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통일사상에 있어서의 윤리론 = Ethics in unification though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0134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통일사상의 윤리론의 일반적인 소개를 위한 시도이다. 필자가 본 논문을 통해 언급할 통일사상의 내용은 1988년 통일사상개요라는 미 출판본이다. 본내용은 통일사상과 통일사상요강으로 불리는 통일사상의 초고에 근거하고 있다. 여기서는 통일사상의 윤리론의 내용뿐만 아니라 그것과 서양사상의 일반적인 윤리이론과의 관계를 언급한다. 덧붙여 필자는 통일윤리론의 현대상황에 대한 탁월한 공헌을 확인한다. 한편 통일사상은 인간의 창조성과 자유를 회생시키지 않고 규범적인 질서의 요구를 주장하며, 윤리적 상대주의에 강력한 도전을 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통일사상은 그 자체를 가정의 규범에 중심을 두고 근대와 현대 윤리학자들이 간과한 점인 가정에 대한 사회적, 그리고 심리적 중요성에 우리의 주의를 이끌고 있다.
      다음의 제2장은 서양윤리론의 일반적인 개관을 포함하고 있다. 이 부분은 이미 윤리론에 상당히 친숙한 사람들에게는 반드시 읽어야할 필요는 없을 것이며, 그러한 사람들은 통일사상과 다른 서양 철학 윤리의 주요 입장과의 관계에 대한 간략한 요약을 한 후에 다룰 제3장의 통일사상의 윤리론의 해설로 넘어가고 싶을 것이다. 마지막 장은 주로 통일사상이 윤리론에 공헌한 점에 관하여 다루고 있다. 통일사상은 포스트모던(후기 현대)와 포스트 막시스트(후기 마르크스) 시대를 거쳐 그 이후에도 인류를 인도해 줄 수 있는 윤리적 관점을 제공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통일사상의 윤리론의 일반적인 소개를 위한 시도이다. 필자가 본 논문을 통해 언급할 통일사상의 내용은 1988년 통일사상개요라는 미 출판본이다. 본내용은 통일사상과 통일사상...

      본 논문은 통일사상의 윤리론의 일반적인 소개를 위한 시도이다. 필자가 본 논문을 통해 언급할 통일사상의 내용은 1988년 통일사상개요라는 미 출판본이다. 본내용은 통일사상과 통일사상요강으로 불리는 통일사상의 초고에 근거하고 있다. 여기서는 통일사상의 윤리론의 내용뿐만 아니라 그것과 서양사상의 일반적인 윤리이론과의 관계를 언급한다. 덧붙여 필자는 통일윤리론의 현대상황에 대한 탁월한 공헌을 확인한다. 한편 통일사상은 인간의 창조성과 자유를 회생시키지 않고 규범적인 질서의 요구를 주장하며, 윤리적 상대주의에 강력한 도전을 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통일사상은 그 자체를 가정의 규범에 중심을 두고 근대와 현대 윤리학자들이 간과한 점인 가정에 대한 사회적, 그리고 심리적 중요성에 우리의 주의를 이끌고 있다.
      다음의 제2장은 서양윤리론의 일반적인 개관을 포함하고 있다. 이 부분은 이미 윤리론에 상당히 친숙한 사람들에게는 반드시 읽어야할 필요는 없을 것이며, 그러한 사람들은 통일사상과 다른 서양 철학 윤리의 주요 입장과의 관계에 대한 간략한 요약을 한 후에 다룰 제3장의 통일사상의 윤리론의 해설로 넘어가고 싶을 것이다. 마지막 장은 주로 통일사상이 윤리론에 공헌한 점에 관하여 다루고 있다. 통일사상은 포스트모던(후기 현대)와 포스트 막시스트(후기 마르크스) 시대를 거쳐 그 이후에도 인류를 인도해 줄 수 있는 윤리적 관점을 제공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ew functions of AZEOPERT [Kim and Simmrock, 1997] were investigated to predict the occurrence of ternary azeotropes and their azeotropic compositions in an organic mixture. This study describes its new problem-solving strategy. The knowledge base of AZEOPERT for ternary azeotropes is hierarchically structured with the several levels of domain-specific knowledge on ternary azeotropy. First, an azeotropic data bank including ternary azeotropic experimental data was implemented in AZEOPERT as the lowest level. It may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ernary azeotropic experimental data for the consulted organic mixture are already available. Moreover, compiled heuristic knowledge as the second level and class-oriented model-based knowledge as the highest level were implemented in the knowledge base. The problem-solving strategy through the integration of model-based reasoning into compiled reasoning gives a very efficient, general way for the prediction of ternary azeotrope formation in a wide varitey of organic mixtures, and especially, in unknown mixture systems.
      번역하기

      New functions of AZEOPERT [Kim and Simmrock, 1997] were investigated to predict the occurrence of ternary azeotropes and their azeotropic compositions in an organic mixture. This study describes its new problem-solving strategy. The knowledge base of ...

      New functions of AZEOPERT [Kim and Simmrock, 1997] were investigated to predict the occurrence of ternary azeotropes and their azeotropic compositions in an organic mixture. This study describes its new problem-solving strategy. The knowledge base of AZEOPERT for ternary azeotropes is hierarchically structured with the several levels of domain-specific knowledge on ternary azeotropy. First, an azeotropic data bank including ternary azeotropic experimental data was implemented in AZEOPERT as the lowest level. It may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ernary azeotropic experimental data for the consulted organic mixture are already available. Moreover, compiled heuristic knowledge as the second level and class-oriented model-based knowledge as the highest level were implemented in the knowledge base. The problem-solving strategy through the integration of model-based reasoning into compiled reasoning gives a very efficient, general way for the prediction of ternary azeotrope formation in a wide varitey of organic mixtures, and especially, in unknown mixture system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서양 윤리론에 대한 간략한 개관
      • 3. 통일사상에 있어서의 윤리론
      • 1) 윤리론과 세계관
      • 2) 유신론과 윤리
      • 1. 서론
      • 2. 서양 윤리론에 대한 간략한 개관
      • 3. 통일사상에 있어서의 윤리론
      • 1) 윤리론과 세계관
      • 2) 유신론과 윤리
      • 3) 철학적 인류학과 윤리론
      • 4) 가정의 규범
      • 5) 개인과 사회윤리
      • 6) 질서(계급 질서)와 평등
      • 7) 가족과 사회
      • 4. 서구 윤리학에 대한 통일사상의 비판
      • 5. 몇가지 윤리적 질의에 대한 소고
      • 1) 선이란 무엇인가?
      • 2) 어떻게 선을 알 수 있는가?
      • 3) 선은 어떻게 습득되는가?
      • 4) 왜 도덕적이어야 하는가?
      • 6. 결론: 윤리학에 대한 통일사상의 가장 중요한 공헌
      • 1) 윤리학의 근거 확보와 상대주의의 극복
      • 2) 가정에 대한 도덕적, 사회적 중요성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