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진영, "한강유역 신라고분의 전개과정" 백산학회 (79) : 167-196, 2007
2 김진영, "한강유역 신라 석실묘의 구조와 성격" 한국고대학회 (27) : 191-228, 2007
3 황보경, "한강유역 신라 고분의 제의유구에 대한 성격" 한국고대학회 (29) : 247-277, 2008
4 洪潽植, "한강유역 신라 石室墳의 受容과 展開" 기전문화재연구원 5 : 2005
5 皇甫慶, "하남지역 고분연구" 서울경기고고학회 2 (2): 2003
6 洪潽植, "통일신라 벼루의 분류와 사용층에 대한 시론 in: 석헌 정징원교수 정년퇴임 기념논총" 부산고고학연구회ㆍ논총간행위원회 2006
7 김성태, "임진강 유역의 新羅遺蹟" 기전문화재연구원 5 : 2005
8 洪潽植, "신라 후기 고분문화 연구" 춘추각 2003
9 崔秉鉉, "서울 江南地域 石室墳의 性格-新羅地方石室墳硏究(1)-" 崇實大學校史學會 10 : 1997
10 皇甫慶, "경기지역 신라유적의 조사 및 연구성과와 과제 in: 경기지역 발굴조사 10년" 기전문화재연구원 2009
1 김진영, "한강유역 신라고분의 전개과정" 백산학회 (79) : 167-196, 2007
2 김진영, "한강유역 신라 석실묘의 구조와 성격" 한국고대학회 (27) : 191-228, 2007
3 황보경, "한강유역 신라 고분의 제의유구에 대한 성격" 한국고대학회 (29) : 247-277, 2008
4 洪潽植, "한강유역 신라 石室墳의 受容과 展開" 기전문화재연구원 5 : 2005
5 皇甫慶, "하남지역 고분연구" 서울경기고고학회 2 (2): 2003
6 洪潽植, "통일신라 벼루의 분류와 사용층에 대한 시론 in: 석헌 정징원교수 정년퇴임 기념논총" 부산고고학연구회ㆍ논총간행위원회 2006
7 김성태, "임진강 유역의 新羅遺蹟" 기전문화재연구원 5 : 2005
8 洪潽植, "신라 후기 고분문화 연구" 춘추각 2003
9 崔秉鉉, "서울 江南地域 石室墳의 性格-新羅地方石室墳硏究(1)-" 崇實大學校史學會 10 : 1997
10 皇甫慶, "경기지역 신라유적의 조사 및 연구성과와 과제 in: 경기지역 발굴조사 10년" 기전문화재연구원 2009
11 權純珍, "경기지역 新羅‘北進期城郭’에, 관한 일고찰" 新羅史學會 9 : 2007
12 최형균, "경기도 지방의 신라고분 연구 시론 in: 서울ㆍ경기지역의 신라유적과 유물" 서울경기고고학회
13 洪潽植, "考古資料로 본 가야 멸망 前後의 社會動向" 韓國上古史學會 35 : 2001
14 강현숙, "百濟橫穴式石室墳의 展開過程에 대하여" 韓國考古學會 34 : 1996
15 이남석, "百濟初期 橫穴式石室墳과 그 淵源" 韓國古代學會 3 : 1992
16 洪潽植, "百濟 橫穴式石室墓의 型式分類와 對外傳播에 관한 硏究" 釜山直轄市立博物館 2 : 1993
17 강진주, "漢江流域 新羅 土器의 性格" 한국고대학회 (26) : 89-118, 2007
18 황보경, "漢江流域 新羅 古墳의 現況과 特徵 硏究" 한국문화사학회 27 (27): 267-302, 2007
19 崔秉鉉, "新羅 初期 石室墳의 樣相" 韓國考古學會 44 : 2001
20 박종익, "城郭遺蹟을 통해 본 新羅의 漢江流域 進出" 기전문화재연구원 5 :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