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교 청소년의 인권보장, 자아존중감,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among school adolescents` Rights guarantee, Self-esteem and Subjective Happin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340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direct or indirect effects, through self-esteem, of rights guarantee of school adolescents on subjective happiness. In addition, The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academic background(middle school-high school). The study data based on 2,004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mong respondents of the survey on child·youth synthesize survey, which was the research of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As a statistical metho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mployed.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school adolescents` rights(liberty and participate) guarantee affect directly on subjective happiness and participate guarantee affect indirectly through self-esteem. The study did not find the moderating effects of academic background, except for path from participate guarantee to self-esteem.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adolescents welfare policy and practice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direct or indirect effects, through self-esteem, of rights guarantee of school adolescents on subjective happiness. In addition, The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academic background(middle school-high school). The study da...

      This Study examined the direct or indirect effects, through self-esteem, of rights guarantee of school adolescents on subjective happiness. In addition, The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academic background(middle school-high school). The study data based on 2,004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mong respondents of the survey on child·youth synthesize survey, which was the research of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As a statistical metho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mployed.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school adolescents` rights(liberty and participate) guarantee affect directly on subjective happiness and participate guarantee affect indirectly through self-esteem. The study did not find the moderating effects of academic background, except for path from participate guarantee to self-esteem.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adolescents welfare policy and practice were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신영, "한국청소년행복지수 개발연구" 한국사회학회 42 (42): 140-173, 2008

      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발달 지표조사Ⅲ: 총괄보고서" 2008

      3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발달 지표조사Ⅱ: 청소년발달 종합지표"

      4 한국청소년개발원, "한국청소년발달 지표조사Ⅰ: 청소년발달 종합지표"

      5 김명소, "한국인의 행복한 삶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분석" 한국심리학회 22 (22): 1-33, 2003

      6 박아청, "한국 청소년의 심리적 행복감에 위협적 요소에 관한 연구" 27 (27): 95-121, 2008

      7 신재명, "학생인권침해의 실태와 개선방안: 춘천시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8 조미숙, "학생인권을 위한 사회복지접근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6 (6): 37-52, 2004

      9 강영하, "초등학생의 행복감 구성요인 탐색" 한국초등교육학회 21 (21): 159-177, 2008

      10 강현아, "청소년참여권 현황과 지표개발" 한국청소년개발원 2006

      1 김신영, "한국청소년행복지수 개발연구" 한국사회학회 42 (42): 140-173, 2008

      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발달 지표조사Ⅲ: 총괄보고서" 2008

      3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발달 지표조사Ⅱ: 청소년발달 종합지표"

      4 한국청소년개발원, "한국청소년발달 지표조사Ⅰ: 청소년발달 종합지표"

      5 김명소, "한국인의 행복한 삶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분석" 한국심리학회 22 (22): 1-33, 2003

      6 박아청, "한국 청소년의 심리적 행복감에 위협적 요소에 관한 연구" 27 (27): 95-121, 2008

      7 신재명, "학생인권침해의 실태와 개선방안: 춘천시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8 조미숙, "학생인권을 위한 사회복지접근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6 (6): 37-52, 2004

      9 강영하, "초등학생의 행복감 구성요인 탐색" 한국초등교육학회 21 (21): 159-177, 2008

      10 강현아, "청소년참여권 현황과 지표개발" 한국청소년개발원 2006

      11 양돌규, "청소년인권운동의 흐름과 교육운동에 던지는 의미" 22 : 153-173, 2007

      12 이용교, "청소년인권과 참여" 양서원 2009

      13 이용교, "청소년인권과 인권교육" 인간과 복지 2004

      14 최복경, "청소년의 참여실태와 참여권 향상방안"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2008

      15 이수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권리인식과의 관계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9 (9): 65-90, 2002

      16 김은미, "청소년의 여가활동과 행복과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16 (16): 155-172, 2007

      17 전신현, "청소년의 삶의 질에 관한 경험적 연구" 25 : 63-82, 1996

      18 조명한, "청소년의 삶의 질" 16 (16): 61-94, 1994

      19 고재흥, "청소년의 긍정적착각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 한국청소년상담원 11 (11): 166-181, 2003

      20 이미리, "청소년기 행복감 수준의 일상 맥락 변화에 따른 다양성"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6 (16): 193-209, 2003

      21 김의철, "청소년과 성인의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 가정, 학교, 직장, 여가생활을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9 (9): 973-1002, 2004

      22 김순규, "청소년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보호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9 (29): 66-93, 2008

      23 홍봉선, "청소년 복지론" 학지사 2004

      24 이경아, "집단 따돌림이 청소년기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내면화 문제행동, 또래기술 및 자기존중감의 매개 중재 효과-" 한국상담학회 6 (6): 531-543, 2005

      25 김호영, "중소도시 청소년의 진로성숙 및 자아개념이 지각된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복지학회 9 (9): 43-58, 2007

      26 차경호, "자아존중감 및 여가활동 참여와 주관적 행복감과의 관계" 2 (2): 27-38, 2004

      27 육근영, "자아 일관성과 주관적 안녕감자아 통제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9 (19): 47-65, 2006

      28 구현영, "일개 지역 청소년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아동간호학회 11 (11): 322-329, 2005

      29 류은숙, "인권을 외치다" 푸른숲 2009

      30 최현, "인권" 책세상 2008

      31 문선화, "아동의 삶의 질: 과거, 현재, 미래" 9 : 9-48, 2000

      32 최윤진, "아동의 권리와 청소년의 권리" 7 (7): 277-300, 2000

      33 강현아, "아동복지 종사자들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 소진 및 이직의도의 관계" 한국사회복지학회 60 (60): 107-127, 2008

      34 김현정,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자아존중감 및 우울,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한국건강심리학회 11 (11): 345-361, 2006

      35 박영숙, "대학생의 여가활동 유형과 생활만족도에 대한 분석" 17 : 21-30, 1999

      36 한국청소년개발원, "국제기준대비 한국 청소년의 인권수준 실태연구Ⅰ-청소년인권 지표 개발-"

      37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국제기준 대비 청소년인권 실태조사 연구Ⅱ"

      38 김주환,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39 문수백,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09

      40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19): 161-177, 2000

      41 Myers, D. G., "What is Happy?" 6 : 10-19, 1995

      42 Campbell, A, "The sense of well-being in America" MacGraw-Hill 1981

      43 Freeman, M. D. A, "The rights of children" Frauces Pinter 1983

      44 Dienier, E, "Subjective well-being" 95 : 542-575, 1984

      45 Peterson-Badali, "Studying Children's Perspectives on Self- Determination and Nurturance Rights: Issues and Challenges" 64 (64): 749-769, 2008

      46 Chaplin, "Please may I have a bike?Better yet, May I hug? An examination of children's adolescents' happiness" 10 (10): 541-562, 2009

      47 Helen Cheng, "Personality, peer relations, and self-confidence as predictors of happiness and loneliness" 25 (25): 327-340, 2002

      48 Helen Cheng, "Perceived parental rearing style, self-esteem and self-criticism as predictors of happiness" 5 (5): 1-21, 2003

      49 Esperanza Ochaita, "Need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s a basis for the justification of their rights" 9 : 313-337, 2001

      50 Marie Connolly, "Navigating human rights across the life course" 13 : 348-356, 2008

      51 곽금주, "KLSSA 검사에 의한 청소년기 삶의 만족도" 2 (2): 5-16, 1995

      52 Eysenck, M, "Happiness: Facts and Myths" LEA 1990

      53 Rebecca Raby, "Frustrated, Resigned, Outspoken: Students' Engagement with school Rules and some implications for Participatory citizenship" 16 : 77-89, 2008

      54 Campbell, "Does high self-esteem cause better performance, interpersonal success, hapiness or healthier life style?" 4 (4): 1-44, 2003

      55 Veenhoven, R, "Condition of happiness" Reidel 1984

      56 Rosenberg, M, "Conceiving the self" Basic Book 1979

      57 Katja Rask, "Adolescent subjective well-being and family dynamics" 129-139,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51 2.51 2.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84 2.89 3.162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