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흑인 록스타’가 백악관에 입성할 수 있었을까 이 글은 2008년 미국 대통령선거에서 오바마와 맥캐인 간의 경쟁에서 유권자의 후보선택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탐색함을 목적으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65246
-
2009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어떻게 ‘흑인 록스타’가 백악관에 입성할 수 있었을까 이 글은 2008년 미국 대통령선거에서 오바마와 맥캐인 간의 경쟁에서 유권자의 후보선택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탐색함을 목적으로 ...
어떻게 ‘흑인 록스타’가 백악관에 입성할 수 있었을까 이 글은 2008년 미국 대통령선거에서 오바마와 맥캐인 간의 경쟁에서 유권자의 후보선택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탐색함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이 글은 선거과정에서 기존 미국 대통령선거 연구가 밝혀온 정당일체감, 현직 대통령의 업무평가와 경제상황에 대한 회고적 평가, 정책쟁점에 대한 전망적 평가, 후보자자질, 그리고 유권자의 인구통계학적 배경이라는 요인들이 오바마의 변화라는 코드에 어떻게 반응했는가 그리고 후보선택으로 어떻게 연결되었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아울러 제시된 변수들 중 오바마의 승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무엇이었는가를 다양한 통계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한다.
경험분석을 위해 이 글은 이 글은 정당일체감과 통제변수로 활용하는 가운데, 유권자의 인구통계적 요인, 유권자들이 가장 중요한 쟁점이라고 판단한 경제, 이라크전쟁, 그리고 의료보험 문제에 있어서 부시행정부에 대한 회고적 평가와 차기 행정부에 대한 전망적 평가, 그리고 리더십, 덕성, 능력, 애민 등의 후보자 자질 변수들이 2008년 오바마와 맥캐인 간의 후보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평가한다.
경험분석 결과에 따르면, 유권자의 인구통계적 요인 중 흑인 변수가 후보선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고, 유권자의 복음주의 정도와 교육수준 또한 통계적인 유의미성과 함께 오바마의 선택에 가설이 예견하는 방향의 효과를 보이고 있다. 부시행정부에 대한 회고적 평가는 경제부문에 대한 유권자의 실망감이 오바마의 지지로 이어졌음을 보여주고 있으나 통계적 유의미성이 약했으며, 이라크전쟁 수행에 대한 평가는 오바마와 맥캐인 간의 경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차기정부의 국방비지출 변수는 오바마의 정책과 가까운 사람들일수록 오바마를 지지하며 통계적인 유의미성을 갖춘 것으로 나타나 이라크전쟁 수행과 관련한 유권자의 평가가 후보선택에 영향력이 없지 않았음을 보여주고 있다. 차기 행정부의 정책과 관련하여 의료보험 쟁점 또한 오바마와 맥캐인 간의 경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정부의 공공영역에 대한 지출과 서비스에 대한 유권자의 평가는 유의성을 상실하고 있다. 후보자의 자질과 관련해서 앞서 전통적으로 민주당의 이미지와 연계되어왔던 능력변수가 가설이 예견하는 방향을 효과를 상실한데 이어 역시 민주당이 강세를 보이는 자질인 애민 역시 통계적인 유의미성을 상실하고 있다. 오히려 2008년 대선에서 후보자의 자질과 관련하여 후보선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변수는 전통적으로 공화당 후보들이 강세를 보여 온 리더십과 덕성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덕성 변수는 후보자의 자질 변수 중 가장 큰 영향력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결국 상대방의 이미지와 조응하는 측면의 자질을 강조하는 캠페인을 구사할 때 선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겠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analyze various factors which affects voter choice in the 2008 American Presidential Election. By using the party identification among the electorate as the control variable, this paper tests the effects of various retrospective and...
This paper aims to analyze various factors which affects voter choice in the 2008 American Presidential Election. By using the party identification among the electorate as the control variable, this paper tests the effects of various retrospective and prospective policies, such as economy, Iraqi War, and health care, and various candidate traits such as leadership, integrity, competence, and care about people.
Empirical Findings suggest that variables such as, black people dummy, partisanship, evangelism, and retrospective judgement on economy, defense policy and healthcare, and leadership and integrity, did affect voter choice in the 2008 Obama vs McCain presidential race in the United St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