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장미정, "해양환경소양과 핵심역량에 기초한 초·중학교 해양환경교육 교재 개발" 한국환경교육학회 31 (31): 153-166, 2018
2 정화성, "해안지역 초등학생을 위한 해양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27-40, 2010
3 박태윤, "초등학생들의 생물다양성 인식에 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1-23, 2016
4 신재열, "지형 및 생태교육을 위한 현장학습활동 프로그램 개발: 낙동강 강정고령보 지역을 중심으로"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3 (63): 391-415, 2015
5 김재근, "중학교 생물교과 내용과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 생태 교육 프로그램의 연계성 분석"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 (2): 59-66, 2008
6 성기철, "중학교 과학 교과 생물 영역의 생물다양성 보전 관련 내용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7 관계부처합동, "제4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2019~2023)"
8 류미, "유생털이와 로드킬 중심의 도둑게(Sesarma haematoche)의 생활사에 대한 해양환경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서울대학교 2020
9 이솔하, "야외 체험형 생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국립생태원 동물 생태 관련 진로체험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교육학회 29 (29): 205-219, 2016
10 정원영, "신설되는 대규모 비형식 환경교육 시설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 절차: 국립생태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환경교육학회 26 (26): 336-357, 2013
1 장미정, "해양환경소양과 핵심역량에 기초한 초·중학교 해양환경교육 교재 개발" 한국환경교육학회 31 (31): 153-166, 2018
2 정화성, "해안지역 초등학생을 위한 해양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27-40, 2010
3 박태윤, "초등학생들의 생물다양성 인식에 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1-23, 2016
4 신재열, "지형 및 생태교육을 위한 현장학습활동 프로그램 개발: 낙동강 강정고령보 지역을 중심으로"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3 (63): 391-415, 2015
5 김재근, "중학교 생물교과 내용과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 생태 교육 프로그램의 연계성 분석"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 (2): 59-66, 2008
6 성기철, "중학교 과학 교과 생물 영역의 생물다양성 보전 관련 내용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7 관계부처합동, "제4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2019~2023)"
8 류미, "유생털이와 로드킬 중심의 도둑게(Sesarma haematoche)의 생활사에 대한 해양환경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서울대학교 2020
9 이솔하, "야외 체험형 생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국립생태원 동물 생태 관련 진로체험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교육학회 29 (29): 205-219, 2016
10 정원영, "신설되는 대규모 비형식 환경교육 시설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 절차: 국립생태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환경교육학회 26 (26): 336-357, 2013
11 홍선기, "섬의 생태적 정체성과 탈경계-생물다양성과 문화다양성의 접점에서의 이해-" 도서문화연구원 (41) : 329-349, 2013
12 환경부, "서해안 주요 습지에 도래하는 수조류의 봄, 가을 조사" 환경부 120-, 1998
13 김해경, "목포 허사도와 고하도 일대의 지형 및 지질경관 특성" 한국도서(섬)학회 26 (26): 181-193, 2014
14 노컷뉴스, "목포 고하도에 위치한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공식 출범"
15 이미나, "내러티브를 활용한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가족대상 프로그램"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6 (6): 1-12, 2016
16 국립생태원, "국립생태원 방문객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국립생태원법인화추진기획단 1-322, 2011
17 "국립생태원"
18 최수림, "국립생물자원관의 생물다양성 교육프로그램 내용 분석과 인식 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 46 (46): 275-289, 2018
19 Capra, F, "The Web of Life: A New Scientific Understanding of Living Systems"
20 Gayford, C., "Biodiversity Education : A Teacher's Perspective" 6 (6): 347-361, 2000
21 국립생태원, "2017년 국립생태원 생태교육·전시 만족도 조사 결과보고서" 국립생태원 1-285,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