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日本語学習者の作文作成過程における表現と内容の変化 -協同推敲活動前後の作文の比較か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873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협동 퇴고 전후의 작문에 나타난 표현 및 내용의 변화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작문 전체를 대상으로 빈출 단어 및 특정단어 사용률의 추이를 양적 및 질적으로 검토하였다.
      제1작문군과 완성작문군 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우선 “한국과 일본”을 주제로 한 작문에서는 “국가” “차이점” “공통점” “비교”와 관련한 여러 단어들의 출현 빈도의 차이가 보였다. 키워드를 사용한 작문 수가 “국가” “차이점” “공통점” 관련어에서는 제1작문군과 완성작문군에 큰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반면, “비교” 관련어를 사용한 작문 수는 제1작문군에서 완성작문군으로 25% 증가함이 확인되었다. 작문 예를 관찰한 결과, 학습자가 작문을 수정할 때 문장 순서를 정하거나 문장을 정리하거나 하기 위해 비교 표현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나와 일본어”를 주제로 한 작문에서는 부정적인 평가와 장래나 경력에 관련한 여러 단어들의 출현 빈도의 차이가 보였다. “긍정적인 평가” “부정적인 평가” “장래/경력”에 관련된 단어를 사용한 작문 수가 “부정적인 평가”관련어에서는 제1작문군에서 완성작문군으로 약33% 감소했고, “장래/경력”에 관한 단어를 사용한 작문 수는 약33% 증가함이 확인되었다. 작문 예에서는 완성작문군에서 일본어의 어려움보다 고난을 극복한 뒤의 개인적인 전망에 중점을 둔 내용이 기술되어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변화는 협동 퇴고 활동을 통해 자신의 작문을 독자 입장에서 객관적으로 보는 시점(視点)이 생겨났기 때문에 일어난 것으로 추측된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협동 퇴고 전후의 작문에 나타난 표현 및 내용의 변화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작문 전체를 대상으로 빈출 단어 및 특정단어 사용률의 추이를 양적 및 질적으로 검토하였...

      본고에서는 협동 퇴고 전후의 작문에 나타난 표현 및 내용의 변화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작문 전체를 대상으로 빈출 단어 및 특정단어 사용률의 추이를 양적 및 질적으로 검토하였다.
      제1작문군과 완성작문군 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우선 “한국과 일본”을 주제로 한 작문에서는 “국가” “차이점” “공통점” “비교”와 관련한 여러 단어들의 출현 빈도의 차이가 보였다. 키워드를 사용한 작문 수가 “국가” “차이점” “공통점” 관련어에서는 제1작문군과 완성작문군에 큰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반면, “비교” 관련어를 사용한 작문 수는 제1작문군에서 완성작문군으로 25% 증가함이 확인되었다. 작문 예를 관찰한 결과, 학습자가 작문을 수정할 때 문장 순서를 정하거나 문장을 정리하거나 하기 위해 비교 표현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나와 일본어”를 주제로 한 작문에서는 부정적인 평가와 장래나 경력에 관련한 여러 단어들의 출현 빈도의 차이가 보였다. “긍정적인 평가” “부정적인 평가” “장래/경력”에 관련된 단어를 사용한 작문 수가 “부정적인 평가”관련어에서는 제1작문군에서 완성작문군으로 약33% 감소했고, “장래/경력”에 관한 단어를 사용한 작문 수는 약33% 증가함이 확인되었다. 작문 예에서는 완성작문군에서 일본어의 어려움보다 고난을 극복한 뒤의 개인적인 전망에 중점을 둔 내용이 기술되어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변화는 협동 퇴고 활동을 통해 자신의 작문을 독자 입장에서 객관적으로 보는 시점(視点)이 생겨났기 때문에 일어난 것으로 추측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I aim to examine the changes of expression and content in the essay writing process of Japanese language learners before and after peer response. To do this, I made a comparison of the frequently appearing words before and after peer response and analyzed the changes of the use of those words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Firstly, regarding the essays on the subject of “Korea and Japan”,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use of several words related to “country”, “difference”, “common point” and “comparison” before and after peer response. There were similar numbers of essays containing the words related to “country”, “difference” and “common point” before and after peer response. However, the number of the essays containing the words related to “comparison” increased after peer response.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Japanese language learners frequently used comparative expressions to explain their thoughts in orderly sequence and summarize them in the revised essays.
      Next, regarding the essays on the subject of “Myself and Japanese”, changes in the number of the use of the words related to “negative evaluation” and “future and career” were observed. Among the essays containing the words related to “positive evaluation”, “negative evaluation” and “future and career”, the number of the essays containing the words related to “negative evaluation” decreased after peer response, but the number of essays containing the words related to “future and career” increased.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Japanese language learners placed an emphasis on their vision after overcoming difficulties rather than on the difficulty in Japanese language after peer response.
      My results suggest that the reason for such changes in the essays is that the Japanese language learners have come to objectively review their essays from their readers’ viewpoint through peer response.
      번역하기

      In this study, I aim to examine the changes of expression and content in the essay writing process of Japanese language learners before and after peer response. To do this, I made a comparison of the frequently appearing words before and after peer re...

      In this study, I aim to examine the changes of expression and content in the essay writing process of Japanese language learners before and after peer response. To do this, I made a comparison of the frequently appearing words before and after peer response and analyzed the changes of the use of those words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Firstly, regarding the essays on the subject of “Korea and Japan”,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use of several words related to “country”, “difference”, “common point” and “comparison” before and after peer response. There were similar numbers of essays containing the words related to “country”, “difference” and “common point” before and after peer response. However, the number of the essays containing the words related to “comparison” increased after peer response.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Japanese language learners frequently used comparative expressions to explain their thoughts in orderly sequence and summarize them in the revised essays.
      Next, regarding the essays on the subject of “Myself and Japanese”, changes in the number of the use of the words related to “negative evaluation” and “future and career” were observed. Among the essays containing the words related to “positive evaluation”, “negative evaluation” and “future and career”, the number of the essays containing the words related to “negative evaluation” decreased after peer response, but the number of essays containing the words related to “future and career” increased.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Japanese language learners placed an emphasis on their vision after overcoming difficulties rather than on the difficulty in Japanese language after peer response.
      My results suggest that the reason for such changes in the essays is that the Japanese language learners have come to objectively review their essays from their readers’ viewpoint through peer respons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はじめに
      • 2. 先行研究および研究課題 
      • 3. 研究方法
      • 4. 結果
      • Abstract
      • 1. はじめに
      • 2. 先行研究および研究課題 
      • 3. 研究方法
      • 4. 結果
      • 5. 考察
      • 6. 本研究の成果と今後の課題
      • 参考文献
      • 요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