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전기투석용 bipolar 막을 이용한 하밀감 및 당유자 주스의 품질개선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7541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산성 감귤 주스에 속하는 하밀감과 당유자 주스를 bipolar 막으로 100분 전기투석하여 품질변화를 조사하였고, 하밀감 시료에 하여서는 일반적으로 탈산용으로 사용되는 유기산 선택성 막과 비교분석하였다. Bipolar 막 장착 후 전기투석하였을 때 pH는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유기산 선택성 막을 사용하였을 때는 투석 후 거의 pH가 변하지 않았다. 총산도는 유기산 선택성 막을 사용하여 전기투석 후 하밀감 시료인 경우 약 70.0% 감소하였고, bipolar 막은 약 57.2% 감소하였다. 가용성고형분은 모든 시료에서 약 10% 정도 감소하였다. 전기전도도는 유기산 선택성 막을 이용한 경우에는 3.2에서 0.9까지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bipolar 막은 반대로 하밀감, 당유자 주스에서 약 24.6, 20.9%의 전기전도도가 상승하는 결과를 보였다. 당산비가 100분 투석 후 약 1.4-2.0배 증가하였다. 유리당, 플라보노이드는 사용된 투석막 차이에 대한 전기투석 전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유기산은 함량은 투석 후 상당히 감소하였다. 유기산 선택성 막, Na<SUB>2</SUB>SO<SUB>4</SUB> 전극액으로 전기투석 시 potassium 및 sodium의 급격한 함량 변화가 있었으나, bipolar막, K<SUB>2</SUB>SO<SUB>4</SUB> 전극액으로 전기투석에 의하여 이온 함량 변화가 거의 없는 주스 생산이 가능했다.
      총폴리페놀 함량, 전자공여 작용 및 아질산염 소거능 등 항산화 효과에 대한 영향은 전기투석 후 약간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관능검사 결과 bipolar 막을 사용하여 전기투석한 시료가 기호도가 좋았으며, 이 투석 주스에 가당한 시료가 맛과 종합적 기호도에서 가장 평점이 높았다.
      번역하기

      고산성 감귤 주스에 속하는 하밀감과 당유자 주스를 bipolar 막으로 100분 전기투석하여 품질변화를 조사하였고, 하밀감 시료에 하여서는 일반적으로 탈산용으로 사용되는 유기산 선택성 막과...

      고산성 감귤 주스에 속하는 하밀감과 당유자 주스를 bipolar 막으로 100분 전기투석하여 품질변화를 조사하였고, 하밀감 시료에 하여서는 일반적으로 탈산용으로 사용되는 유기산 선택성 막과 비교분석하였다. Bipolar 막 장착 후 전기투석하였을 때 pH는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유기산 선택성 막을 사용하였을 때는 투석 후 거의 pH가 변하지 않았다. 총산도는 유기산 선택성 막을 사용하여 전기투석 후 하밀감 시료인 경우 약 70.0% 감소하였고, bipolar 막은 약 57.2% 감소하였다. 가용성고형분은 모든 시료에서 약 10% 정도 감소하였다. 전기전도도는 유기산 선택성 막을 이용한 경우에는 3.2에서 0.9까지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bipolar 막은 반대로 하밀감, 당유자 주스에서 약 24.6, 20.9%의 전기전도도가 상승하는 결과를 보였다. 당산비가 100분 투석 후 약 1.4-2.0배 증가하였다. 유리당, 플라보노이드는 사용된 투석막 차이에 대한 전기투석 전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유기산은 함량은 투석 후 상당히 감소하였다. 유기산 선택성 막, Na<SUB>2</SUB>SO<SUB>4</SUB> 전극액으로 전기투석 시 potassium 및 sodium의 급격한 함량 변화가 있었으나, bipolar막, K<SUB>2</SUB>SO<SUB>4</SUB> 전극액으로 전기투석에 의하여 이온 함량 변화가 거의 없는 주스 생산이 가능했다.
      총폴리페놀 함량, 전자공여 작용 및 아질산염 소거능 등 항산화 효과에 대한 영향은 전기투석 후 약간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관능검사 결과 bipolar 막을 사용하여 전기투석한 시료가 기호도가 좋았으며, 이 투석 주스에 가당한 시료가 맛과 종합적 기호도에서 가장 평점이 높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idic citrus juices obtained from C. natsudaidai and C. grandis were electrodialyzed with bipolar and organic acid selective membrane (ion exchange membrane) cartridges. The pH levels of the acidic citrus juices gradually increased to 14.5% (C. grandis) and 25.2% (C. natsudaidai) by electrodialysis with the bipolar membranes, while levels remained consistent when organic acid selective membranes were applied. The total acidity levels decreased more with the organic selective membrane than with the bipolar membrane. Conductivity rose with the bipolar membranes while the value continued to fall rapidly with the organic selective membranes. Sugar and flavonoid contents remained relatively unchanged, without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electrodialysis with each membrane. Also, ion contents were almost unchanged with the bipolar membranes and the electrolyte, K2SO4, as compared to rapid changes in sodium and potassium levels with the organic selective membranes and the electrolyte, K2SO4. In summary, the use of bipolar membranes provided juice with better sensory quality than that of the organic acid selective membranes.
      번역하기

      Acidic citrus juices obtained from C. natsudaidai and C. grandis were electrodialyzed with bipolar and organic acid selective membrane (ion exchange membrane) cartridges. The pH levels of the acidic citrus juices gradually increased to 14.5% (C. grand...

      Acidic citrus juices obtained from C. natsudaidai and C. grandis were electrodialyzed with bipolar and organic acid selective membrane (ion exchange membrane) cartridges. The pH levels of the acidic citrus juices gradually increased to 14.5% (C. grandis) and 25.2% (C. natsudaidai) by electrodialysis with the bipolar membranes, while levels remained consistent when organic acid selective membranes were applied. The total acidity levels decreased more with the organic selective membrane than with the bipolar membrane. Conductivity rose with the bipolar membranes while the value continued to fall rapidly with the organic selective membranes. Sugar and flavonoid contents remained relatively unchanged, without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electrodialysis with each membrane. Also, ion contents were almost unchanged with the bipolar membranes and the electrolyte, K2SO4, as compared to rapid changes in sodium and potassium levels with the organic selective membranes and the electrolyte, K2SO4. In summary, the use of bipolar membranes provided juice with better sensory quality than that of the organic acid selective membran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o WJ, "Studies on deacidification of premature citrus juices by electrodialysis" 38 : 202-208, 2006

      2 Kang MH, "Relationship on ionic conductivity and ionic permeability through polymer membrane" 6 : 328-331, 2002

      3 Satoru K, "Quantitation of flavonoid constituents in citrus fruit" 47 : 3565-3571, 1999

      4 Song EY, "Quality characteristics of citrus fruits according to harvest date and variety" Cheju National University, Cheju, Korea 1997

      5 Kim KT, "Quality changes and pasteurization effects of citrus fruit juice by high voltage pulsed electric fields (PEF) treatment" 35 : 635-641, 2003

      6 Lee CH, "HPLC analysis of some flavonoids in citrus fruits" 4 : 181-187, 1997

      7 Song EY, "Free sugar, organic acid, hesperidin, naringin, and inorganic elements changes of Cheju citrus fruits according to harvest date" 30 : 306-312, 1998

      8 Tronc J, "Enzymatic browning inhibition in cloudy apple juice by electrodialysis" 62 : 75-79, 1997

      9 Tronc J, "Effect of pH variation by electrodialysis on the inhibition of enzymatic browning in cloudy apple juice" 46 : 829-833, 1998

      10 Kim JW, "Effect of far-infrared irradiation and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citrus pomaces" 49 : 60-64, 2006

      1 Ko WJ, "Studies on deacidification of premature citrus juices by electrodialysis" 38 : 202-208, 2006

      2 Kang MH, "Relationship on ionic conductivity and ionic permeability through polymer membrane" 6 : 328-331, 2002

      3 Satoru K, "Quantitation of flavonoid constituents in citrus fruit" 47 : 3565-3571, 1999

      4 Song EY, "Quality characteristics of citrus fruits according to harvest date and variety" Cheju National University, Cheju, Korea 1997

      5 Kim KT, "Quality changes and pasteurization effects of citrus fruit juice by high voltage pulsed electric fields (PEF) treatment" 35 : 635-641, 2003

      6 Lee CH, "HPLC analysis of some flavonoids in citrus fruits" 4 : 181-187, 1997

      7 Song EY, "Free sugar, organic acid, hesperidin, naringin, and inorganic elements changes of Cheju citrus fruits according to harvest date" 30 : 306-312, 1998

      8 Tronc J, "Enzymatic browning inhibition in cloudy apple juice by electrodialysis" 62 : 75-79, 1997

      9 Tronc J, "Effect of pH variation by electrodialysis on the inhibition of enzymatic browning in cloudy apple juice" 46 : 829-833, 1998

      10 Kim JW, "Effect of far-infrared irradiation and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citrus pomaces" 49 : 60-64, 2006

      11 Kang YJ, "Deacidification of mandarin orange juice by electrodialysis combined with ultrafiltration" 7 : 411-416, 2002

      12 Vera E, "Deacidification of clarified passion fruit juice using different configurations of electrodialysis" 78 : 918-925, 2003

      13 Rhyu MR, "Contents of neohesperidin naringin and hesperidin in premature Korean citrus fruits" 34 : 132-135, 2002

      14 Vera E, "Comparison of different methods for deacidification of clarified passion fruit juice" 59 : 361-367, 2003

      15 Kim YC, "Changes of flavonoids in the peel of Jeju native citrus fruits during maturation" 10 : 483-487, 2001

      16 Bazinet L, "Bipolar-membrane electrodialysis:Applications of electrodialysis in the food industry" 9 : 107-113, 1998

      17 Quoc AL, "Acceleration of pH variation in cloudy apple juice using electrodialysis with bipolar membranes" 48 : 2160-2166,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0-11-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8 2.01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