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만생종 총체사료용 벼 신품종 '목우' = A Late-Maturing and Whole Crop Silage Rice Cultivar 'Mogwo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049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우'는 총체사료용 벼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1999년 하계에 다산벼를 모본으로 하고 수원 431호와 IR71190-45-2-1을 교배한 $F_1$을 부본으로 삼원교배하여 계통육종법으로 전개 후 2009년 총체...

      '목우'는 총체사료용 벼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1999년 하계에 다산벼를 모본으로 하고 수원 431호와 IR71190-45-2-1을 교배한 $F_1$을 부본으로 삼원교배하여 계통육종법으로 전개 후 2009년 총체사료용 벼로 육성하였다. 주요 농업적 특성은 중부와 영남평야지 보통기 재배에서 출수기가 평균 9월 2일로 녹양보다 17일 늦은 만생종이고 벼 키 (간장)는 92 cm로 장간이며, 주당수수는 11개, 천립중은 21.7 g으로 녹양보다 가볍다. 만생종 품종으로 숙기가 늦기 때문에 생육후기 기상이 불량할 경우 출수가 지연될 수 있는 산간지, 냉수용출답 및 만식재배는 피하는 것이 좋으며 충분한 생육일수를 확보하는 것이 총체수량성을 높이고 충실한 종자를 생산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주당수수가 적기 때문에 $m^2$당 27주 이상 밀식재배가 필요하며 내비성이 있으므로 질소 시비량을 180 kg/ha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유리하다. 재해저항성은 잎도열병, 흰잎마름병, 바이러스병에 복합저항성이나 목도열병과 벼멸구에는 약하다. 총체벼 품종으로서 사료가치는 조단백질 5.4%, 가소화양분총량 61.6%으로 양호한 편이나 녹양보다 낮은 경향이며 총체수량성은 건물기준으로 10 a당 평균 1,956 kg으로 녹양보다 38% 증수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 품종의 재배에 알맞은 지역은 중부평야, 영남평야지가 적합하며 후기 기상이 좋은 지역이 안전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gwoo', a new high yield and whole crop silage rice (Oryza sativa L.) cultivar, was developed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Suwon, Korea, from 1999 to 2009, and was released in 2010. It was derived in 1999...

      'Mogwoo', a new high yield and whole crop silage rice (Oryza sativa L.) cultivar, was developed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Suwon, Korea, from 1999 to 2009, and was released in 2010. It was derived in 1999 from a cross between Dasanbyeo, having a high yield, and Suweon431/IR71190-45-2-1. A promising line, SR25848-C99-1-2-1, selected by the pedigree breeding method, was designated the name of 'Suweon 519' in 2007. This cultivar has about 155 days of growth period from seeding to heading, and is tolerance to lodging, with erect pubescent leaves as well as a long and thick culm. This cultivar has the same number of tillers per hill and higher spikelet numbers per panicle compared to Nokyang. 'Mogwoo' has longer leaves compared with other Tongil-type varieties. This new variety is resistant to grain shattering, leaf blast, bacterial leaf blight, and small brown planthopper. The biomass yield of 'Mogwoo' was 1,956 kg/10a in a regional test over three years. The result shows that 'Mogwoo' is adaptable to central and south-east plain areas of Ko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경일, "수확시기가 사료용 벼의 초장, 건물수량 및 사료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4 (24): 53-60, 2004

      2 양창인, "벼 초다수 총체 사료용 신품종 ‘녹양’" 한국육종학회 43 (43): 519-523, 2011

      3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Project report for rice research" 222-224, 2006

      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roject report for collaborative research program to develop new variety of summer crop" 7-171, 2008

      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roject report for collaborative research program to develop new variety of summer crop" 9-180, 2007

      6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roject report for collaborative research program to develop new variety of summer crop" 13-198, 2009

      7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roject plan for collaborative research program to develop new variety of summer crop" 23-65, 2009

      8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roject plan for collaborative research program to develop new variety of summer crop" 25-65, 2007

      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roject plan for collaborative research program to develop new variety of summer crop" 5-65, 2008

      10 Van soest, P. J, "Methods for dietary fiber, neutral detergent fiber, and nonstarch polysaccharides in relation to animal nutrition" 74 : 3583-3597, 1991

      1 성경일, "수확시기가 사료용 벼의 초장, 건물수량 및 사료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4 (24): 53-60, 2004

      2 양창인, "벼 초다수 총체 사료용 신품종 ‘녹양’" 한국육종학회 43 (43): 519-523, 2011

      3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Project report for rice research" 222-224, 2006

      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roject report for collaborative research program to develop new variety of summer crop" 7-171, 2008

      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roject report for collaborative research program to develop new variety of summer crop" 9-180, 2007

      6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roject report for collaborative research program to develop new variety of summer crop" 13-198, 2009

      7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roject plan for collaborative research program to develop new variety of summer crop" 23-65, 2009

      8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roject plan for collaborative research program to develop new variety of summer crop" 25-65, 2007

      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roject plan for collaborative research program to develop new variety of summer crop" 5-65, 2008

      10 Van soest, P. J, "Methods for dietary fiber, neutral detergent fiber, and nonstarch polysaccharides in relation to animal nutrition" 74 : 3583-3597, 1991

      11 Statistics Korea,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12 Kim, Y. D, "Forage yield and TDN by cutting time of brittle culm rice" 42 : 483-488,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7-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초지학회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5-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초지학회 -> 한국초지조사료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3 0.572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