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다문화인(人)으로서 다문화강사들의 한국 다문화교육에 관한 의견을 통해 현행 다문화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미래 한국 사회에 다문화교육이 제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178407
2012
Korean
370
학술저널
1-17(17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다문화인(人)으로서 다문화강사들의 한국 다문화교육에 관한 의견을 통해 현행 다문화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미래 한국 사회에 다문화교육이 제대...
본 연구는 다문화인(人)으로서 다문화강사들의 한국 다문화교육에 관한 의견을 통해 현행 다문화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미래 한국 사회에 다문화교육이 제대로 정립할 수 있는 초석 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을 선택하였다. 다문화인(人)으로서의 다문화강사 3인과 라포(rapport) 형성을 위해 그들이 진행하는 다문화교육 현장 수업에 참여하였다. 면담법을 연구기법으로 하여 그들과의 심층면접을 진행했으며, 면담 내용을 토대로 자료수집을 하였다. 한국 다문화교육의 현황과 연구 참여자 3인 모두의 의견을 종합한 결과, 다문화인(人)으로서의 다문화강사 관점에서 분석한 한국 다문화교육의 문제점은 다문화교육의 실제와 다른 한국 사회의 현실 문제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교육의 개선 방안은 다문화교육의 내실화와 다문화교육 정책의 체계화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다문화교육의 문제 개선을 위한 과제로 배움의 기회들을 적극 활용하여 문화 차이에서 기인하는 갈등을 극복하고자 하는 여성결혼이민자 본인의 노력과 가족구성원들의 노력은 당연히 필요하며, 이들을 인정하고 함께하려는 한국 사회 일반구성원들의 의식 변화, 학생·교사·학부모들과 같은 교육당사자들의 협조와 이해 등 다양한 방면에서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다양성·지속성·일관성이 부족한 다문화교육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다문화적 자긍심과 성취의 전형이 될 수 있는 모델들을 발굴하여 이를 교육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더하여, 지금 여러 곳에서 진행 중인 ‘찾아가는 다문화교육’을 제도적으로 학교 교육(공교육 과정)에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추진하는 것도 다문화교육의 지속성을 위한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for Korea's multiculture education through the opinion of multiculture instructors as multiculturalists about Korea's multiculture education. As a research method for this study,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for Korea's multiculture education through the opinion of multiculture instructors as multiculturalists about Korea's multiculture education. As a research method for this study,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selected in order to empirically seek a research problem. After synthesizing the present status of Korea's multiculture education and the opinions of all three research participants, the following results could be obtained as for problems about Korea's multiculture education and improvement plans for Korea's multiculture education. The problems about Korea's multiculture education, which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e instructors as multiculturalists, were indicated to be the substance of multiculture education and the realistic problem about other Korean society. The improvement plans for Korea's multiculture education, which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e instructors as multiculturalists, were indicated to be the substantiation of multiculture education and the systematization of multiculture education policy.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made by synthesizing the above results. First, in order to overcome a conflict, which originates from cultural difference, by positively utilizing opportunities of learning as the task for improving problems about Korea's multiculture education, there is naturally a need of an effort in married immigrant women themselves and of an effort of family members. Second, as a method for improving multiculture education that is lacking in diversity·continuity· consistency, there is a need of suggesting this educationally by excavating models available for being a pattern of multicultural pride and achievement.
참고문헌 (Reference)
1 서덕희, "한국 다문화 연구의 특징과 한계- 국제결혼이주여성, 그리고 그 자녀에 관한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다문화통합연구소 3 (3): 5-32, 2010
2 오성배, "학습자관점의 다문화교육정책 탐색" 2010
3 출입국·외국인정책 본부,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4 신경림,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5 조영달, "제도 공간의 질적 연구 방법론" 교육과학사 2005
6 황정미, "이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지역사회 참여현황과 증진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9
7 신의현, "여성결혼이민자의 특성 및 교육프로그램 참여 특성과 사회적응의 관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8 고혜원, "여성결혼이민자의 취업지원 방안 : 언어‧문화 자원 활용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0
9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여성결혼이민자의 다문화자원을 활용한 일자리 10選"
10 조주연, "여성결혼이민자 다문화강사 양성 프로그램"
1 서덕희, "한국 다문화 연구의 특징과 한계- 국제결혼이주여성, 그리고 그 자녀에 관한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다문화통합연구소 3 (3): 5-32, 2010
2 오성배, "학습자관점의 다문화교육정책 탐색" 2010
3 출입국·외국인정책 본부,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4 신경림,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5 조영달, "제도 공간의 질적 연구 방법론" 교육과학사 2005
6 황정미, "이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지역사회 참여현황과 증진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9
7 신의현, "여성결혼이민자의 특성 및 교육프로그램 참여 특성과 사회적응의 관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8 고혜원, "여성결혼이민자의 취업지원 방안 : 언어‧문화 자원 활용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0
9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여성결혼이민자의 다문화자원을 활용한 일자리 10選"
10 조주연, "여성결혼이민자 다문화강사 양성 프로그램"
11 김이선, "여성 결혼이민자의 문화적 갈등 경험과 소통 증진을 위한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6
12 박성혁, "시·도교육청별 다문화교육사업 모니터링 및 성과분석" 교육과학기술부 2010
13 장미혜,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패러다임 구축(II) : 다문화 역량 증진을 위한 정책·사회적 실천 현황과 발전 현황"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8
14 이민정, "다문화인으로서의 다문화강사 관점에서 분석한 한국다문화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5 권미경, "다문화사회의 교육문화 과제 탐색 : 여성결혼이민자의 체험에 관한 질적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6
16 최충옥, "다문화교육의 이해" 양서원 2010
17 김선미, "다문화교육의 이해" 한국문화사 2008
18 모경환,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연수 프로그램" 9 : 62-72, 2007
19 최항석, "다문화교육에 관한 배움학적 접근" 2 (2): 47-59, 2010
20 서종남, "다문화교육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0
21 설동훈, "다문화가족의 중장기 전망 및 대책 연구 : 다문화가족의장래인구추계 및 사회·경제적 효과분석을 중심으로" 보건복지가족부 2009
22 이경수, "다문화 한국 사회에서의 교사연수" 54 : 1-12, 2007
23 김유나, "다문화 평생교육프로그램 강사의 역량모델 구축" 경북대학교 2010
24 민무숙, "다문화 전문인력 양성 현황과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9
25 김민환, "다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 경향과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10): 61-86, 2010
26 장인실, "다문화 교육(Multicultural Education)이 한국 교사 교육과정 개혁에 주는 시사점" 한국교육과정학회 21 (21): 409-431, 2003
27 모경환, "다문화 교사교육의 현황과 과제" 115-136, 2009
28 김혜순,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의 다문화사회 실험: 최근 다문화담론의 사회학" 한국사회학회 42 (42): 36-71, 2008
29 구은정, "결혼이주여성 다문화교육 강사양성 프로그램의 효과연구 : 대구 YMCA의 사례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산업·행정대학원 2010
30 김이선, "결혼이민자의 사회‧경제적 통합 진전을 위한 브릿지프로그램(Bridge Program)추진방안" 보건복지가족부 2008
31 여성가족부, "결혼 이민자 가족 실태조사 및 중장기 지원 정책 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2007
32 여성가족부, "2011년도 시행계획(안): 다문화가족지원정책기본계획(2010∼2012)"
스마트기기 애플리케이션의 다문화가정 아동 학습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환경친화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융합적 에코키즈 마인드 기르기
켈러의 동기이론 적용 문제중심수업을 통한 학습참여도 및 실천적 태도 신장
미래를 준비하는 책 읽기 프로그램 운영을 적용한 독서 습관 형성지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7-1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5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8 | 0.46 | 0.706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