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교육사회학의 연구 동향 분석 = The Research Trend Analysis of Sociology of Education(KJSE, JES, SOE, BJ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478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일본, 미국, 영국의 교육사회학 학술지 논문을 주제별 내용분석을 통해 각각의 하위개념을 도출하고 개념의 유사성의 정도에 따라 다시 상위개념으로 분류하여 교육사회학의 주요 연...

      한국, 일본, 미국, 영국의 교육사회학 학술지 논문을 주제별 내용분석을 통해 각각의 하위개념을 도출하고 개념의 유사성의 정도에 따라 다시 상위개념으로 분류하여 교육사회학의 주요 연구영역을 탐색하였다.
      학술지에서 가장 많이 다루어진 영역은 교육과 평등/지위획득, 교육정책과 제도, 교육사회학의 성격/이론, 학교사회와 학업성취, 페미니스트(여성), 청소년 문제와 문화, 교사교육/교직사회, 공교육의 문제/교육개혁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육정책과 제도 문제는 한국과 일본에서, 교육사회학의 발달과 정체성 문제는 영국에서, 학업성취 관련 내용은 미국에서 가장 많이 다루어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 in sociology of education. To conduct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KJSE), the Journal of Educational Sociology(JES), Sociology of Education(SOE), 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 in sociology of education. To conduct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KJSE), the Journal of Educational Sociology(JES), Sociology of Education(SOE), and Bitish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BJSE)'s article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ough the major categories(major domains) of research areas were a few differences among nations, they were education & equality, educational policy, sociology of education theory, school society & academic achievement, feminism, adolescent problem & culture, teacher education, school crisis & education reform, course education, sociology of curriculum, and etc.
      Second, the most frequent research area was the educational policy & system problems in Korea and Japan; the development and identity of sociology of education in Britain; The school society & academic achievement in U.S.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교육사회학의 토대 강화를 위한 이론과 주제의 확대" 11 (11): 79-103, 2001

      2 "한국교육사회학의 연구동향 분석" 13 (13): 47-64, 2003

      3 "일본의 교육사회학-과거와 미래" 2001

      4 "사회과학 연구방법" 세영사 2002

      5 "Content Analysis in Communication Research The Free Press of Glencoe" 1952

      1 "한국교육사회학의 토대 강화를 위한 이론과 주제의 확대" 11 (11): 79-103, 2001

      2 "한국교육사회학의 연구동향 분석" 13 (13): 47-64, 2003

      3 "일본의 교육사회학-과거와 미래" 2001

      4 "사회과학 연구방법" 세영사 2002

      5 "Content Analysis in Communication Research The Free Press of Glencoe" 195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3-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3 1.63 1.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8 1.27 1.78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