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제안보와 EU의 전략적 주권(strategic sovereignty)에 관한 논의 = Analysis of economic security and strategic sovereignty of the E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483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유럽연합(EU)의 ‘전략적 자율성’ 용어는 최근 ‘전략적 주권’ 개념과 함께 분석된다. 최근 경제안보의 이슈가 확산되며, 주요국이 경제안보 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제 및 통상 영역에서의 ‘전략적 주권’은 공급망 관리, 전략적 파트너십 재구성, 세계적 권력 이동의 결과로 상당한 압박을 받고 있는 다자간 질서 유지에 관한 문제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핵심원자재법(RMA), 역외보조금 규제, 기업실사의무지침 등, EU가 다양한 보호 정책 및 보호주의 정책을 제시하고 있는 현재, 국가만이 차용해 온 ‘주권’의 개념은 경제영역의 ‘전략적 주권’으로서 연합의 제도적 심화(deepening)를 이끌 수 있을 것인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EU의 ‘전략적 주권’ 개념을 고찰하고, EU가 연합 차원에서 제시한 대외경쟁 전략 및 정책이 회원국 차원의 전략적 주권 추구 역할 및 역량과 부합하는지 여부에 관하여 분석할 것이다. European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ECFR)는 기후, 안보, 경제, 기술 등 영역에서 회원국의 유럽주권에 대한 기여도에 대해 유럽주권지수(ESI)를 제시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각 회원국의 기여와 역량이 EU의 ‘전략적 주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하여 분석할 것이다.
      번역하기

      유럽연합(EU)의 ‘전략적 자율성’ 용어는 최근 ‘전략적 주권’ 개념과 함께 분석된다. 최근 경제안보의 이슈가 확산되며, 주요국이 경제안보 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제 ...

      유럽연합(EU)의 ‘전략적 자율성’ 용어는 최근 ‘전략적 주권’ 개념과 함께 분석된다. 최근 경제안보의 이슈가 확산되며, 주요국이 경제안보 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제 및 통상 영역에서의 ‘전략적 주권’은 공급망 관리, 전략적 파트너십 재구성, 세계적 권력 이동의 결과로 상당한 압박을 받고 있는 다자간 질서 유지에 관한 문제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핵심원자재법(RMA), 역외보조금 규제, 기업실사의무지침 등, EU가 다양한 보호 정책 및 보호주의 정책을 제시하고 있는 현재, 국가만이 차용해 온 ‘주권’의 개념은 경제영역의 ‘전략적 주권’으로서 연합의 제도적 심화(deepening)를 이끌 수 있을 것인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EU의 ‘전략적 주권’ 개념을 고찰하고, EU가 연합 차원에서 제시한 대외경쟁 전략 및 정책이 회원국 차원의 전략적 주권 추구 역할 및 역량과 부합하는지 여부에 관하여 분석할 것이다. European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ECFR)는 기후, 안보, 경제, 기술 등 영역에서 회원국의 유럽주권에 대한 기여도에 대해 유럽주권지수(ESI)를 제시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각 회원국의 기여와 역량이 EU의 ‘전략적 주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하여 분석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uropean Union (EU) has been deepened through cooperation in the internal common market. In the mid-2010s, as the conflict between the US and China intensified, the term ‘strategic autonomy’ emerged and is considered an effective foreign strategy for the EU. In the issue paper ‘Strategic Autonomy, Strategic Choices’, which summarizes the debate on ‘strategic autonomy’, it is stated that “it is not a zero-sum game, but rather a balance between full autonomy and full dependence, with outcomes that vary depending on the policy area.” It was defined as “sliding range”.
      ‘Strategic autonomy’ has recently been analyzed together with the concept of ‘strategic sovereignty’. Recently, the issue of economic security has spread, and major countries are pouring out economic security policies. In this context, ‘strategic sovereignty’ in the economic and trade sphere is a concept to respond to issues related to supply chain management, reorganizing strategic partnerships, and maintaining multilateral order, which is under significant pressure as a result of global power shifts.
      Recently, the EU has been proposing various protection and protectionism policies, such as the Critical Raw Materials Act (RMA), offshore subsidy regulations, and corporate due diligence guidelines. There is a need to analyze whether the EU can lead institutional deepening through the concept of ‘sovereignty’ that only countries have borrowed, that is, ‘strategic sovereignty’ in the economic sphere.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concept of EU's ‘strategic sovereignty’ and analyzed whether the external competition strategies and policies proposed by the EU at the union level are consistent with the role and capacity of member states to pursue strategic sovereignty. The European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ECFR) presents the European Sovereignty Index (ESI) on member states' contribution to European sovereignty in areas such as climate, security, economy, and technology. In this paper, we will analyze how the contributions and capabilities of each member state affect the EU’s ‘strategic sovereignty’.
      번역하기

      The European Union (EU) has been deepened through cooperation in the internal common market. In the mid-2010s, as the conflict between the US and China intensified, the term ‘strategic autonomy’ emerged and is considered an effective foreign strat...

      The European Union (EU) has been deepened through cooperation in the internal common market. In the mid-2010s, as the conflict between the US and China intensified, the term ‘strategic autonomy’ emerged and is considered an effective foreign strategy for the EU. In the issue paper ‘Strategic Autonomy, Strategic Choices’, which summarizes the debate on ‘strategic autonomy’, it is stated that “it is not a zero-sum game, but rather a balance between full autonomy and full dependence, with outcomes that vary depending on the policy area.” It was defined as “sliding range”.
      ‘Strategic autonomy’ has recently been analyzed together with the concept of ‘strategic sovereignty’. Recently, the issue of economic security has spread, and major countries are pouring out economic security policies. In this context, ‘strategic sovereignty’ in the economic and trade sphere is a concept to respond to issues related to supply chain management, reorganizing strategic partnerships, and maintaining multilateral order, which is under significant pressure as a result of global power shifts.
      Recently, the EU has been proposing various protection and protectionism policies, such as the Critical Raw Materials Act (RMA), offshore subsidy regulations, and corporate due diligence guidelines. There is a need to analyze whether the EU can lead institutional deepening through the concept of ‘sovereignty’ that only countries have borrowed, that is, ‘strategic sovereignty’ in the economic sphere.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concept of EU's ‘strategic sovereignty’ and analyzed whether the external competition strategies and policies proposed by the EU at the union level are consistent with the role and capacity of member states to pursue strategic sovereignty. The European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ECFR) presents the European Sovereignty Index (ESI) on member states' contribution to European sovereignty in areas such as climate, security, economy, and technology. In this paper, we will analyze how the contributions and capabilities of each member state affect the EU’s ‘strategic sovereign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기식 ; 김현정, "지역경제통합의 정치동맹 심화에 관한 고찰" 한국세계지역학회 31 (31): 33-60, 2013

      2 강유덕, "유럽연합(EU)의 반도체 산업 정책이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에 갖는 의의" 한국정치사회연구소 6 (6): 489-519, 2022

      3 윤성욱, "유럽 전략적 자율성 추구를 위한 EU의 전략"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2 (22): 99-136, 2022

      4 오창룡 ; 이재승, "유럽 안보와 전략적 자율성: 프랑스의 안보협력 논의를 중심으로" 유로메나연구소 11 (11): 81-116, 2020

      5 강유덕, "상위가치로서 ‘전략적 자율성’과 통상정책을 통한 구현: EU의 사례를 중심으로" 유로메나연구소 14 (14): 81-124, 2023

      6 김주희, "미·중 경쟁 시대 독일의 전략적 자율성" 한독사회과학회 31 (31): 71-100, 2021

      7 김현정,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전쟁: 기술과 정책" 다해 2022

      8 Dullien, Sebastian, "What is the political union? Policy Brief"

      9 Internationale Politik Quarterly, "What Europe Thinks ... About European Sovereignty"

      10 Fiott, Daniel, "Strategic autonomy: towards ‘European sovereignty’ in defence?"

      1 황기식 ; 김현정, "지역경제통합의 정치동맹 심화에 관한 고찰" 한국세계지역학회 31 (31): 33-60, 2013

      2 강유덕, "유럽연합(EU)의 반도체 산업 정책이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에 갖는 의의" 한국정치사회연구소 6 (6): 489-519, 2022

      3 윤성욱, "유럽 전략적 자율성 추구를 위한 EU의 전략"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2 (22): 99-136, 2022

      4 오창룡 ; 이재승, "유럽 안보와 전략적 자율성: 프랑스의 안보협력 논의를 중심으로" 유로메나연구소 11 (11): 81-116, 2020

      5 강유덕, "상위가치로서 ‘전략적 자율성’과 통상정책을 통한 구현: EU의 사례를 중심으로" 유로메나연구소 14 (14): 81-124, 2023

      6 김주희, "미·중 경쟁 시대 독일의 전략적 자율성" 한독사회과학회 31 (31): 71-100, 2021

      7 김현정,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전쟁: 기술과 정책" 다해 2022

      8 Dullien, Sebastian, "What is the political union? Policy Brief"

      9 Internationale Politik Quarterly, "What Europe Thinks ... About European Sovereignty"

      10 Fiott, Daniel, "Strategic autonomy: towards ‘European sovereignty’ in defence?"

      11 Grevi, Giovanni, "Strategic autonomy for European choices: The key to Europe's shaping power"

      12 Macron, Emmanuel, "President sets out vision for European sovereignty"

      13 ACEA, "Position paper – Critical Raw Materials Act"

      14 Peers, Claire, "Note on the Critical Raw Materials Act"

      15 Release Peace, "Macron's Vision for the EU"

      16 Euractiv, "LEAK: EU Commission wants 10% of critical raw materials mined in Europe"

      17 Dupré, Bruno, "European sovereignty, strategic autonomy, Europe as a power: what reality for the European Union and for what future?"

      18 Järvenpää, Pauli, "European Strategic Autonomy: Operationalising a Buzzword" Konrad Adenauer Stiftung 2019

      19 Fiott, Daniel, "European Sovereignty: Strategy and interdependence" European Union Institute for Security Studies 2021

      20 European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European Sovereignty Index"

      21 European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European Sovereignty"

      22 "European Raw Materials Alliance"

      23 Quencez, Martin, "Europe as a Power: A French Vision for Europe in the World"

      24 Leonard, Mark, "Empowering EU member states with strategic sovereignty"

      25 에너지전환포럼, "EU, 에너지 시스템 통합 전략 및 수소전략 발표"

      26 한국무역협회, "EU 핵심원자재법(Critical Raw Materials Act) 주요 내용"

      27 조성대, "EU 핵심원자재법(CRMA) 주요 내용 및 대응전략"

      28 김현정, "EU 핵심원자재법 시행과 유럽의 전략적 자율성" 한국정치사회연구소 7 (7): 925-947, 2023

      29 안재용, "EU 탄소중립 산업법 및 핵심 원자재법 추진 동향"

      30 한국무역협회, "EU 이사회, 핵심원자재법(CRMA) 입장 확정"

      31 REUTERS, "EU to set up central buying agency for critical minerals-draft law"

      32 European Parliament, "EU strategic autonomy 2013-2023: From concept to capacity" European Parliament 2023

      33 European Parilament, "EU strategic autonomy 2013-2023: From concept to capacity"

      34 European Commission, "Critical Raw Materials: ensuring secure and sustainable supply chains for EU's green and digital future"

      35 Romanova, T. A., "Coordinative Discourse of Strategic Sovereignty Tilting the European Union’s Institutional Balance" 15 (15): 2022

      36 European External Action Service, "A Strategic Compass for the EU"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