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그래픽 계산기를 통한 방정식과 함수의 상관관계 이해 =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Link Between Linear Equations And Functions By Using Multi-Representation of Graphics Calculat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485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seems that the understanding of an equation for many students originate from the beginning with an operation of the simple symbolic representation. Up to the present curriculum, the function unit including graph seems to be taught to students having no relevance to the equation unit which had been taught previous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let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never been used graphics calculator will be able to understand an equation using the various way of representation with an algebraic representation, table and graph. As a result, there has been known that not only graphics calculator make a deep link in domain which is related to each other but also the response of students is positive. Graphics calculators’ value make teacher explicit these linkages, and educationally more in-depth teaching by enabling the fundamental essence can be a conceptual relationship of mathematics conceptual structure of the nature of the schema at the centre of the put that you can have. Approach using a graphics calculator using the students ‘conceptual schema’ and ‘numerical calculations that use only the symbol-oriented knowledge’ can be made to connect the hooks on that one can be that there is significant.
      번역하기

      It seems that the understanding of an equation for many students originate from the beginning with an operation of the simple symbolic representation. Up to the present curriculum, the function unit including graph seems to be taught to students havin...

      It seems that the understanding of an equation for many students originate from the beginning with an operation of the simple symbolic representation. Up to the present curriculum, the function unit including graph seems to be taught to students having no relevance to the equation unit which had been taught previous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let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never been used graphics calculator will be able to understand an equation using the various way of representation with an algebraic representation, table and graph. As a result, there has been known that not only graphics calculator make a deep link in domain which is related to each other but also the response of students is positive. Graphics calculators’ value make teacher explicit these linkages, and educationally more in-depth teaching by enabling the fundamental essence can be a conceptual relationship of mathematics conceptual structure of the nature of the schema at the centre of the put that you can have. Approach using a graphics calculator using the students ‘conceptual schema’ and ‘numerical calculations that use only the symbol-oriented knowledge’ can be made to connect the hooks on that one can be that there is significa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방정식에 대한 많은 학생들의 이해는 단순한 기호적인 표현의 조작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교육 과정에서는 학생들이 방정식단원 후에 공부하는 그래프가 포함된 함수 단원이 앞서 공부했던 방정식과는 서로간의 연결 고리 없이 지도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그래픽 계산기를 한 번도 사용해 본적이 없는 중학교 학생들로 하여금 대수적 표현, 표, 그래프를 사용하여 다양한 표현 방법으로 방정식을 이해하도록 하는데 있다. 그 결과로서 그래픽 계산기가 각각의 관련성 있는 도메인에서 깊이 있는 연결고리를 만들어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학생들의 반응 또한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그래픽 계산기의 가치는 교사로 하여금 이러한 연결고리를 명확하게 하며, 교육적으로 더욱 깊이 있는 지도를 가능하게 하여 바탕 그림이 될 수 있는 개념적 관계와 수학의 개념적 구조의 본질을 스키마의 중심에 놓이게 한다고 볼 수 있다. 그래픽 계산기를 이용한 접근방식을 사용함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개념적인 스키마’와 ‘수치적 기호만을 사용하는 계산위주의 지식’을 연결하는 연결고리를 만들 수 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방정식에 대한 많은 학생들의 이해는 단순한 기호적인 표현의 조작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교육 과정에서는 학생들이 방정식단원 후에 공부하는 그래프가 포함된 함수 단...

      방정식에 대한 많은 학생들의 이해는 단순한 기호적인 표현의 조작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교육 과정에서는 학생들이 방정식단원 후에 공부하는 그래프가 포함된 함수 단원이 앞서 공부했던 방정식과는 서로간의 연결 고리 없이 지도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그래픽 계산기를 한 번도 사용해 본적이 없는 중학교 학생들로 하여금 대수적 표현, 표, 그래프를 사용하여 다양한 표현 방법으로 방정식을 이해하도록 하는데 있다. 그 결과로서 그래픽 계산기가 각각의 관련성 있는 도메인에서 깊이 있는 연결고리를 만들어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학생들의 반응 또한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그래픽 계산기의 가치는 교사로 하여금 이러한 연결고리를 명확하게 하며, 교육적으로 더욱 깊이 있는 지도를 가능하게 하여 바탕 그림이 될 수 있는 개념적 관계와 수학의 개념적 구조의 본질을 스키마의 중심에 놓이게 한다고 볼 수 있다. 그래픽 계산기를 이용한 접근방식을 사용함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개념적인 스키마’와 ‘수치적 기호만을 사용하는 계산위주의 지식’을 연결하는 연결고리를 만들 수 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울교육대학교. 한국과학창의재단 2011

      2 김도한, "창의 중심의 미래형 수학과 교육과정 모형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09

      3 황선욱, "창의 중심의 미래형 수학과 교과내용 개선 및 교육과정 개정 시안" 한국과학창의재단 2011

      4 황우형, "그래픽 계산기 활용의 실제-함수의 그래프와 방정식의 해를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 105-122, 1996

      5 Tall, D. O., "What is the object of the encapsulation of a process?" 18 (18): 1-19, 1999

      6 Hopkins, M. H., "The use of calculators in the assessment of mathematics achievement, In Calculators in Mathematics Education 1992 Yearbook"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45-157, 1992

      7 Greer, B., "The role of isomorphisms in mathematical cognition" 17 (17): 5-24, 1998

      8 Kissane, B., "The importance of being accessible: The graphics calculator in mathematics education" The Association of Mathematics Educators 161-170, 1995

      9 Sweller, J., "The Worked Example Effect and Human Cognition" 12 : 165-169, 2006

      10 Kaput, J., "Technology and mathematics education"

      1 서울교육대학교. 한국과학창의재단 2011

      2 김도한, "창의 중심의 미래형 수학과 교육과정 모형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09

      3 황선욱, "창의 중심의 미래형 수학과 교과내용 개선 및 교육과정 개정 시안" 한국과학창의재단 2011

      4 황우형, "그래픽 계산기 활용의 실제-함수의 그래프와 방정식의 해를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 105-122, 1996

      5 Tall, D. O., "What is the object of the encapsulation of a process?" 18 (18): 1-19, 1999

      6 Hopkins, M. H., "The use of calculators in the assessment of mathematics achievement, In Calculators in Mathematics Education 1992 Yearbook"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45-157, 1992

      7 Greer, B., "The role of isomorphisms in mathematical cognition" 17 (17): 5-24, 1998

      8 Kissane, B., "The importance of being accessible: The graphics calculator in mathematics education" The Association of Mathematics Educators 161-170, 1995

      9 Sweller, J., "The Worked Example Effect and Human Cognition" 12 : 165-169, 2006

      10 Kaput, J., "Technology and mathematics education"

      11 Cangelosi, J. S., "Teaching Mathematics in Secondary and Middle School: An Interactive Approach(3rd Ed.)" Merrill/Prentice Hall 2003

      12 Duncan, A. G., "Teachers’Views on Dynamically Linked Multiple Representations and Multiple Representations and Representations and Relational Understanding of Mathematics An Investigation into The Use of TI-Nspire in Scottish Secondary Schools: School of Education Research Report" Published by University of Aberdeen 2010

      13 Thomas, M. O. J., "Representations as conceptual tools: process and structural perspectives" 257-264, 2001

      14 Kaput, J., "Representation systems and mathematics, In Problems of Representation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Lawrence Erlbaum 19-26, 1987

      15 Skemp, R. R., "Relational Understanding and Instrumental Understanding" 77 : 20-26, 1976

      16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89

      17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18 Skemp, R. R., "PMP: A progress report" 447-452, 1985

      19 Hoyles, C., "Mathematics Education and Technology—Rethinking The Terrain" Springer 2010

      20 Atrigue, M., "Learning mathematics in a CAS environment : the genesis of a reflection about instrumentation and the dialectics between technical and conceptual work" 7 (7): 245-274, 2002

      21 Skemp, R. R., "Intelligence, Learning and Action - A Foundation For Theory And Practice In Education" Wiley 1979

      22 Thomas, M. O. J., "Computers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A survey" 556-563, 1996

      23 Pass, F., "Cognitive load measurement as a means to advance cognitive load theory" 38 : 63-71, 2003

      24 황혜정, "2011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3 1.544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