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자인교육에서 평가방법이 창의적 인지과정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Assessment Methods on Creative Cognitive Processes in Design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6976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nd Purpose) In design education, as creativity is not clearly measured, assessment has not been the subject of considerable research. Moreover, design education adopts assessment methods from other education fields such as science, engine...

      (Background and Purpose) In design education, as creativity is not clearly measured, assessment has not been the subject of considerable research. Moreover, design education adopts assessment methods from other education fields such as science, engineering, and even literature. Design practice is quite different as well and involves both creativity and crafting skills. As in other studio classes, final outcomes are used as the main measure of learning in current assessment. These are guided by teachers’ feedback for learners to reach outcomes. The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the current method of assessment would help creativity. The research question considered which assessment method is appropriate for basic design education. The purpose was to compare the summative assessments representing the current method to the revised formative assessments focused on cognitive creative skills. The revised formative assessment involves giving feedback with grading on the four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creativity and other design processes. In other words, it compares the former, in which the final outcomes receive grades, and the latter, with grading of each design process, including creative cognition. (Method) A case study was conducted with 200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design school at a single universit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received the summative assessment and the other the revised formative assessment with grading. Both groups received verbal feedback on the four creative cognitive processes. The data included 200 students’ surveys and 11 students’ in-depth interviews. The survey comprised 17 questions on a four-point rating scale and three open-ended questions. The in-depth interview focused on two questions: 1) the effect of the revised formative assessment on concept generation and 2) the effect of the revised formative assessment on final outcomes. (Results) The independent t-test compared the means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assessment on creativity. Moreov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hree creative cognitive processes, “Digging Deeper into Ideas,” “Openness and Courage to Explore Ideas,” and “Listening to One’s Inner Voice.” In the interview, the revised formative assessment with grading helped to communicate and manage resources efficiently but created ideation pressure. (Conclusions)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different assessment methods are needed for each creative cognitive process; 2) the feedback assessment must be supplemented to communicate it clearly; and 3) assessment in design education must be more sophisticated and systemati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디자인교육에서 평가는 창의성과 예술성이라는 정량화하기 어려운 요소들 덕분에 연구가 활발하지 못하다. 그러나 이런 요소뿐만 아니라, 수업진행 과정도 타 분야와 다...

      (연구배경 및 목적) 디자인교육에서 평가는 창의성과 예술성이라는 정량화하기 어려운 요소들 덕분에 연구가 활발하지 못하다. 그러나 이런 요소뿐만 아니라, 수업진행 과정도 타 분야와 다르기에 일반적 평가와 차이가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평가방법이 창의성에 도움을 주는가라는 의문에서 시작되었고, 구체적으로 기초디자인 교육에 적합한 평가방법이 무엇이냐는 연구문제에 도달했다. 그동안 결과에 중점을 두었던 평가에서 벗어나 과정 평가가 창의적 인지과정에 도움이 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사례조사이다. 현재의 평가방법은 수업 과정 중 피드백을 주며 최종 디자인 결과물을 보고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아트웍의 평가는 최종 결과물로 진행해왔다. 본 연구는 단계별 평가가 디자인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창의적 인지 과정에서 단계별 평가가 영향을 미치는지에 집중했다. (연구방법) 기초디자인을 학습하는 학부생 200명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은 기존의 평가방법인 최종 결과물을 보고 등급평가를 하였고, 다른 한 그룹은 수업과정 단계마다 등급평가를 진행하고 이를 학생에게 알려주었다. 단계별 평가는 창의적 인지 과정인 4가지 단계에서의 평가와 디자인 시각화 작업과정 3단계마다 평가를 진행했다. 즉, 단계마다 피드백과 점수화된 평가를 같이 진행하였다. 최종 수업을 마치고 두 그룹의 평가가 창의적 인지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설문조사 하여 두 그룹의 응답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통계적 분석에 이어 인터뷰를 통해 정성적인 내용을 들여다보았다. 설문에 참여한 학생 중 11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수행했다. (결과) 평가방법이 두 집단에서 창의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창의적 인지과정 4단계 중 3단계인“깊이생각하기”, “아이디어 확산”, “내면의집중”과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단계별 평가가 창의적 사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뷰를 통해서 단계별 평가가 컨셉트 도출에 미치는 역할은 명확한 의사전달, 효율적 자원관리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심리적 부담이다. (결론) 본 연구가 주는 시사점은 1)창의적 인지과정의 특징에 따라 다른 방식의 평가를 적용하면 학습자의 창의성 발휘에 도움이 되며, 2)구두 피드백을 위한 명확한 의사전달 방법이 필요하며, 3)잘 짜여진 구조와 평가 시스템이 교육에 효율성을 향상하게 시킬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아이스너, E.W, "새로운 눈으로 보는 미술교육" 도서출판 예경 1999

      2 이도영, "교육과정별 학습목표 기반 설계과제 운영 및 평가방식 탐색" 대한건축학회 24 (24): 73-84, 2008

      3 Ericsson, K. A., "The role of deliberate practice in the acquisition of expert performance" 100 (100): 363-406, 1993

      4 Kvan, T, "The Problem in Studio Teaching - Revisiting the Pedagogy of Studio Teaching"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95-105, 2001

      5 MacGilchrist, B., "The Interlligent School" SAGE Publications Ltd 2004

      6 Gibbs, N, "The EQ factor"

      7 Boud, D, "Rethinking Assessment for Higher Education: Learning for the Longer Term" Routledge 14-25, 2007

      8 강주희, "Ner SPSS프로그램을 활용한 따라하는 통계분석" 크라운출판사 2011

      9 Taylor, MJ, "Juggling Cats:Investigating Effective Verbal Feedback in Graphic Design Critiques" 2004

      10 Haanstra, F.,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in arts education" Springer 427-444, 2007

      1 아이스너, E.W, "새로운 눈으로 보는 미술교육" 도서출판 예경 1999

      2 이도영, "교육과정별 학습목표 기반 설계과제 운영 및 평가방식 탐색" 대한건축학회 24 (24): 73-84, 2008

      3 Ericsson, K. A., "The role of deliberate practice in the acquisition of expert performance" 100 (100): 363-406, 1993

      4 Kvan, T, "The Problem in Studio Teaching - Revisiting the Pedagogy of Studio Teaching"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95-105, 2001

      5 MacGilchrist, B., "The Interlligent School" SAGE Publications Ltd 2004

      6 Gibbs, N, "The EQ factor"

      7 Boud, D, "Rethinking Assessment for Higher Education: Learning for the Longer Term" Routledge 14-25, 2007

      8 강주희, "Ner SPSS프로그램을 활용한 따라하는 통계분석" 크라운출판사 2011

      9 Taylor, MJ, "Juggling Cats:Investigating Effective Verbal Feedback in Graphic Design Critiques" 2004

      10 Haanstra, F.,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in arts education" Springer 427-444, 2007

      11 Black, P., "Developing the theory of formative assessment" 21 : 5-, 2009

      12 Dewulf, S, "CASE Creativity in Art Science and Engineering: How to Foster Creativity" 1999

      13 Cowdroy, R., "Assessing highly-creative ability" 30 (30): 507-518, 2005

      14 Treffinger, D. J., "Assessing Creativity: A Guide for Educators"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ed 2002

      15 Woodman, R. W., "An interactionist model of creative behavior" 24 (24): 10-20, 19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Intitute of the spatial design -> Journal of Korea Intitute of Spatial Design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2 0.69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