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피해자국선변호사제도의 현황과 확대 · 개선방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063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 사회에서 성폭력범죄가 빈빌하고 더욱 흉포화되면서 「성폭력범죄의 처벌에 관한 특례법」 및 「아동 ·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등 특별법을 통하여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가중처벌과 함께 피해자보호를 위한 대책을 강화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성폭력피해자의 보호를 위한 대책들은 피해자의 심리적 · 정신적 또는 물질적 · 경제적 도움을 제공하는데 집중하였기 때문에 피해자에 대한 법률적 부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정부에서는 2011년 9월 15일 개정된 아동 · 청소년성보호법에서 아동 · 청소년대상 성범죄 피해자를 위한 변호사 선임에 관한 규정(제18조의6)을 신설하였다. 이후 법무부는 2012년 12월 18일 성폭력특별법을 개정하여 동법 제27조에서 피해자 변호사제도에 대한 규정을 마련하면서 동조 제6항에서 성폭력피해자에 대한 국선변호사 제도를 도입하였다. 그리고 아동 · 청소년성보호법상 성범죄피해자(제30조) 와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상 아동학대범죄사건의 피해아동에 대해서 성폭력특별법 제27조를 준용(제16조)하도록 하였다.
      현행법상 피해자국선변호사제도의 도입은 범죄피해자에 대한 법률부조를 제도화하고, 헌법상 평등의 원칙을 구현한 것으로서 ‘피해자보호’의 측면에서 보면 상당히 획기적인 진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피해자국선변호사제도는 시행한 지 1년 정도 밖에 되지 않았지만 종전의 법률조력인제도에 비해 비교적 활용도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폭력특별법 등에서 피해자국선변호사의 지위나 선정절차 등, 그 운용에 관해 별도의 규정과 위임이 없이 법무부규칙과 지침에 의해 운용되고 있기 때문에 법적 근거가 미약한 실정이며, 앞으로 피해자국선변호사제도의 확대가 기대되는 현실에서 그 시행에 있어 피해자변호사의 전문성 결여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폭력특별법상 피해자국선변호사제도의 도입취지와 피해자국선변호사 제도의 운영과 그 실태에 대하여 살펴본 후, 피해자국선변호사제도의 도입취지에 따른 효율적인 운용을 위해 그 확대 ·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우리 사회에서 성폭력범죄가 빈빌하고 더욱 흉포화되면서 「성폭력범죄의 처벌에 관한 특례법」 및 「아동 ·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등 특별법을 통하여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가...

      우리 사회에서 성폭력범죄가 빈빌하고 더욱 흉포화되면서 「성폭력범죄의 처벌에 관한 특례법」 및 「아동 ·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등 특별법을 통하여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가중처벌과 함께 피해자보호를 위한 대책을 강화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성폭력피해자의 보호를 위한 대책들은 피해자의 심리적 · 정신적 또는 물질적 · 경제적 도움을 제공하는데 집중하였기 때문에 피해자에 대한 법률적 부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정부에서는 2011년 9월 15일 개정된 아동 · 청소년성보호법에서 아동 · 청소년대상 성범죄 피해자를 위한 변호사 선임에 관한 규정(제18조의6)을 신설하였다. 이후 법무부는 2012년 12월 18일 성폭력특별법을 개정하여 동법 제27조에서 피해자 변호사제도에 대한 규정을 마련하면서 동조 제6항에서 성폭력피해자에 대한 국선변호사 제도를 도입하였다. 그리고 아동 · 청소년성보호법상 성범죄피해자(제30조) 와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상 아동학대범죄사건의 피해아동에 대해서 성폭력특별법 제27조를 준용(제16조)하도록 하였다.
      현행법상 피해자국선변호사제도의 도입은 범죄피해자에 대한 법률부조를 제도화하고, 헌법상 평등의 원칙을 구현한 것으로서 ‘피해자보호’의 측면에서 보면 상당히 획기적인 진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피해자국선변호사제도는 시행한 지 1년 정도 밖에 되지 않았지만 종전의 법률조력인제도에 비해 비교적 활용도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폭력특별법 등에서 피해자국선변호사의 지위나 선정절차 등, 그 운용에 관해 별도의 규정과 위임이 없이 법무부규칙과 지침에 의해 운용되고 있기 때문에 법적 근거가 미약한 실정이며, 앞으로 피해자국선변호사제도의 확대가 기대되는 현실에서 그 시행에 있어 피해자변호사의 전문성 결여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폭력특별법상 피해자국선변호사제도의 도입취지와 피해자국선변호사 제도의 운영과 그 실태에 대하여 살펴본 후, 피해자국선변호사제도의 도입취지에 따른 효율적인 운용을 위해 그 확대 ·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rt. 27-5 of the Constitution in Korea stipulates the rights of victims such as crime victim’s right to statement. The criminal procedure law as well has expanded the system to protect victims in criminal procedures as well as opportunities for victims to participate in such criminal procedures. And the various measures to protect crime victims have been established and implemented by laws and institutions. Especially, as sexual violence crimes in Korean society become more often and serious, such special laws as 「the Exemption Act on Punishment of Sexual Violence Crimes(EAPSVC)」 and 「the Act on Protection of Children and Juveniles from Sexual Abuse(APCJSA)」 have provided measures to protect sexual crime victims in consideration of the stabbing anguish of victims. Since there is a high risk of harm after the incident during the period of criminal investigatin and public trials especially in the case of sexual violence victims, various measures have been established and taken to protect victims.
      Such provisions, however, have been limited to mere psychological and mental help and failed to assure rights of victims in criminal procedures. True, there have been limits to legal assistance for such victims. Accordingly, the government revised APCJSA(revised on Sep 15, 2011 and enforced on March 16, 2012), and newly established the regulations on defender appointment(Art. 18-6) for child and juvenile sexual crime victims.
      Again, the Ministry of Justice revised the Art. 27 of EAPSVC(enforced on June 9, 2013; Law provision no. 11572), stipulating the basis and authority of the victim defender system. The art. 27-6 of EAPSVC, which states that ⑥ the prosecutor may select a public defender and project the victim’s interests in the criminal procedures if he/she has no defender appointed, stipulates the public defender system for all sexual violence victims. This became the basis for the Art. 30-2 of APCJSA. Accordingly, the victim defender system and victim’s public defender system started to be expanded and implemented for all sexual violence crime victims on June 19, 2012. And this system expanded to the children victim of child abuse crimes by 「the Exemption Act on Punishment of Child Abuse Crimes」 (enacted on Dec. 31, 2013).
      So,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public defender system for crime victims and suggested it’s improvement measures as ways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public defender system for victims.
      번역하기

      The Art. 27-5 of the Constitution in Korea stipulates the rights of victims such as crime victim’s right to statement. The criminal procedure law as well has expanded the system to protect victims in criminal procedures as well as opportunities for ...

      The Art. 27-5 of the Constitution in Korea stipulates the rights of victims such as crime victim’s right to statement. The criminal procedure law as well has expanded the system to protect victims in criminal procedures as well as opportunities for victims to participate in such criminal procedures. And the various measures to protect crime victims have been established and implemented by laws and institutions. Especially, as sexual violence crimes in Korean society become more often and serious, such special laws as 「the Exemption Act on Punishment of Sexual Violence Crimes(EAPSVC)」 and 「the Act on Protection of Children and Juveniles from Sexual Abuse(APCJSA)」 have provided measures to protect sexual crime victims in consideration of the stabbing anguish of victims. Since there is a high risk of harm after the incident during the period of criminal investigatin and public trials especially in the case of sexual violence victims, various measures have been established and taken to protect victims.
      Such provisions, however, have been limited to mere psychological and mental help and failed to assure rights of victims in criminal procedures. True, there have been limits to legal assistance for such victims. Accordingly, the government revised APCJSA(revised on Sep 15, 2011 and enforced on March 16, 2012), and newly established the regulations on defender appointment(Art. 18-6) for child and juvenile sexual crime victims.
      Again, the Ministry of Justice revised the Art. 27 of EAPSVC(enforced on June 9, 2013; Law provision no. 11572), stipulating the basis and authority of the victim defender system. The art. 27-6 of EAPSVC, which states that ⑥ the prosecutor may select a public defender and project the victim’s interests in the criminal procedures if he/she has no defender appointed, stipulates the public defender system for all sexual violence victims. This became the basis for the Art. 30-2 of APCJSA. Accordingly, the victim defender system and victim’s public defender system started to be expanded and implemented for all sexual violence crime victims on June 19, 2012. And this system expanded to the children victim of child abuse crimes by 「the Exemption Act on Punishment of Child Abuse Crimes」 (enacted on Dec. 31, 2013).
      So,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public defender system for crime victims and suggested it’s improvement measures as ways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public defender system for victim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피해자국선변호사제도의 운용과 그 실태
      • Ⅲ. 피해자국선변호사제도의 확대 · 개선방안
      • Ⅳ. 결어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피해자국선변호사제도의 운용과 그 실태
      • Ⅲ. 피해자국선변호사제도의 확대 · 개선방안
      • Ⅳ. 결어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효정, "형사절차상 성폭력범죄 피해자의 보호" 용인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17 : 2010

      2 장승일, "형사절차상 범죄피해자 권리보호에 관한 연구" 한국법학회 (37) : 217-235, 2010

      3 강동욱, "형사소송법강의" 오래 2013

      4 "형사소송법 개정법률 해설"

      5 김용세, "한국 범죄피해자 지원법제의 현황과 발전방향" 한국피해자학회 20 (20): 41-56, 2012

      6 미야자와 고이치, "피해자학입문" 길안사 1999

      7 원혜욱, "피해자변호인제도에 대한 소고" 한국피해자학회 20 (20): 131-154, 2012

      8 신서영, "피해자변호인제도에 대한 고찰-법률조력인제도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4 (4): 2012

      9 이호중, "피해자변호인의 신문참여권"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7 (17): 243-274, 2006

      10 강동욱, "피해자변호사제도와 그 개선방안" 법학연구소 15 (15): 249-276, 2014

      1 김효정, "형사절차상 성폭력범죄 피해자의 보호" 용인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17 : 2010

      2 장승일, "형사절차상 범죄피해자 권리보호에 관한 연구" 한국법학회 (37) : 217-235, 2010

      3 강동욱, "형사소송법강의" 오래 2013

      4 "형사소송법 개정법률 해설"

      5 김용세, "한국 범죄피해자 지원법제의 현황과 발전방향" 한국피해자학회 20 (20): 41-56, 2012

      6 미야자와 고이치, "피해자학입문" 길안사 1999

      7 원혜욱, "피해자변호인제도에 대한 소고" 한국피해자학회 20 (20): 131-154, 2012

      8 신서영, "피해자변호인제도에 대한 고찰-법률조력인제도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4 (4): 2012

      9 이호중, "피해자변호인의 신문참여권"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7 (17): 243-274, 2006

      10 강동욱, "피해자변호사제도와 그 개선방안" 법학연구소 15 (15): 249-276, 2014

      11 강동욱, "피해자국선변호사제도의 발전적 확대방안" 2013

      12 김지선, "피해자국선변호사제도의 개선방안에 대한 토론문" 2014

      13 천정환, "우리나라 범죄 피해자 정책의 문제점" 한국교정복지학회 (23) : 25-52, 2011

      14 이재상, "신형사소송법" 박영사 2012

      15 배종대, "신형사소송법" 홍문사 2012

      16 권순민, "성폭력특례법상 피해자 변호사의 피해자 조력 방안" 대검찰청 (41) : 184-222, 2013

      17 정현미, "성폭력범죄 형사절차상 이차적 피해" 한국피해자학회 (8) : 2000

      18 백미순, "성폭력 범죄 피해아동 법률조력인 제도 현황과 이용자만족도" 법무부·대한변호사협회 2013

      19 강동욱, "범죄피해자보호와 피해자변호사제도" 한양법학회 25 (25): 199-224, 2014

      20 김재희, "범죄피해자변호인의 역할과 국선피해자변호인제도" 한국피해자학회 20 (20): 289-315, 2012

      21 원혜욱, "범죄피해아동에 대한 보호·지원제도의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피해자학회 18 (18): 215-240, 2010

      22 이선경, "공판과정에서의 피해자 국선전담변호사 제도 연구" 2014

      23 강동욱, "개정된 형사소송법상의 수사관련 개정내용과 해설" 한국경찰이론과실무학회 (4) : 2009

      24 "개정 형사소송법"

      25 박정성, "개정 형사소송법상 피해자 보호에 관한 규정" 한양법학회 20 (20): 13-30,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2 1.12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5 1.12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