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과표현실화가 주택관련 재산세의 가구특성별 세부담 및 지역별 세수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Housing Property Tax Base Rationalization on the Tax Burden by Household Characteristic and the Tax Revenue by Region in Kore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가구특성별 재산세 추정을 통해 과표현실화가 가구특성별 세부담 및 지역별 세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정부의 보유세 인상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 과표현실화 방안은 공정시장가액비율의 폐지하는 방안(시나리오1), 공시가격에 대한 실거래가반영률을 100%로 하는 방안(시나리오2), 두 가지를 동시에 적용하는 방안(시나리오3)으로 구분하며, 가구특성은 가구주 연령ㆍ가구원 수ㆍ주택유형ㆍ지역으로 구분한다. 분석자료로는 2016년도 주거실태조사와 장래가구추계를 사용한다. 본 연구의 분석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우선 수정된 Mankiw-Weil 모형으로 가구특성별 주거면적(주택수요) 추정 후, 여기에 전용면적당 가격을 추정하여 곱하는 방식으로 가구특성별 주택가격을 산정한다. 주택가격에 실거래가반영률과 공정시장가액비율을 곱하여 과표를 산정하고 여기에 세율을 곱하여 가구특성별 재산세액을 산정한다. 지역별 재산세 세수는 가구특성별 재산세액과 이에 대응하는 지역별 가구 수를 곱하여 합산하는 방식으로 산정한다. 마지막으로 과표현실화 전과 후에 도출된 값들을 비교하여 과표현실화가 재산세 세부담 및 세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연구결과 정부의 과표현실화 정책 방향의 우선순위가 담세력이 높을수록 세부담을 높이는 것과 보다 많은 재산세 세수를 확충하는 것에 있다면 공정시장가액비율을 현실화하는 방안을 우선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다만, 이 경우 상대적으로 수도권과 광역시 등 지방세 세수가 풍부한 지역에서 더 크게 세수가 증가하게 되므로 지역 간 세수 격차가 심화 될 수 있다. 반면, 우선순위가 납세자 간의 조세 불형평성 해소와 장기적인 재산세 세수증대 등에 있다면 실거래가반영률을 현실화하는 방안을 우선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다만, 이 경우 상대적으로 담세력이 낮은 납세자의 세부담이 더욱 크게 증가 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현행 누진세율체계로 인해 정부는 더 많은 재산세 세수를 확보할 수 있으나, 납세자 간 조세 불형평성 및 지역 간 세수 격차는 심화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가구특성별 재산세 추정을 통해 과표현실화가 가구특성별 세부담 및 지역별 세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정부의 보유세 인상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

      본 연구는 가구특성별 재산세 추정을 통해 과표현실화가 가구특성별 세부담 및 지역별 세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정부의 보유세 인상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 과표현실화 방안은 공정시장가액비율의 폐지하는 방안(시나리오1), 공시가격에 대한 실거래가반영률을 100%로 하는 방안(시나리오2), 두 가지를 동시에 적용하는 방안(시나리오3)으로 구분하며, 가구특성은 가구주 연령ㆍ가구원 수ㆍ주택유형ㆍ지역으로 구분한다. 분석자료로는 2016년도 주거실태조사와 장래가구추계를 사용한다. 본 연구의 분석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우선 수정된 Mankiw-Weil 모형으로 가구특성별 주거면적(주택수요) 추정 후, 여기에 전용면적당 가격을 추정하여 곱하는 방식으로 가구특성별 주택가격을 산정한다. 주택가격에 실거래가반영률과 공정시장가액비율을 곱하여 과표를 산정하고 여기에 세율을 곱하여 가구특성별 재산세액을 산정한다. 지역별 재산세 세수는 가구특성별 재산세액과 이에 대응하는 지역별 가구 수를 곱하여 합산하는 방식으로 산정한다. 마지막으로 과표현실화 전과 후에 도출된 값들을 비교하여 과표현실화가 재산세 세부담 및 세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연구결과 정부의 과표현실화 정책 방향의 우선순위가 담세력이 높을수록 세부담을 높이는 것과 보다 많은 재산세 세수를 확충하는 것에 있다면 공정시장가액비율을 현실화하는 방안을 우선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다만, 이 경우 상대적으로 수도권과 광역시 등 지방세 세수가 풍부한 지역에서 더 크게 세수가 증가하게 되므로 지역 간 세수 격차가 심화 될 수 있다. 반면, 우선순위가 납세자 간의 조세 불형평성 해소와 장기적인 재산세 세수증대 등에 있다면 실거래가반영률을 현실화하는 방안을 우선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다만, 이 경우 상대적으로 담세력이 낮은 납세자의 세부담이 더욱 크게 증가 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현행 누진세율체계로 인해 정부는 더 많은 재산세 세수를 확보할 수 있으나, 납세자 간 조세 불형평성 및 지역 간 세수 격차는 심화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rationalization of housing property tax base on the tax burden by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tax revenues by region through estimation of housing property tax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policy of property tax increase. This paper provides three options of the rationalization: abolishing fair market value ration(Scenario1), reflecting 100% market value on housing declared value ratio(Scenario2) and applying the two methods at the same time(Scenario3).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usehold are classified into the age of the household head,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the type of housing and the region in this study. Korea Housing Survey and Household Projection data are used for the analysis. The process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estimate the housing demand through the modified Mankiw-Weil model and the price per unit area by the characteristic, then calculate the housing price through multiplying the demand by the unit price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 calculate the tax base through multiplying both housing declared value ratio and fair market value ratio by the housing price; calculate the tax amount by the characteristic through multiplying the base by corresponding tax rate to the base; calculate housing property tax revenues by region through multiplying the tax amount by the number of household in each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 and adding them up; and finally simulate the effect of the rationalization on the housing property tax amount and revenue by comparing them before and after the rationaliz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can be said that the government is better to use the Scenario1 option if it intends to increase the burden to the taxpayers who seem to have more taxable capacity and to raise more tax revenue. The regional tax revenue gap, however, can be deepen in this case because the revenue will increase more in regions where the local tax revenue is relatively rich such as capital area and metropolitan cities. On the other hand. the government is better to use the Scenario2 option if it intends to eliminate tax unfairness among taxpayers, to increase long-term tax revenue without widening the tax revenue gap between regions. However, in this case, the tax burden of taxpayers with relatively low taxable capacity may increase even more.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current progressive property tax system can secure more property tax revenue when the rationalization is implemented, but the taxpayer unfairness and regional tax revenue gap can be more deepen due to the progressive system.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rationalization of housing property tax base on the tax burden by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tax revenues by region through estimation of housing property tax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policy of property ta...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rationalization of housing property tax base on the tax burden by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tax revenues by region through estimation of housing property tax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policy of property tax increase. This paper provides three options of the rationalization: abolishing fair market value ration(Scenario1), reflecting 100% market value on housing declared value ratio(Scenario2) and applying the two methods at the same time(Scenario3).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usehold are classified into the age of the household head,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the type of housing and the region in this study. Korea Housing Survey and Household Projection data are used for the analysis. The process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estimate the housing demand through the modified Mankiw-Weil model and the price per unit area by the characteristic, then calculate the housing price through multiplying the demand by the unit price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 calculate the tax base through multiplying both housing declared value ratio and fair market value ratio by the housing price; calculate the tax amount by the characteristic through multiplying the base by corresponding tax rate to the base; calculate housing property tax revenues by region through multiplying the tax amount by the number of household in each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 and adding them up; and finally simulate the effect of the rationalization on the housing property tax amount and revenue by comparing them before and after the rationaliz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can be said that the government is better to use the Scenario1 option if it intends to increase the burden to the taxpayers who seem to have more taxable capacity and to raise more tax revenue. The regional tax revenue gap, however, can be deepen in this case because the revenue will increase more in regions where the local tax revenue is relatively rich such as capital area and metropolitan cities. On the other hand. the government is better to use the Scenario2 option if it intends to eliminate tax unfairness among taxpayers, to increase long-term tax revenue without widening the tax revenue gap between regions. However, in this case, the tax burden of taxpayers with relatively low taxable capacity may increase even more.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current progressive property tax system can secure more property tax revenue when the rationalization is implemented, but the taxpayer unfairness and regional tax revenue gap can be more deepen due to the progressive syste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명찬, "지방재정력 강화를 위한 과표현실화 및 재산세 부과의 형평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 5 (5): 45-63, 1993

      2 진미윤, "중장기(2013~2030)주택수요 전망 연구-세대특성별 주택수요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3

      3 한국감정원, "주택종합 전월세전환율"

      4 하성규, "주택정책론" 박영사 2010

      5 방송희, "주택시장과 주택금융의 관계 분석 및 중장기 주택금융 수요추정" 한국주택학회 353-366, 2016

      6 국토교통부, "주거실태조사"

      7 통계청, "장래가구추계, 각 연도"

      8 정의철,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장기주택수요 전망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0 (40): 37-46, 2005

      9 이형주, "인구 및 가구구조 변화에 따른 주택수요 추정연구-수도권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 2010

      10 통계청, "유형별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 비율"

      1 황명찬, "지방재정력 강화를 위한 과표현실화 및 재산세 부과의 형평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 5 (5): 45-63, 1993

      2 진미윤, "중장기(2013~2030)주택수요 전망 연구-세대특성별 주택수요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3

      3 한국감정원, "주택종합 전월세전환율"

      4 하성규, "주택정책론" 박영사 2010

      5 방송희, "주택시장과 주택금융의 관계 분석 및 중장기 주택금융 수요추정" 한국주택학회 353-366, 2016

      6 국토교통부, "주거실태조사"

      7 통계청, "장래가구추계, 각 연도"

      8 정의철,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장기주택수요 전망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0 (40): 37-46, 2005

      9 이형주, "인구 및 가구구조 변화에 따른 주택수요 추정연구-수도권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 2010

      10 통계청, "유형별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 비율"

      11 김주원, "소형가구 연령대별 주택수요 특성 분석" 한국주택학회 19 (19): 123-150, 2011

      12 김미경, "세대(탄생코호트)효과를 고려한 실용적 장기 주택수요추정"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9 (49): 35-48, 2014

      13 박 준, "부동산보유세 변화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연구" 국토연구원 2014

      14 양승철, "부동산공시가격의 불형평성의 실태와 문제점"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13

      15 박준, "부동산공시가격 현실화에 따른 지방재정 파급효과 분석" 국토연구원 85 : 137-156, 2015

      16 박 준, "부동산공시가격 조정이 지방재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2015

      17 조선비즈, "보유세 인상 수위 조절?...조세개혁특위에 기재부 당연직 포함 논의"

      18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19 허등용, "가구구조 변화가 주택관련 재산세 세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방세연구원 2018

      20 Mankiw, Gregory N., "The Baby Boom, the Baby Bust, and the Housing Market" 19 : 1989

      21 OECD, "Tax Policy Reform and Economic Growth" OECD publishing (20) : 2010

      22 Goodman, Allen C., "Permanent Income, Hedonic Prices and Demand for Housing: New Evidence" 12 (12): 1982

      23 Swan, Craig, "Demography and the Demand for Housing A Reinterpretation of the Mankiw-Weil Demand Variable" 25 (25): 1995

      24 Mankiw, Gregory N., "Consumer Durables and the Real Interest Rates" 67 : 353-362,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Public Financ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2-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재정학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2008-01-01 평가 학술지 통합 (기타)
      2007-05-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 한국재정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Finance And Economics -> The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Finan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1 1.582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