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경제 성장에서 3대 수요의 공헌과 성장모형의 전환 = Transformation of Growth Model into the Domestic-demand Lead Pattern and Dynamics among 3-big Demands in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989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mainly focuses on four points:changes of relative weight and rate of contribution among 3-big demands(investment demand, export, and domestic consumptive demand) to economic growth;what are the Beijing's policy measures for the expansion of domestic consumptive demand;how is the performance of task on the transformation into the domestic-demand lead growth model;what is the reasons of poor performance of the Beijing's intention of the transformation if any.
      China's government has been addressed the necessity of transformation of growth model into the domestic-demand lead pattern since 2004, and now is reiterating the significances of constructing of robust bases for stable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the expansion of domestic demand.
      The findings from this research, however, prove that the China's government is deeply inclined to choose and practice not the requisite and must policy measures for enhancing the constitutional strength of national economy but the comparatively easier policy measures. For instance, China's government has been initiated several measures for suspending growth rate by increasing the SOC investment of government at the presence of the critical decrease of export with the measures for the export promotion since the outbreak of global financial crisis. And some journalism say that China's domestic demand is increasing and export recovering. Bu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paper, relative contribution rate of domestic demand for economic growth rate and GDP composition is not so clear. Moreover, China's government is launching some anti-market policies such as selective industrial policy. We suppose the reasons why the Transformation of Growth Model into the Domestic-demand Lead Pattern are over-confidence of the growth potentials, inclination to easier measures for supporting growth rate as government investment, and most importantly serious unemployment pressure.
      번역하기

      This paper mainly focuses on four points:changes of relative weight and rate of contribution among 3-big demands(investment demand, export, and domestic consumptive demand) to economic growth;what are the Beijing's policy measures for the expansion of...

      This paper mainly focuses on four points:changes of relative weight and rate of contribution among 3-big demands(investment demand, export, and domestic consumptive demand) to economic growth;what are the Beijing's policy measures for the expansion of domestic consumptive demand;how is the performance of task on the transformation into the domestic-demand lead growth model;what is the reasons of poor performance of the Beijing's intention of the transformation if any.
      China's government has been addressed the necessity of transformation of growth model into the domestic-demand lead pattern since 2004, and now is reiterating the significances of constructing of robust bases for stable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the expansion of domestic demand.
      The findings from this research, however, prove that the China's government is deeply inclined to choose and practice not the requisite and must policy measures for enhancing the constitutional strength of national economy but the comparatively easier policy measures. For instance, China's government has been initiated several measures for suspending growth rate by increasing the SOC investment of government at the presence of the critical decrease of export with the measures for the export promotion since the outbreak of global financial crisis. And some journalism say that China's domestic demand is increasing and export recovering. Bu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paper, relative contribution rate of domestic demand for economic growth rate and GDP composition is not so clear. Moreover, China's government is launching some anti-market policies such as selective industrial policy. We suppose the reasons why the Transformation of Growth Model into the Domestic-demand Lead Pattern are over-confidence of the growth potentials, inclination to easier measures for supporting growth rate as government investment, and most importantly serious unemployment press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중국경제에서 점하는 GDP를 구성하는 3대 수요(투자, 수출, 내수) 간의 상대적 비중과 경제성장에 대한 기여도는 어떻게 달라져 왔으며, 중국정부가 내수확대를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 왔고, 내수중심 발전모형으로의 전환이라는 과제가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두었으며, 정부의 의지가 구현되지 않고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중국정부는 1990년대 중반에서 성장방식의 전환을 말해왔고, 2004년 들어서는 공공연하게 성장방식의 전환을 표명하였으며, 지금도 내수 확대를 통한 안정적 경제 기반 구축을 말하고 있다. 하지만 본문에서의 분석을 통해 볼 때 1990년대 후반의 동아시아 금융위기 때와 마찬가지로 현재 시장적 정책을 통한 내수시장 확대, 시장적 정책을 통한 장기적인 국민경제의 체질개선보다는 손쉬운 대증요법에 치중하고 있다는 인상을 지우기 어렵다. 세계 금융위기 발발 이후 수출급감으로 인해 성장률이 하락하자 내수 확대 의지 천명에도 불구하고 중국정부는 정부주도형 투자로 경제성장률 지탱하고 있다. 2009년 말부터 중국의 내수와 수출이 회복될 기미를 보이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기는 하지만, 3대 수요의 경제성장에 대한 기여율과 기여도를 보면, 금융위기 이후 수출급감으로 인한 영향을 상쇄시키기 위한 대규모 투자와 경기부양책으로 인해 소비의 기여율은 약간 높아지고 있으나 장기적 관점에서는 대체로 감소추세에 있다. 또한 GDP에서 점하는 비중은 투자가 절대적인 비중을 점하고 있고, 소비는 35%를 약간 넘을 뿐이다. 더욱이 최근 들어 연이어 내놓고 있는 산업정책도 정부가 산업을 선별해서 지원하는 선별 산업정책으로서 관주도성을 강화하는 정책 조치로서 시장화라는 지향점에 비춰볼 때 퇴영적인 특성을 갖고 있다. 그 결정적인 이유는 중국정부의 성장잠재력에 대한 확신, 투자 같은 손쉬운 성장률 지지 수단에 대한 유혹, 광범위하게 존재하는 실업으로 인한 정치적 부담 때문으로 보인다. 중국정부의 정책 성격과 정책조치의 성격을 보면 내수중심의 성장방식 전환에 대한 기대는 실현되기 쉽지 않으리라 생각된다.
      번역하기

      이 글은 중국경제에서 점하는 GDP를 구성하는 3대 수요(투자, 수출, 내수) 간의 상대적 비중과 경제성장에 대한 기여도는 어떻게 달라져 왔으며, 중국정부가 내수확대를 위해 어떠한 노력을 ...

      이 글은 중국경제에서 점하는 GDP를 구성하는 3대 수요(투자, 수출, 내수) 간의 상대적 비중과 경제성장에 대한 기여도는 어떻게 달라져 왔으며, 중국정부가 내수확대를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 왔고, 내수중심 발전모형으로의 전환이라는 과제가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두었으며, 정부의 의지가 구현되지 않고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중국정부는 1990년대 중반에서 성장방식의 전환을 말해왔고, 2004년 들어서는 공공연하게 성장방식의 전환을 표명하였으며, 지금도 내수 확대를 통한 안정적 경제 기반 구축을 말하고 있다. 하지만 본문에서의 분석을 통해 볼 때 1990년대 후반의 동아시아 금융위기 때와 마찬가지로 현재 시장적 정책을 통한 내수시장 확대, 시장적 정책을 통한 장기적인 국민경제의 체질개선보다는 손쉬운 대증요법에 치중하고 있다는 인상을 지우기 어렵다. 세계 금융위기 발발 이후 수출급감으로 인해 성장률이 하락하자 내수 확대 의지 천명에도 불구하고 중국정부는 정부주도형 투자로 경제성장률 지탱하고 있다. 2009년 말부터 중국의 내수와 수출이 회복될 기미를 보이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기는 하지만, 3대 수요의 경제성장에 대한 기여율과 기여도를 보면, 금융위기 이후 수출급감으로 인한 영향을 상쇄시키기 위한 대규모 투자와 경기부양책으로 인해 소비의 기여율은 약간 높아지고 있으나 장기적 관점에서는 대체로 감소추세에 있다. 또한 GDP에서 점하는 비중은 투자가 절대적인 비중을 점하고 있고, 소비는 35%를 약간 넘을 뿐이다. 더욱이 최근 들어 연이어 내놓고 있는 산업정책도 정부가 산업을 선별해서 지원하는 선별 산업정책으로서 관주도성을 강화하는 정책 조치로서 시장화라는 지향점에 비춰볼 때 퇴영적인 특성을 갖고 있다. 그 결정적인 이유는 중국정부의 성장잠재력에 대한 확신, 투자 같은 손쉬운 성장률 지지 수단에 대한 유혹, 광범위하게 존재하는 실업으로 인한 정치적 부담 때문으로 보인다. 중국정부의 정책 성격과 정책조치의 성격을 보면 내수중심의 성장방식 전환에 대한 기대는 실현되기 쉽지 않으리라 생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통계China" 2010

      2 김동하, "중국의 내수, 성장동력으로 부상하나" 2008

      3 조선일보, "중국, 신에너지 개발에 3조 위안 투입"

      4 곽복선, "중국 내수시장 부양책이 우리에게 주는 기회" 2009

      5 양평섭, "중국 10대산업 진흥조치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KIEP지역경제포커스"

      6 조선일보, "중, 경제성장, 정부투자에 의존....경기침체 빠져드는 건 불가피"

      7 "중, 10대산업 진흥책(11)총정리 편, 상하이 KBC홈페이지"

      8 정환우, "국제분업 구조에서 중국의 영향력 확대" 2009

      9 "新能源産業振興規劃草案初定‘2萬億投資路線圖’浮出水面, 和讯股票홈페이지"

      10 "政府將公布5000億元石化産業刺激計劃, 財華網홈페이지"

      1 "통계China" 2010

      2 김동하, "중국의 내수, 성장동력으로 부상하나" 2008

      3 조선일보, "중국, 신에너지 개발에 3조 위안 투입"

      4 곽복선, "중국 내수시장 부양책이 우리에게 주는 기회" 2009

      5 양평섭, "중국 10대산업 진흥조치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KIEP지역경제포커스"

      6 조선일보, "중, 경제성장, 정부투자에 의존....경기침체 빠져드는 건 불가피"

      7 "중, 10대산업 진흥책(11)총정리 편, 상하이 KBC홈페이지"

      8 정환우, "국제분업 구조에서 중국의 영향력 확대" 2009

      9 "新能源産業振興規劃草案初定‘2萬億投資路線圖’浮出水面, 和讯股票홈페이지"

      10 "政府將公布5000億元石化産業刺激計劃, 財華網홈페이지"

      11 "國家統計局홈페이지"

      12 "國家發展改革委員會홈페이지"

      13 "國務院通過輕工業振興規劃惠及股市最大, 搜狐證券홈페이지"

      14 "國務院通過船舶工業調整振興規劃, 中國證券網홈페이지"

      15 "國務院通過紡織和裝備製造業調整振興規劃, 中國證券網홈페이지"

      16 "國務院通過有色金屬産業和物流業調整振興規劃, 中國新聞網홈페이지"

      17 "國務院審議幷原則通過電子信息産業振興規劃, 證券日報"

      18 "國務院原則通過汽車鋼鐵産業振興規劃, 上海證券報"

      19 "中國統計提要 2008,2009"

      20 "中國十大産業規劃路線圖提振經濟增長信心, 市場報"

      21 "中华人民共和国国民经济和社会发展第十个五年计划纲要, 新華網홈페이지"

      22 "中华人民共和国国民经济和社会发展第十一个五年规划纲要, 新華網홈페이지"

      23 "三大需求對國內生産總値增長的貢獻率和拉動, 國家統計局홈페이지"

      24 小石, "‘十一五’時期中共經濟發展方向分析" 40 (40): 2006

      25 "CEIC database"

      26 김동하, "2009 중국 전인대 키워드, 내수부양과 구조조정" 2009

      27 조선일보Weekly Biz, "13억 명 내수시장 폭발, 중국 소비자가 세계를 살린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1-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ssociation of Northeast Asia Studies KCI등재
      2013-12-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Northeast Asian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동북아논총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3 0.70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