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서·연안 지역의 생물다양성 교육운영 방안에 대한 연구; 비형식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ducation of Biodiversity Management on the Islands and in Coastal Areas; Applying to Informal Biodiversity Education Institu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069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to collect the information for developing a curriculum on biodiversity education on islands and in coastal areas. The curriculum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conducting biodiversity education related with biodiversity research and exhibition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Furthermore, the opinions of experts on forthcoming biodiversity education plan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were analyzed.
      The curriculum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can be divided into general and special courses. The general courses include experiential ecology education conducted with educational instructors. In the other, the commentary education is provided with commentators and with commentary on various exhibition facilities such as the “Ecorium”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and the “Eco Care Center”. Special programs include adult hobby courses, training for ecological competencies of incumbent public officials and teachers, and training for college students and natural environment interpreters.
      Comprehensive opinions of experts suggest two kinds of education on island and in coastal areas. The first one is in regards to interdisciplinary educational contents such as island bio-geography, marine biology, ecology, geography, etc., in connection with the geograph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island and coastal areas. This necessitates developing specific educational programs for that purpose. The second one is differentiated education reflecting the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in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sland and coastal areas. This is needed in education at the National Honam Biological Resource Center.
      This study presents basic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planning stage of biodiversity education in islands and coastal areas. It is expected that a differentiated biodiversity curriculum can be developed based on islands and coastal subject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aimed to collect the information for developing a curriculum on biodiversity education on islands and in coastal areas. The curriculum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conducting biodiversity education related with biodiversity rese...

      This study was aimed to collect the information for developing a curriculum on biodiversity education on islands and in coastal areas. The curriculum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conducting biodiversity education related with biodiversity research and exhibition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Furthermore, the opinions of experts on forthcoming biodiversity education plan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were analyzed.
      The curriculum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can be divided into general and special courses. The general courses include experiential ecology education conducted with educational instructors. In the other, the commentary education is provided with commentators and with commentary on various exhibition facilities such as the “Ecorium”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and the “Eco Care Center”. Special programs include adult hobby courses, training for ecological competencies of incumbent public officials and teachers, and training for college students and natural environment interpreters.
      Comprehensive opinions of experts suggest two kinds of education on island and in coastal areas. The first one is in regards to interdisciplinary educational contents such as island bio-geography, marine biology, ecology, geography, etc., in connection with the geograph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island and coastal areas. This necessitates developing specific educational programs for that purpose. The second one is differentiated education reflecting the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in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sland and coastal areas. This is needed in education at the National Honam Biological Resource Center.
      This study presents basic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planning stage of biodiversity education in islands and coastal areas. It is expected that a differentiated biodiversity curriculum can be developed based on islands and coastal subjec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내·외에서 생물자원과 생물다양성에 대한 인식 변화에 따라 우리나라 또한 다양한 분야에서 생물다양성 협약 대응체계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제 4차 국가생물다양성 전략(2018)에서는 대국민 생물다양성 인식 향상을 위한 교육 기반 강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서·연안 지역 기반 생물다양성 교육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국내의 대표적인 비형식 교육기관은 국립생태원의 교육운영 사례와 도서·연안 지역에 개관 예정인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의 생물다양성 교육 방안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조사하였다.
      국립생태원은 2013년에 개관하였으며 생태계 연구 및 전시·교육기관으로 생물다양성 관련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다. 국립생태원의 교육과정은 일반과정과 특별과정으로 구분되며, 일반과정 중 체험형 생태교육은 교육강사와 함께 체험위주 생태교육이 진행되며, 주로 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으며 교육의 목적과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세분화되어 있다. 해설교육은 해설사와 함께 교육이 이루어지고 국립생태원의 에코리움, 에코케어센터 등 다양한 전시시설에 대한 해설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별과정은 성인 취미과정, 현직 공직자 및 교사들의 생태역량 함양을 위한 연수, 전공대학생, 자연환경해설사 양성 교육이 있다.
      효과적인 생물다양성 교육을 위해서는 교육 장소에 따라 교육운영 방안이 달라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서·연안 지역 기반 생물다양성 교육과 설립예정인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의 생물다양성 교육운영을 위한 전문가 의견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연안의 생물다양성 교육은 도서 연안의 지리적 생태적 특징과 연계하여 섬 생물지리학, 해양생물학, 생태학, 지리학 등 학제 간 융합적 교육 콘텐츠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주제화한 후 그에 맞는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이 필요함을 나타냈다. 둘째,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의 교육을 위해서는 비형식 교육기관의 보편적 특성과 도서·연안의 지리·생태적 특징이 반영된 차별화된 교육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연안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생물다양성 교육 운영을 위해 유사 기관의 교육 운영 현황을 제시하고,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제시함으로서 그 의의가 있다. 앞으로 이를 구체화하여 효과적인 도서·연안 생물다양성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과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국내·외에서 생물자원과 생물다양성에 대한 인식 변화에 따라 우리나라 또한 다양한 분야에서 생물다양성 협약 대응체계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제 4차 국가생물다양성 전략(2018)...

      국내·외에서 생물자원과 생물다양성에 대한 인식 변화에 따라 우리나라 또한 다양한 분야에서 생물다양성 협약 대응체계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제 4차 국가생물다양성 전략(2018)에서는 대국민 생물다양성 인식 향상을 위한 교육 기반 강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서·연안 지역 기반 생물다양성 교육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국내의 대표적인 비형식 교육기관은 국립생태원의 교육운영 사례와 도서·연안 지역에 개관 예정인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의 생물다양성 교육 방안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조사하였다.
      국립생태원은 2013년에 개관하였으며 생태계 연구 및 전시·교육기관으로 생물다양성 관련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다. 국립생태원의 교육과정은 일반과정과 특별과정으로 구분되며, 일반과정 중 체험형 생태교육은 교육강사와 함께 체험위주 생태교육이 진행되며, 주로 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으며 교육의 목적과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세분화되어 있다. 해설교육은 해설사와 함께 교육이 이루어지고 국립생태원의 에코리움, 에코케어센터 등 다양한 전시시설에 대한 해설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별과정은 성인 취미과정, 현직 공직자 및 교사들의 생태역량 함양을 위한 연수, 전공대학생, 자연환경해설사 양성 교육이 있다.
      효과적인 생물다양성 교육을 위해서는 교육 장소에 따라 교육운영 방안이 달라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서·연안 지역 기반 생물다양성 교육과 설립예정인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의 생물다양성 교육운영을 위한 전문가 의견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연안의 생물다양성 교육은 도서 연안의 지리적 생태적 특징과 연계하여 섬 생물지리학, 해양생물학, 생태학, 지리학 등 학제 간 융합적 교육 콘텐츠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주제화한 후 그에 맞는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이 필요함을 나타냈다. 둘째,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의 교육을 위해서는 비형식 교육기관의 보편적 특성과 도서·연안의 지리·생태적 특징이 반영된 차별화된 교육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연안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생물다양성 교육 운영을 위해 유사 기관의 교육 운영 현황을 제시하고,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제시함으로서 그 의의가 있다. 앞으로 이를 구체화하여 효과적인 도서·연안 생물다양성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과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미정, "해양환경소양과 핵심역량에 기초한 초·중학교 해양환경교육 교재 개발" 한국환경교육학회 31 (31): 153-166, 2018

      2 정화성, "해안지역 초등학생을 위한 해양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27-40, 2010

      3 박태윤, "초등학생들의 생물다양성 인식에 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1-23, 2016

      4 신재열, "지형 및 생태교육을 위한 현장학습활동 프로그램 개발: 낙동강 강정고령보 지역을 중심으로"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3 (63): 391-415, 2015

      5 김재근, "중학교 생물교과 내용과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 생태 교육 프로그램의 연계성 분석"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 (2): 59-66, 2008

      6 성기철, "중학교 과학 교과 생물 영역의 생물다양성 보전 관련 내용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7 관계부처합동, "제4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2019~2023)"

      8 류미, "유생털이와 로드킬 중심의 도둑게(Sesarma haematoche)의 생활사에 대한 해양환경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서울대학교 2020

      9 이솔하, "야외 체험형 생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국립생태원 동물 생태 관련 진로체험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교육학회 29 (29): 205-219, 2016

      10 정원영, "신설되는 대규모 비형식 환경교육 시설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 절차: 국립생태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환경교육학회 26 (26): 336-357, 2013

      1 장미정, "해양환경소양과 핵심역량에 기초한 초·중학교 해양환경교육 교재 개발" 한국환경교육학회 31 (31): 153-166, 2018

      2 정화성, "해안지역 초등학생을 위한 해양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27-40, 2010

      3 박태윤, "초등학생들의 생물다양성 인식에 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1-23, 2016

      4 신재열, "지형 및 생태교육을 위한 현장학습활동 프로그램 개발: 낙동강 강정고령보 지역을 중심으로"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3 (63): 391-415, 2015

      5 김재근, "중학교 생물교과 내용과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 생태 교육 프로그램의 연계성 분석"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 (2): 59-66, 2008

      6 성기철, "중학교 과학 교과 생물 영역의 생물다양성 보전 관련 내용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7 관계부처합동, "제4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2019~2023)"

      8 류미, "유생털이와 로드킬 중심의 도둑게(Sesarma haematoche)의 생활사에 대한 해양환경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서울대학교 2020

      9 이솔하, "야외 체험형 생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국립생태원 동물 생태 관련 진로체험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교육학회 29 (29): 205-219, 2016

      10 정원영, "신설되는 대규모 비형식 환경교육 시설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 절차: 국립생태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환경교육학회 26 (26): 336-357, 2013

      11 홍선기, "섬의 생태적 정체성과 탈경계-생물다양성과 문화다양성의 접점에서의 이해-" 도서문화연구원 (41) : 329-349, 2013

      12 환경부, "서해안 주요 습지에 도래하는 수조류의 봄, 가을 조사" 환경부 120-, 1998

      13 김해경, "목포 허사도와 고하도 일대의 지형 및 지질경관 특성" 한국도서(섬)학회 26 (26): 181-193, 2014

      14 노컷뉴스, "목포 고하도에 위치한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공식 출범"

      15 이미나, "내러티브를 활용한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가족대상 프로그램"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6 (6): 1-12, 2016

      16 국립생태원, "국립생태원 방문객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국립생태원법인화추진기획단 1-322, 2011

      17 "국립생태원"

      18 최수림, "국립생물자원관의 생물다양성 교육프로그램 내용 분석과 인식 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 46 (46): 275-289, 2018

      19 Capra, F, "The Web of Life: A New Scientific Understanding of Living Systems"

      20 Gayford, C., "Biodiversity Education : A Teacher's Perspective" 6 (6): 347-361, 2000

      21 국립생태원, "2017년 국립생태원 생태교육·전시 만족도 조사 결과보고서" 국립생태원 1-285,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3 0.57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