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乙酉文化社 五十年史 : 1945-1995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2609631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乙酉文化社, 1997

      • 발행연도

        1997

      • 작성언어

        한국어

      • ISBN

        8932460507 03010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乙酉文化社 五十年史 : 1945-1995 / 乙酉文化社 五十年史 編纂委員會 編.

      • 형태사항

        473p. : 사진 ; 27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455-470

      • 소장기관
        • 가천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가톨릭관동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건국대학교 상허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상국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광운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광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군산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목포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순천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구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구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덕성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명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배재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외국어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천안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상지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서강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울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선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세종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수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신경주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아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용인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우석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울산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인하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남대학교 도서관(여수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제주대학교 교육대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청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한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동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성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호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호서대학교 중앙도서관(천안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간행사·출판을 천직삼아 한 세상 = 10
      • 위기에서 크게 일어선 을유 / 민병도 = 12
      • 그날이 어제만 같은데 / 윤석중 = 14
      • 내가 보아온 을유의 책 / 고병익 = 16
      • 목차
      • 간행사·출판을 천직삼아 한 세상 = 10
      • 위기에서 크게 일어선 을유 / 민병도 = 12
      • 그날이 어제만 같은데 / 윤석중 = 14
      • 내가 보아온 을유의 책 / 고병익 = 16
      • 제1장 출판문화의 횃불 : 창업에서 한국전쟁 전까지(1945∼1950)
      • 을유문화사의 창업 = 28
      • 해방의 감격 속에서 = 28
      • 창립동인 네 사람의 의기투합 = 29
      • 을유문화사 '출판의 지향' = 32
      • 해방 직후의 출판상황 = 34
      • 열악한 출판환경 = 34
      • 인쇄시설과 용지 부족 심각 = 35
      • 출범 첫해의 의욕 = 39
      • 학술·교양도서와 어린이도서의 병립 = 39
      • 첫해에 무려 35종 출간 = 40
      • 처녀 출판은 한글 익히는 《가정 글씨체첩》 = 40
      • 아동물 등으로 의욕적인 출발 = 42
      • 최초의 어린이 주간지 《주간 소학생》 창간 = 43
      • 초창기엔 '아협'명의 출판물 많아 = 44
      • 어린이 글짓기 현상공모 = 46
      • 부녀 합작의 《새시대 가정 여성훈》 = 47
      • 《청록집》 등 시집 잇달아 출간 = 48
      • 최초의 학술도서 《조선문학연구초》 = 49
      • 창작집 출간, 문학출판 활발 = 50
      • 한지 목판본 같은 《학생조선어사전》 = 50
      • 방정환의 《소파동화독본》 = 52
      • 홍난파의 《세계의 악성》 = 52
      • 다양한 문화운동 활발하게 병행 = 53
      • 한국학 출판의 원대한 초석 = 53
      • 1947년 들면서 본궤도 진입 = 53
      • 우리 문화의 집대성, (조선문화총서) 첫선 = 56
      • 학술출판의 모범적 선례 = 60
      • 민족의 긍지, 《조선말 큰사전》 출간 = 61
      • 출판사상 초유의 대역사 = 61
      • 우여곡절 많았던 《큰사전》 편찬과정 = 62
      • 조선어학회와 손잡다 = 64
      • 록펠러재단 원조로 《큰사전》 속간 = 67
      • 폭넓히는 출판목록 = 72
      • 호화양장본 《여요전주》 = 72
      • 염상섭의 《삼대》와 《이양하 수필집》 = 73
      • 이만규의 《조선교육사》 = 75
      • (국립과학박물관 연구보고서) 시리즈 등 = 76
      • (을유문고)의 탄생 = 77
      • 기획출판을 선도하며 연간 75종 출간 = 77
      • 문고본시대 개척한 (을유문고) = 78
      • "도처에서 인기를 독점" = 81
      • 한국학 연구의 최고 저작들 = 82
      • 본궤도에 오른 (조선문화총서) = 82
      • 학문의 곳집 (대학총서)와 (국립박물관총서) = 85
      • 한국 초유의 (농업문고)와 (섬유공업총서) = 87
      • 새 바람 일으킨 학술지 (학풍) = 89
      • '학문의 권위 수립' 천명 = 89
      • 본격 서평도 다뤄 = 92
      • 학계·문화계의 권위 필진 망라 = 93
      • 다양한 단행본 출판 = 96
      • 벽초의 《임꺽정》과 위당의 《담원시조》 = 96
      • 《근원수필》과 《조선미술대요》 = 100
      • 《진단학보》 속간 떠맡다 = 100
      • 월탄 박종화의 (역사소설선집) = 102
      • 을유의 체제정비와 교과서 출판 = 104
      • 주식회사 체제의 출범과 '도매부' 개설 = 104
      • 중학교재와 박술음의 영어책 = 105
      • 《학풍》, 그 예기치 않은 종막 = 109
      • 제2장 잿더미 속에서 다시 일어서다 : 전쟁을 겪고 환도 후까지(1950∼1956)
      • 불에 탄 을유문화사 = 114
      • 사무실 '민청'에 접수당해 = 114
      • 막대한 인적 물적 피해 = 117
      • '적치하 3개월' 이렇게 살았다 = 118
      • 피난지 부산에서의 나날들 = 120
      • 세 창립동인, 을유를 떠나다 = 120
      • 중학 영어교재와 (대학총서) 등 속간 = 121
      • 좌초당한 《큰사전》 간행사업 = 123
      • '한글간소화 파동'의 파장 = 125
      • 을유, 서울에 돌아오다 = 126
      • 종로빌딩에 자리잡다 = 126
      • 다시 본궤도에 오른 학술출판 = 127
      • (대학총서) 속간하다 = 128
      • 구미의 명저들 한자리에 = 130
      • 미국단편 시리즈도 간행 = 134
      • 장장 17년이 걸린 (번역선서) = 135
      • 전쟁의 상처를 딛고 = 137
      • 《큰사전》 속간에 서광 = 137
      • 《한국사》 간행계획 이루어지다 = 139
      • 제3장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다 : 정치적 혼란에도 출판은 성장(1957∼1965)
      • 《큰사전》, 1년만에 완간! = 144
      • 전6권 총 3,670여면의 당당한 모습 = 144
      • 우리 출판문화의 금자탑 = 145
      • 《큰사전》 완간의 숨은 조력자들 = 149
      • '을유번역문학상'과 계간《지성》 = 151
      • 번역문학에 활기를 준 '을유번역문학상' = 151
      • 단명했던 문예계간지《지성》 = 154
      • 국내 작품 영역해 싣기도 = 156
      • 박종화의 《임진왜란》 전6권 완간 = 158
      • 《큰사전》에 이은 《표준국어사전》 = 159
      • 1,700여면 규모에 가죽 장정 = 162
      • 관철동 시대의 개막 = 164
      • 큰 기획, 두 가지의 전집물 = 164
      • 곡절 많았던 《한국사》 집필 과정 = 165
      • 《한국사》 첫째권 나오다 = 168
      • 저술상 받은 (근세기편)과 (현대편) = 171
      • 세계문학의 대항연 전60권 = 176
      • 세계문학전집 붐의 선두주자 = 176
      • 철저한 '원어주의'와 '완역주의' = 179
      • 간판스타, 《팡세》와 《신곡》 = 182
      • 연 3만여면, 원고지 20만장 분량 = 183
      • 《국어소사전》 기타 단행본들 = 186
      • 인쇄기술의 작은 혁명 = 186
      • 전후 작가의 대표작 《불꽃》과 《흑산도》 = 187
      • 정치적 혼란기와 출판활동 = 189
      • 5종의 전집물 순조롭게 내다 = 189
      • 대표작가들의 역사소설 망라 = 190
      • 김동성과 (중국고전문학선) = 191
      • 《플루타크 영웅전》 전6권으로 완역 = 193
      • 창작집 출판과 (한국현역작가단편선) = 194
      • 서지학의 기틀 마련한 《도서》지 = 195
      • 국내도서 수출의 길을 열다 = 196
      • 잇따른 수상으로 성가를 높이다 = 198
      • 5·15과 출판계의 지각 변동 = 198
      • (한국문화총서) 계속 출간 = 199
      • 아동문학의 백미 (한국아동문학독본) = 20
      • 모험적인 기획으로 새 지평 열다 = 204
      • 정진숙 사장, 출협 회장에 취임 = 204
      • 전작소설만 엮은 (한국신작문학전집) = 205
      • 사보《을유저어널》 창간 = 209
      • 새로 쓴 (한국고대소설전집) = 212
      • 양주동의 《국학연구논고》 등 = 213
      • 유홍렬의 《고종치하 서학수난의 연구》 = 214
      • 한국 최초의 (세계사상교양전집) = 215
      • 출판계의 불황 속에서 = 215
      • (세계문학전집)과 쌍벽을 이룬 거질 = 215
      • 3차에 걸쳐 전39권 발간 = 218
      • 수준 높은 교양물로 호평 = 220
      • 각 나라별로 된 (세계아동문학독본) = 220
      • 스테디셀러 된 《세계문화사》와 《서양철학사》 = 221
      • 교과서 출판에도 힘쓰다 = 223
      • (세계작가논총)과 《동양문화사》 = 224
      • 창립 20돌 맞은 '청년 을유' = 226
      • 각종 대형기획물 잇달아 완간 = 226
      • 10년 만에 완간한 《한국사》 = 227
      • 10년 이상 걸린 대기획 수두룩 = 232
      • 박지원문학 연구의 결정판《연암소설연구》 = 234
      • 재미 위주의 (야담사화전집) = 236
      • 《몽테뉴 수상록》 이변 = 237
      • 제4장 전성기를 이룬 관철동시대 : 학술서 출판으로 명성을 얻다(1966∼1972)
      • 60년대 실학연구 붐에 앞장 = 240
      • 을유의 동반자 상백《想白》의 타계 = 240
      • 6·25 이후의 《한국문화총서》 = 241
      • 5년 걸린 《핸디 영한사전》 = 242
      • 《마음의 창이 열릴 때》 등 = 243
      • 신작전집 발간으로 창작의욕 북돋워 = 244
      • 직매점 '문장각' 문 닫다 = 244
      • 인문계 고등학교 교과서 13권 합격 = 245
      • 소설·시·희곡 아우른 (현대한국신작전집) = 246
      • 《세계를 움직인 백권의 책》과 을유 = 250
      • 신소설 집대성한 (한국신소설전집) = 252
      • 지식의 대중화에 앞장선 (을유문고) = 255
      • 실패한 기획 (신세계문학전집) = 255
      • (을유문고) 다시 10권을 내면서 = 256
      • (을유문고) 3년 만에 100권 돌파 = 261
      • (세계소년교양독본) 등 = 266
      • 영문판 《한국통사》 어렵게 출판 = 268
      • 정진숙 사장, 외유중에 착안 = 268
      • 주체적 시각 강조, 왕조사 중심 탈피 = 271
      • 최초의 영문판 한국사 개설서 = 271
      • 하와이대 통해 세계 보급망 확보 = 273
      • 《한국사 시대구분론》 등 = 274
      • 《세계문학전집》, 100권으로 마무리 = 275
      • 한국학 연구성과를 집대성 = 278
      • 《한국학대백과사전》 전3권 출간 = 278
      • 은석 화갑기념으로 《오륜행실도》 펴내다 = 280
      • 각종 포상 잇따르다 = 283
      • 제5장 사옥을 신축한 수송동시대 : 회사는 커졌지만 경영은 어려워(1973∼1977)
      • 수송동시대의 개막 = 288
      • 사옥 신축과 인사개편 = 288
      • 《플루타르크 영웅전》과 《근대정치사상사》 = 289
      • 두 종의 문학전집 발간 = 290
      • (한국중편소설문학전집) 전12권 = 290
      • (한국신작농촌문학전집) 전4권 = 294
      • 13년, 17년이 걸린 두 전집 = 294
      • (한국대표수필문학전집) 등 최다 종수 발간 = 294
      • 동서양의 고전·전기 등 망라한 (을유소년문고) = 296
      • 김병철의 (서양문학이입사연구) 시리즈 = 299
      • 22년간의 피땀어린 노작 = 301
      • (한국대표수필문학전집) 전12권 = 304
      • (을유문고) 200권 돌파 = 307
      • (한국작가출세작품전집) 전12권 = 307
      • 《동아일보》에 '그때 그 일들' 연재 = 312
      • '검인정교과서 파동'의 파장 = 315
      • 전집물 외판의 퇴조 = 315
      • 검인정교과서 파동의 전말 = 316
      • 10년 걸린 송사 끝에 승소 = 319
      • 《삼국사기》와 《조선후기사상사연구》 = 320
      • (한국대표여류문학전집) 전5권 = 321
      • 절정기를 맞은 (을유문고)의 간행 = 321
      • 제6장 위기를 딛고 일어서다 : 세 중역 물러나고 세대교체(1978∼1988)
      • 경영난과 경영진의 교체 = 326
      • 고배를 든 교과서 출원 = 326
      • '비상기획관리위원회'의 가동 = 327
      • (이상백저작집) 전3권 발간 = 329
      • 신장판 (세계문학전집) 출간 = 331
      • 초판 3,000질 매진되다 = 331
      • 예상밖의 성과 거두다 = 332
      • 새로운 저자, 새로운 도전 = 333
      • 문제작만을 엄선한 (해외걸작선) = 334
      • 도서 수출 '외국부' 조직 강화 = 336
      • 새 기획물 (을유신서) = 337
      • 교양출판의 전통 잇다 = 337
      • 사내 인사이동 = 339
      • 박술음의 《학술영문법》 = 339
      • (대학총서) 다시 내다 = 340
      • (영미어문학대계) 발간 = 341
      • 구내 영어영문학계 연구성과의 총결산 = 341
      • 마케팅에서 시행착오 겪기도 = 344
      • 신장판 (세계사상전집) 중단 = 344
      • 한영우의 《조선전기사회경제연구》 = 346
      • 고희 기념 《출판인 정진숙》 발간 = 347
      • 외판전집물에서 단행본 시대로 = 351
      • 서점용 (세계의 문학) 시리즈 = 351
      • 영어문법 및 문학서 역간 = 352
      • 니담의 명저 《중국의 과학과 문명》 = 354
      • 활기띤 영사서 출간 = 356
      • (북으로 간 작가선집) 전10권 = 356
      • 《KOREA-Beyond the Hills》 = 358
      • 지성인의 벗 (을유문고) 계속 간행 = 358
      • 제7장 출판 반세기를 넘다 : 21세기를 내다보는 시점에서(1989∼1995)
      • 대중적 기획으로 새 활로 개척 = 362
      • 편집상무 등 경영진 교체 = 362
      • 오랜만에 나온 베스트셀러 = 363
      • 공산권 연구서 출판 = 365
      • 북한사회 변천 살핀 《북한 40년》 = 365
      • (북한의 인식) 시리즈로 '북한학' 중간결산 = 366
      • 아동물 (손에 손잡고) 시리즈 = 368
      • 세계 석학들의 공산권 연구서도 = 369
      • 문예이론서 역간 = 372
      • 여성문단의 원로 (한무숙문학전집) 전10권 = 373
      • 새로운 시각에서 기획된 (대학총서) = 375
      • 21세기를 바라보며 = 377
      • 부록
      • 연표 = 382
      • 발행도서목록 = 408
      • 교과서목록 = 450
      • 찾아보기 = 45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