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에서 2016년 약 10년 동안 방한 관광객은 1,724만 명으로 286%증가하여 같은 기간에 세계 관광은 153%증가하여 약 2배 가까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관광객 증가 추세에 맞춰 숙박시설 부분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771351
서울 :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21
학위논문(석사)- --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 관광경영학과 , 2021. 2
2021
한국어
647.94068 판사항(22)
서울
78p. : 삽도 ; 26cm
세종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Impacts of Selection Attributes Satisfaction for Shared Accommodation on Loyalty
지도교수:김형곤
참고문헌: p.63~72
I804:11042-20000036676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05년에서 2016년 약 10년 동안 방한 관광객은 1,724만 명으로 286%증가하여 같은 기간에 세계 관광은 153%증가하여 약 2배 가까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관광객 증가 추세에 맞춰 숙박시설 부분을 ...
2005년에서 2016년 약 10년 동안 방한 관광객은 1,724만 명으로 286%증가하여 같은 기간에 세계 관광은 153%증가하여 약 2배 가까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관광객 증가 추세에 맞춰 숙박시설 부분을 많은 양을 확보하기 위하여 관광산업에 필수적으로 양질의 중저가 숙박시설을 보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안정적인 관광 자원을 늘려나가기 위해 다양한 연구를 하고 있는 중이다. OECD의 발표에 따르면 관광분야에서 사회와 환경, 그리고 관광분야의 안정적인 발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는 관광객 포함 이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당사자들의 인식을 높여야 한다고 하였다. OECD는 2010년부터 2년마다 “OECD 관광 트렌드와 정책(OECD Tourism Trends and Polices)”라는 책자를 발간하고 있는데, 2016년에는 공유경제 부분인 관광부분에 대한 정부 정책을 주요 트랜드로 제시하고 공유경제의 발전방안으로 관광 및 지역 사회의 공유경제가 미치는 효과에 관한 데이터 수집과 연구를 확대할 것을 요구하였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SNS의 급격한 발달은 정보공유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각종 산업 전반에 공유경제를 확산시키고 있다. 관광산업 내에서도 독창적인 기술과 서비스를 접목한 다양한 공유경제 서비스가 성장하고 있는데, 특히 공유경제 중 가장 주목받고 있는 공유숙박은 저렴한 숙소, 현지 문화체험, 지역관광 활성화 등 다양한 이점들로 인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공유숙박은 기본적으로 알고 있지 않은 숙소를 공유를 통해 이뤄지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이용자가 중요하게 생각했던 부분이나 만족하는 부분이 상이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공유숙박에 관한 인식이 부정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특히, 공유숙박에서 제공되는 숙소의 경우, 기존의 일반적인 숙박형태와 다르기 때문에 이용자들마다 숙소에 있어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우선순위가 달라질 수 있다. 이렇게 개인마다 다른 성향의 차이로 만족도도 다르게 나타나고 이에 대비해야 하는 주인(Host)들도 다양한 니즈에 대비할 수 있는 근본적인 자료를 필요로 한다. 기존의 숙박업소와는 달리 개인의 일반 가정집이 많기 때문에 설비부분이나 가격 정책 등에 있어서도 너무 과하거나 아니면 부족한 부분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엔이 의도하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하는 것과OECD가 내세우는 관광 트랜드와 정책, 또 공유경제가 추구하는 공통의 주제로 비용절감, 환경보호, 협력적인 소비 등을 주된 목표로 생각하고 공유숙박 선택속성의 만족도가 이용객의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이용자의 여행의 중요도에 따른 조절효과로서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공유숙박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이용자 27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유효 표본으로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선형회귀분석, 조절회귀분석, IPA분석을 실시하였다. 공유 숙박 선택속성의 만족도의 네 가지 요인인 편의성, 접근성, 호감성, 경제성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검증하였으며, 공유숙박 선택속성의 중요도-만족도를 IPA metrix 분석방식으로 분석하여 공유숙박의 문제점과 발전방향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