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리터러시는 현대 사회에서 범람하는 광고를 올바로 해석하고 수용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 특히 인식체계가 미성숙한 어린이들에게 교육을 통해 함양시켜 주어야 할 소양이다. 그러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439451
201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97-113(17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광고 리터러시는 현대 사회에서 범람하는 광고를 올바로 해석하고 수용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 특히 인식체계가 미성숙한 어린이들에게 교육을 통해 함양시켜 주어야 할 소양이다. 그러나 ...
광고 리터러시는 현대 사회에서 범람하는 광고를 올바로 해석하고 수용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 특히 인식체계가 미성숙한 어린이들에게 교육을 통해 함양시켜 주어야 할 소양이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광고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이 거의부재하며, 이에 관한 연구 또한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광고를 활용한비판적 사고력 교육이 비판적 사고력의 향상뿐만 아니라 광고 리터러시 능력을 키우는데도 효과가 있을 것이라 예측되었고,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광고태도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광고를 활용한 비판적 사고력 교육을 광고 리터러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가능성 및 교육효과를 진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을대상으로 한 일선 학교에서의 교육을 실행한 후 광고태도 변화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광고 리터러시 교육으로서의 효용성을 검증하였고, 분석 결과에 따른 함의 도출 및후속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d literacy, an ability of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advertisements properly, is important especially to children in the current society. However, educational programs for ad literacy in Korea have been scarce as well as research efforts regardin...
Ad literacy, an ability of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advertisements properly, is important especially to children in the current society. However, educational programs for ad literacy in Korea have been scarce as well as research efforts regarding this issue. Under this circumstance, this study found a research need for ad literacy education and thus attempted to examine whether the AIE (advertising-in-education) program devised to foster critical thinking of elementary students would also influence their attitudes toward advertising in general. Based on the analyses of tracking data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several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운찬, "현대 기호학과 문화 분석" 열린책들 2005
2 하지혜, "학교음악교육에 있어 광고음악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 이정아, "초등학생의 환경소양 함양을 위한 교과연계 공익광고활용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초등교육연구원 24 (24): 297-314, 2013
4 김지은, "초등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광고활용교육의 적용과 효과 검증" 한국광고홍보학회 (108) : 5-30, 2016
5 정솔, "지면광고를 활용한 어휘 지도가 초등 6학년 학생들의 영어 어휘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2 (22): 35-59, 2016
6 안순태, "인터넷 신문 기사형 광고에 대한 어린이의 이해: 광고 리터러시와 광고 표식 효과" 한국언론학회 58 (58): 246-268, 2014
7 이정아, "인터넷 광고 회피에 대한 연구 : 회피 수준과 회피 예측변인들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16 (16): 203-223, 2005
8 김은아, "음악 개념 지도를 위한 방송음악의 활용에 관한 연구: 대중가요와 광고음악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9 안순태, "어린이의 광고 리터러시 (Advertising Literacy) : 광고에 대한 이해와 태도" 한국언론학회 56 (56): 72-91, 2012
10 소현진, "수용자의 광고태도가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광고공사 (78) : 115-142, 2008
1 김운찬, "현대 기호학과 문화 분석" 열린책들 2005
2 하지혜, "학교음악교육에 있어 광고음악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 이정아, "초등학생의 환경소양 함양을 위한 교과연계 공익광고활용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초등교육연구원 24 (24): 297-314, 2013
4 김지은, "초등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광고활용교육의 적용과 효과 검증" 한국광고홍보학회 (108) : 5-30, 2016
5 정솔, "지면광고를 활용한 어휘 지도가 초등 6학년 학생들의 영어 어휘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2 (22): 35-59, 2016
6 안순태, "인터넷 신문 기사형 광고에 대한 어린이의 이해: 광고 리터러시와 광고 표식 효과" 한국언론학회 58 (58): 246-268, 2014
7 이정아, "인터넷 광고 회피에 대한 연구 : 회피 수준과 회피 예측변인들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16 (16): 203-223, 2005
8 김은아, "음악 개념 지도를 위한 방송음악의 활용에 관한 연구: 대중가요와 광고음악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9 안순태, "어린이의 광고 리터러시 (Advertising Literacy) : 광고에 대한 이해와 태도" 한국언론학회 56 (56): 72-91, 2012
10 소현진, "수용자의 광고태도가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광고공사 (78) : 115-142, 2008
11 백병성, "소비자정책과 소비자광고교육ᐨ사회소비자교육의 현황과 과제를 중심으로" 1 (1): 67-90, 1999
12 홍유진, "미디어 리터러시 국내외 동향 및 정책방향" 한국콘텐츠진흥원 2013
13 임남숙, "디자인에서의 시각 문화 교수-학습에 대한 연구 -공익광고 활용을 통한-" 한국예술교육학회 11 (11): 65-82, 2013
14 곽병우, "도덕과 창의성 교육에서 공익광고의 활용"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43) : 211-248, 2014
15 김정우, "국어 교육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광고의 활용 방안" 청람어문교육학회 (53) : 7-35, 2015
16 한규훈, "국내 광고활용교육의 실태 진단 및 활성화를 위한 제언: 초·중·고교 교사들의 인식 조사를 토대로" 한국광고홍보학회 (98) : 256-279, 2013
17 김지은, "광고활용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성 개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101) : 186-216, 2014
18 정연우, "광고활용교육의 영역과 내용에 대한 연구" 한국OOH광고학회 8 (8): 79-106, 2011
19 이희복, "광고활용교육(AIE)이란 무엇인가? 탐색적인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4 (14): 160-181, 2012
20 전병준, "광고의 전략을 활용한 시 창작 교육 방안 연구" 한민족문화학회 47 (47): 277-299, 2014
21 이지혜, "광고음악 만들기가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22 최윤희, "광고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방안" 21 : 29-52, 2008
23 김현지, "광고를 활용한 다문화 교육이유아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2 (12): 1-24, 2013
24 이희복, "광고 콘텐츠를 활용한 교육 연구 : 영국의 미디어 스마트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광고PR실학회 6 (6): 32-49, 2013
25 Buckingham, D., "Youth, media, democracy: Perceptions of new literacies" Centre for Social and Educational Research 37-43, 2009
26 Pempek, T. A., "Tipping the balance: Use of advergames to promote consumption of nutritious foods and beverages by low income African American Children" 163 (163): 633-637, 2009
27 Buijzen, M., "The effects of television advertising on materialism, parent ∼child conflict, and unhappiness: A review of research" 24 : 437-456, 2003
28 Mallinckrodt, V., "The effects of playing an advergame on young children’s perceptions, preferences, and requests" 36 (36): 87-100, 2007
29 Boush, D. M., "Television and the American family" Erlbaum 397-412, 2001
30 Kunkel, D., "Report of the APA Task Force on Advertising and Children: Psychological Issues in the Increasing Commercialization of Childhood"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4
31 Shavitt, S., "Public Attitudes toward Advertising: More Favorable than you Might Think" 38 : 7-22, 1998
32 Peterson, L., "Preventive intervention to improve children’s discrimination of the persuasive tactics in televised advertising" 13 : 16-170, 1988
33 Speck, P. S., "Predictors of Advertising avoidance in print and broadcast Media" 26 (26): 61-76, 1997
34 An, S., "Mitigating the effects of advergames on children: Do advertising breaks work?" 40 (40): 41-54, 2011
35 Vasudevan, L., "Media, learning, and sites of possibility" Peter Lang Publishing 1-12, 2008
36 Christ, W. G., "Media literacy, media education, and the academy" 48 (48): 5-15, 1998
37 Valkenburg, P. M., "Media and youth consumerism" 27 (27): 52-56, 2000
38 Hobbs, R., "Measuring the acquisition of media literacy skills" 38 (38): 330-355, 2003
39 Wartella, E., "Mass Communication Review Yearbook" Sage 516-553, 1980
40 Yang, K. C. C., "Internet user’s attitudes toward and beliefs about internet advertising: An exploratory research from taiwan" 15 (15): 43-65, 2003
41 Alwitt, L. F., "Identifying who dislikes television advertising: Not by demographics alone" 34 : 17-29, 1994
42 Polly, R. W., "Here’s the beef: Factors, Determinants, and Segments in Consumer Criticism of Advertising" 57 : 99-114, 1993
43 Kunkel, D., "Handbook of Children and Media" Sage 589-604, 2001
44 Young, B., "Does food advertising make children obese?" 4 (4): 19-26, 2003
45 Livingstone, S., "Does advertising literacy mediate the effects of advertising on children? A critical examination of two linked research literatures in relation to obesity and food choice" 56 : 560-584, 2006
46 Arens, W. F., "Contemporary advertising" Tata McGraw-Hill Education 2004
47 Martin, M. C.,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intent of advertising: A meta-analysis" 16 (16): 205-216, 1997
48 Moore, E. S., "Children and the changing world of advertising" 52 (52): 161-167, 2004
49 Blosser, B. J., "Age differences in children’s perceptions of message intent:Responses to TV news, commercials, educational spots, and public service announcements" 12 : 455-484, 1985
50 Ducoffe, R. H., "Advertising value and advertising on the Web" 36 : 21-35, 1996
51 Bauer, R. A, "Advertising in America; The consumer view" Harvard University 1968
52 이은희, "21세기 소비자교육 활성화를 위한 소비자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고찰" 4 (4): 85-106, 2001
동물병원 이용자의 병원 선택과 만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성적소구 광고에 대한 제3자 효과가 규제인식에 미치는 영향 : 성적소구 강도(强度), 사회적 거리를 중심으로
과학을 대신하는 신화적 상상력 : 브랜드 내러티브와 신화적 원형의 적용 가능성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3 | 1.13 | 1.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3 | 1.16 | 1.392 | 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