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은 육사가 일제의 베이징 감옥에서 쓴 생애 마지막 시로 추정된다. 「꽃」에는 어려운 어휘가 거의 없지만, 여전히 제대로 해독되지 않고 있다. 그 이유는 3연 1~2행에 있는 ‘한바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902056
2016
Korean
꽃성 ; 수미산 ; 도리천궁 ; 혁명동지 ; 초혼가 ; Castle of Flowers ; Mount Meru ; Tr?yastri??a Palace(?利天宮) ; Revolutionary Comrades ; Eevocation Song
KCI등재
학술저널
37-57(21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꽃」은 육사가 일제의 베이징 감옥에서 쓴 생애 마지막 시로 추정된다. 「꽃」에는 어려운 어휘가 거의 없지만, 여전히 제대로 해독되지 않고 있다. 그 이유는 3연 1~2행에 있는 ‘한바다 ...
「꽃」은 육사가 일제의 베이징 감옥에서 쓴 생애 마지막 시로 추정된다. 「꽃」에는 어려운 어휘가 거의 없지만, 여전히 제대로 해독되지 않고 있다. 그 이유는 3연 1~2행에 있는 ‘한바다 가운데 용솟음치는 곳’에 있는 ‘꽃성’의 정체가 해명되지 못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는 ‘한바다 가운데 용솟음치는 곳’에 있는 ‘꽃성’이 불교의 이상향인 수미산(須彌山)에 있는 도리천궁(忉利天宮)을 노래한 것이라고 비정하였다. 그리하여 꽃 은 베이징 감옥에서 죽음을 앞둔 육사가 자기보다 먼저 죽어 이미 수미산 도리천궁에 가 있는 혁명 동지들을 회상하면서, 그들에게 바치는 만가(輓歌)이자 그들의 넋을 다시 부르는 초혼가(招魂歌)라 해석하였다.
육사가 베이징 옥중에서 쓴 ‘절명시 3부작’이라 할 수 있는 「나의 뮤-즈」, 「광야」, 「꽃」 등 모두 죽음 및 영원과 관계되는 것이다. 「나의 뮤-즈」가 육사가 자신의 일대기를 시로 쓴 비명(碑銘)이라면, 「광야」는 그의 유언(遺言), 그의 마지막 시 「꽃」은 먼저 간 동지들의 넋을 부르는 초혼가라 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lower by Yuk-sa is presumed to be the last poem written at Japanese Prison in Bei-jing before his death. Even though there are hardly any difficult vocabularies, the poem still has not been interpreted perfectly. The primary reason is due to ...
The Flower by Yuk-sa is presumed to be the last poem written at Japanese Prison in Bei-jing before his death. Even though there are hardly any difficult vocabularies, the poem still has not been interpreted perfectly. The primary reason is due to a misinterpre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line in the third stanza:“At a spurting place in the middle of a vast sea”, and “the castle of flowers.”
This study revealed “At a spurting place in the middle of a vast sea”, and “the castle of flowers” is a metaphorical phrase indicating the Trāyastriṃśa palace(忉利天宮) at the top of the Mount Meru(須彌山) in the Buddhist. Furthermore, the study revealed the Flower is an elegy to dedicate the souls of dead revolutionary comrades at the Trāyastriṃśa palace in the Mount Meru, as well as an evocation song calling for the souls.
These findings indicate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all of the last trilogy by Lee, Yuk-sa and their sharing theme; death and eternity. As My Muse implies the epitaph of Lee, Yuk-sa’s biography written in a form of poem, the Wildness(광야) is a will for his own, while the Flower is an evocation song calling for the souls of his revolutionary comrad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윤식, "한국근대문학사상" 서문당 1974
2 남동신, "천궁(天宮)으로서의 석굴암(石窟庵)"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13) : 84-127, 2014
3 정우택,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와 이육사, 그리고 <꽃>" 한중인문학회 (46) : 1-22, 2015
4 강만길,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와 육사 이활" 8 : 1995
5 신석초, "이육사의 인물" (16) : 1974
6 신석초, "이육사의 생애와 시" 1964
7 김희곤, "이육사 평전" 푸른역사 2010
8 김용직, "이육사 전집" 깊은샘 2004
9 강창민, "이육사 시의 연구" 국학자료원 2002
10 김경복, "이육사 시의 사회주의 의식 연구" 한국시학회 (12) : 73-111, 2005
1 김윤식, "한국근대문학사상" 서문당 1974
2 남동신, "천궁(天宮)으로서의 석굴암(石窟庵)"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13) : 84-127, 2014
3 정우택,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와 이육사, 그리고 <꽃>" 한중인문학회 (46) : 1-22, 2015
4 강만길,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와 육사 이활" 8 : 1995
5 신석초, "이육사의 인물" (16) : 1974
6 신석초, "이육사의 생애와 시" 1964
7 김희곤, "이육사 평전" 푸른역사 2010
8 김용직, "이육사 전집" 깊은샘 2004
9 강창민, "이육사 시의 연구" 국학자료원 2002
10 김경복, "이육사 시의 사회주의 의식 연구" 한국시학회 (12) : 73-111, 2005
11 이남호, "윤동주 시의 이해" 고려대학교 출판부 2014
12 도진순, "육사의 한시 「晩登東山」과 「酒暖興餘」 - 그의 두 돌기둥, 石正 윤세주와 石艸 신응식" 한국근현대사학회 (76) : 217-250, 2016
13 도진순, "육사의 유언, 광야 :‘죽어서도 쉬지 않으리’" 창작과비평사 (172) : 2016
14 김흥규, "육사의 시와 세계인식" 창작과비평사 (40) : 1976
15 도진순, "육사의 비명(碑銘), 나의 뮤-즈 :‘영원한 과거’의 본래면목과 ‘건달바’"
16 도진순, "육사의 「청포도」 재해석 - ‘청포도’와 ‘청포(靑袍)’, 그리고 윤세주" 역사문제연구소 (114) : 441-475, 2016
17 이원조, "육사시집" 서울출판사 1946
18 박훈산, "원전주해 이육사 시전집" 예옥 2008
19 박현수, "원전주해 이육사 시전집" 예옥 2008
20 심원섭, "원본 이육사전집" 집문당 1986
21 권혁웅, "시의 아포리아를 넘어서" 이룸 2001
22 김은실, "발굴:여성 독립운동가 이병희씨"
23 김영률, "기세인본경"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24 구본현, "漢詩 絶句의 기승전결 구성에 대하여" 국문학회 (30) : 265-292, 2014
25 국사편찬위원회, "洪加勒訊問調書(제7회)" 31 : 1997
이상 시 시적 주체의 자기의식 형성과 타자와의 상관관계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5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1-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26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시학연구외국어명 : The Korean Poetics Studies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7 | 0.67 | 0.7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4 | 0.71 | 1.366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