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후기의 고구마 전래와 정착 과정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275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후기 고구마 전래에는 공식적인 과정과 비공식적인 과정이 있었다. 공식적인 전래 과정은 조엄과 강필리 등의 관료와 지식인이 도입하여 전파한 것이다. 비공식적인 전래 과정은 농민...

      조선후기 고구마 전래에는 공식적인 과정과 비공식적인 과정이 있었다. 공식적인 전래 과정은 조엄과 강필리 등의 관료와 지식인이 도입하여 전파한 것이다. 비공식적인 전래 과정은 농민층이 동래부의 왜관에서 직접 도입하여 전파한 것이다. 공식적인 전래 과정에서 사용된 고구마 이름은 감져(甘藷)였다. 甘藷라고 기재하고 감져라고 발음하였다. 비공식적인 전래 과정에서 사용된 고구마 이름은 고금아였다. 고금아는 대마도의 고구마 이름인 고우꼬우이모(孝行芋)의 조선식 발음이었다. 조선후기 고구마 전래 과정에서 사용된 이름은 감져(甘藷)와 고금아 두 가지였지만 남겨진 기록에는 오직 감져(甘藷)만 사용되었다. 관료와 지식인이 공식적인 전래 과정을 주도하였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였다. 비공식적인 전래 과정은 공식적으로 도입된 고구마 종자의 보관에 실패하는 일이 많았기 때문에 농민층이 고구마 종자를 왜관에서 직접 도입하여 전파한 경로였다. 이 과정에서 대마도의 고구마 이름인 고우꼬우이모(孝行芋)를 수용하여 고금아로 발음하였다. 두 개의 고구마 이름 가운데 고금아가 점차 확대되어 보편적인 이름이 되었다. 이러한 변화 과정은 조선후기 고구마의 전래 과정에서 비공식적인 전래 과정이 큰 역할을 하였음을 말해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weet potato was introduced through two channels in the lat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On the one hand, the officials and intellectuals such as Jo Eom and Gang Pilri brought in and spread sweet potatoes formally. On the other hand, informally,...

      A sweet potato was introduced through two channels in the lat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On the one hand, the officials and intellectuals such as Jo Eom and Gang Pilri brought in and spread sweet potatoes formally. On the other hand, informally, the peasantry firsthand introduced them from Waegwan in Dongnaebu. The name of a sweet potato used in the formal introduction process was spelt ‘甘藷’ and called ‘Gamjyeo’, but the name in the informal process was ‘Gogeuma’. The latter was the name that people enunciated the word of ‘Goukkouimo(孝行芋)’ used in Daemado in a Korean way. Both Gamjyeo and Gogeuma, the two names of sweet potato, were used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while on record only Gamjyeo was put. That’s why the officials and intellectuals formally carried out the introduction of sweet potatoes. In the process, however, there happened frequent failures in the storage of its seeds. Consequently, the peasantry obtained directly from Waegwan and spread them. In the very course the word of ‘Goukkouimo’ was accepted and pronounced as ‘Gogeuma’, and then the latter spread gradually and became the generally-used name. This change shows that the informal process played a larger role in the introduction of sweet potato in the lat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고구마의 전래 과정
      • Ⅲ. 고구마 재배의 정착 과정
      • Ⅳ. 맺는말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고구마의 전래 과정
      • Ⅲ. 고구마 재배의 정착 과정
      • Ⅳ. 맺는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藤井茂利, "「감자」 「고구마」の語源の探求-朝鮮半島最西南端に於いて" (206) : 1998

      2 이광려, "李參奉集"

      3 홍윤표, "柳僖의 物名攷" 28 (28): 2000

      4 陶山訥庵, "老農類語"

      5 조엄, "해사일기 해행총재 7집" 민족문화추진회 1982

      6 이성우, "한국식품문화사" 교문사 1984

      7 김인겸, "한국고전문학대계 10" 교문사 1984

      8 정형지, "조선후기 진휼정책 시행의 배경" 17 : 1997

      9 정형지, "조선후기 농서를 통해 본 고구마 재배기술" 이화사학연구소 (33) : 119-145, 2006

      10 염정섭, "조선시대 구황정책과 구황작물로서의 고구마" 2004

      1 藤井茂利, "「감자」 「고구마」の語源の探求-朝鮮半島最西南端に於いて" (206) : 1998

      2 이광려, "李參奉集"

      3 홍윤표, "柳僖의 物名攷" 28 (28): 2000

      4 陶山訥庵, "老農類語"

      5 조엄, "해사일기 해행총재 7집" 민족문화추진회 1982

      6 이성우, "한국식품문화사" 교문사 1984

      7 김인겸, "한국고전문학대계 10" 교문사 1984

      8 정형지, "조선후기 진휼정책 시행의 배경" 17 : 1997

      9 정형지, "조선후기 농서를 통해 본 고구마 재배기술" 이화사학연구소 (33) : 119-145, 2006

      10 염정섭, "조선시대 구황정책과 구황작물로서의 고구마" 2004

      11 田中正武, "재배식물의 기원 신영범 역" 전파과학사 1992

      12 성대중, "일본록(日本錄)-부사산 비파호를 날 듯이 건너" 소명출판 2006

      13 "영남진지"

      14 "승정원일기"

      15 원중거, "승사록(乘槎錄)-조선 후기 지식인, 일본과 만나다" 소명출판 2006

      16 김재승, "고구마의 조선 전래" 8 : 2001

      17 김종덕, "고구마의 語源과 品性에 대한 문헌연구" 10 (10): 2011

      18 강필리, "甘藷譜"

      19 柳僖, "物名考"

      20 藤井茂利, "東アジア語の 流動分布圖-「對馬方言」 「고구마」 「감자」 論考補遺-" (197) : 1997

      21 朝鮮總督府, "朝鮮語辭典"

      22 문세영, "朝鮮語辭典" 대제각 1937

      23 小倉進平, "朝鮮語方言の硏究 上,下" 아세아문화사 1973

      24 峰町誌編纂委員會, "峰町誌" 第一法規出版株式會社 1993

      25 辛基秀, "大系朝鮮通信使" 明石書店 1996

      26 이규경, "五洲衍文長箋散稿"

      27 中馬克己, "その栽培法の變遷!" 高城書房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7 1.012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