "김수영 전집2" 민음사 2003
17 김수영, "김수영 전집1" 민음사 1981
18 김수영, "김수영 전집 별권․김수영의 문학" 민음사 1983
19 김혜진, "김수영 문학에 나타난 근대의 속도와 윤리" 한양대학교 2010
20 김재용, "김수영 문학과 분단극복의 현재성. In 살아있는 김수영" 창비 2005
21 김승희, "김수영 다시읽기" 프레스21 2000
22 최하림, "김수영 개인사의 문제들과 검토. In 살아있는 김수영" 창비 2005
23 황정산, "김수영" 새미 2002
24 박연희, "‘전후’의 중층적 의미와 김수영의 문학적 정체성 —1950년대 후반기 지식인 담론과 김수영의 시를 중심으로—" 상허학회 29 : 377-410, 2010
25 백낙청, "4․19의 역사적 의의와 현재성" (여름) :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