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김유정의 수필〈강원도 여성〉에서 묘사한 강원도 여성상을 유용한 단서로 삼아,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여성 인물들의 성격 특성과 그 이미지를 중점적으로 분석, 고찰하는 것을 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본고는 김유정의 수필〈강원도 여성〉에서 묘사한 강원도 여성상을 유용한 단서로 삼아,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여성 인물들의 성격 특성과 그 이미지를 중점적으로 분석, 고찰하는 것을 목...
본고는 김유정의 수필〈강원도 여성〉에서 묘사한 강원도 여성상을 유용한 단서로 삼아,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여성 인물들의 성격 특성과 그 이미지를 중점적으로 분석,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에서는 김유정 소설에 등장하는 여성 인물들을 우선 크게 두 부류, 즉 미혼 여성과 기혼 여성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전자에 속하는 여성 인물들이 대개 사랑 혹은 본능적 이성애라는 문제에 직면하여 갈등 관계를 노정하는 데 반해, 후자에 속하는 여성 인물들은 절대적 빈궁 속에서의 가족적 삶이라는 문제에 직면하여 갈등 관계를 노정하고 있다.
본고는 첫째, 미혼 여성에 속하는 인물들의 특징적 이미지를, 본능적 이성애에 순직한, 그러나 대조적 측면을 지닌 반어적 여성상으로 포괄적으로 일반화하였다. 둘째, 기혼 여성에 속하는 인물들의 특징적 이미지를 다시 두 가지로 나누어, (1) 인습적인 결혼 제도에 갇힌, 운명순응적인 인고형 여성상과 (2) 가족적 삶을 지켜내는 위해 고투하는 탈도덕적, 혹은 정의적 여성상으로 포괄적으로 일반화하였다.
이들 여성 인물들은 미혼이든 기혼이든 김유정 소설에 등장하는 남성 주인공과 유사하게 자연적이며 원시적인 생명력을 구현하는 인물이다. 이들은 감내하기 힘든 험난한 장애가 있더라, 이성에 대한 사랑이든지 가족적 삶을 지켜내기 위한 고된 삶의 투쟁에서이든지 결코 포기하거나 단념하는 법이 없는 강인한 인물들로 그려지고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