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뇌성마비 학생과 비장애 학생 간의 성장 과정에 따른 체격 및 BMI 변화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뇌성마비 학생과 비장애 학생을 남녀 각각 20명으로 구분하여 초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386284
김동만 (Adjunct Professor, Shinheung College University)
2009
Korean
뇌성마비 ; 체격 ; 변화율 ; BMI ; cerebral palsy ; physical constitution ; change rate
338.3
KCI등재
학술저널
23-40(18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뇌성마비 학생과 비장애 학생 간의 성장 과정에 따른 체격 및 BMI 변화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뇌성마비 학생과 비장애 학생을 남녀 각각 20명으로 구분하여 초등...
본 연구는 뇌성마비 학생과 비장애 학생 간의 성장 과정에 따른 체격 및 BMI 변화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뇌성마비 학생과 비장애 학생을 남녀 각각 20명으로 구분하여 초등학교 1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성장 과정을 통하여 종단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뇌성마비 학생과 비장애 학생의 키, 체중, 가슴둘레, 앉은키와 BMI를 측정한 자료의 통계 처리는 SPSS/PC Version 12.0 Package를 이용하여 각 항목별 측정결과에 대한 평균(mean)과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를 산출하였다. 측정항목에 대한 집단 간 평균 차이는 독립 t-검정(Independent t-test)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뇌성마비 학생은 비장애 학생보다 모든 체격요소(키, 체중, 가슴둘레, 앉은키) 및 BMI의 변화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뇌성마비 학생은 비장애 학생보다 출생연도에 관계없이 키와 체중의 변화율 폭이 크며, BMI는 출생연도가 높아질수록 뇌성마비 학생과 비장애 학생의 변화율의 차이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 examined how the physical constitution and related BMI of children with or without cerebral palsy have changed during their growth process, in completing longitudinal study for respective 20 girls and boys in two groups of 1st to 6th grade of elemen...
I examined how the physical constitution and related BMI of children with or without cerebral palsy have changed during their growth process, in completing longitudinal study for respective 20 girls and boys in two groups of 1st to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realizing the analysis of statistical data treatment of each item measurement such as height, weight, chest circumstance, sitting height and BMI by SPSS/PC Version 12.0 Package, I got their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 difference in group average was analyzed based on Independent t-test. The analyt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 rate in all elements of physical constitution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height, weight, chest circumstance and sitting height) including BMI was low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second, there were wider fluctuation of height and weigh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an control group regardless of their age; and, finally the BMI in two groups was less changed in later born children.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의수, "특수체육과 장애인스포츠" 무지개사 2006
2 임용혁, "초등학생의 체격발육을 고려한 체력평가표 개발" 한국체육학회 44 (44): 897-911, 2005
3 최기호, "초등학생의 체격과 체력의 상관관계 연구" 2 (2): 77-88, 1999
4 임병규, "초등학생의 체격 · 체력지수와 건강생활습관에 의한 건강도 평가" 한국발육발달학회 12 (12): 17-28, 2004
5 임승현, "초등학생의 신체활동 경험이 신체적 자기개념과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32) : 527-536, 2008
6 김민정, "초등학생 비만관리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아동간호학회 13 (13): 257-264, 2007
7 오수일, "초등학교 비만아동을 대상으로 한 방과 후 비만관리 프로그램의 생활습관 및 신체활동량 평가" 한국운동영양학회 12 (12): 1-6, 2008
8 송영은, "초․중․고등학생 체격의 세대간 변화" 6 (6): 1-14, 2004
9 정병용, "청소년기 신체 체격의 연도별 변화에 관한 분석" 11 (11): 177-187, 1996
10 진행미, "장애학생의 장애유형별 과체중과 비만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체육학회 18 (18): 1-10, 2004
1 김의수, "특수체육과 장애인스포츠" 무지개사 2006
2 임용혁, "초등학생의 체격발육을 고려한 체력평가표 개발" 한국체육학회 44 (44): 897-911, 2005
3 최기호, "초등학생의 체격과 체력의 상관관계 연구" 2 (2): 77-88, 1999
4 임병규, "초등학생의 체격 · 체력지수와 건강생활습관에 의한 건강도 평가" 한국발육발달학회 12 (12): 17-28, 2004
5 임승현, "초등학생의 신체활동 경험이 신체적 자기개념과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32) : 527-536, 2008
6 김민정, "초등학생 비만관리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아동간호학회 13 (13): 257-264, 2007
7 오수일, "초등학교 비만아동을 대상으로 한 방과 후 비만관리 프로그램의 생활습관 및 신체활동량 평가" 한국운동영양학회 12 (12): 1-6, 2008
8 송영은, "초․중․고등학생 체격의 세대간 변화" 6 (6): 1-14, 2004
9 정병용, "청소년기 신체 체격의 연도별 변화에 관한 분석" 11 (11): 177-187, 1996
10 진행미, "장애학생의 장애유형별 과체중과 비만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체육학회 18 (18): 1-10, 2004
11 홍양자, "장애인을 위한 특수체육" 도서출판 21세기교육사 2004
12 김도호,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중등도 정신지체아동의 신체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6 (46): 593-606, 2007
13 김광호, "섭식(攝食)형태가 뇌성마비 학생의 체격과 체지방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 21 (21): 45-55, 2007
14 홍용화, "보치아 운동이 뇌성마비 초등학생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50 (50): 221-234, 2007
15 최민동, "남자 초등학생의 체격지수와 운동능력의 관련성" 한국발육발달학회 14 (14): 217-231, 2006
16 Patricia D.Miller, "Fitness programming and physical disability" Human Kinetics 1995
17 Kevin F. Lockette, "Conditioning with physical disability" Human Kinetics 1994
18 Robert D. Steadward, "Adapted physical disability"
국민기초생활보장 비수급 빈곤 장애인 가구의 규모 추정 및 생활실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7-09-2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Rehabilitation of Persons Disabilies -> Rehabilitation Research Institute affiliated with RI Korea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12-18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Mycobiology -> 재활복지외국어명 : Mycobiology ->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 | 1.1 | 1.1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8 | 1.17 | 1.537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